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황
d라이브러리
"
현재상황
"(으)로 총 3,486건 검색되었습니다.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잠자는 숲속의 공주, 확률을 맞혀봐요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평화로운 토요일 오후, 숲속에 있는 성에 놀러간 공주는 성에 살던 마녀의 물레 바늘에 손가락을 찔린다. 물레 바늘에는 마녀가 미리 독을 묻혀 놓았고, 공주는 깊은 잠에 빠져들어 다른 사람이 깨우기 전에 결코 일어나지 않게 됐다. 또한 공주는 하루 전에 일어난 일은 모두 잊어버린다. 하지만 다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에서는 개교 70주년을 맞아 ‘앞으로 우리나라를 이끌어갈 7대 미래기술’을 선정했다. 각 분야의 동문들과 재학생들이 투표한 결과다. 영화에서나 나올 것 같은 이야기지만 가까운 미래에 상상했던 수준 이상으로 발전하게 될 전망이다. 각 기술의 최 ... ...
Part 2. 착시도 감각통합의 결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위 그림 ➊의 A와 B의 색깔을 주의 깊게 보세요. A보다 B가 밝게 보이지 않나요? 하지만 그림 ➋를 보면 실제로 A와 B의 색깔은 완전히 똑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답니다.이런 것을 흔히 시각이 착각을 했다고 해서 ‘착시’라고 해요. 하지만 B가 밝게 보이는 것은 시각이 잘못됐기 때문은 아니랍니다. 김 ... ...
Part 3. 유물에서 역사를 읽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유물의 정체를 찾아라!바다에서 발굴된 유물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로 이동되어 보존처리와 복원과정을 거쳐 원래의 모습으로 재탄생돼요. 그리고 이 과정에서 유물이 묻혔을 당시의 상황을 추측해 볼 수도 있지요.실제로 2012년 발견된 소소승자총통은 *명문을 통해 1588년에 만들어진 총이라는 ... ...
인간의 이기심이 만든 강아지 번식공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나는 아직도 우리 가족들을 찾아 헤매고 있어. 그런데 길을 걷다가 충격적인 이야기를 들었어. 개들을 철창에 가두고 괴롭히는 ‘강아지 번식공장’이 있대. 설마 나도 그곳으로 팔려가는 거 아냐?세상에서 가장 잔인한 강아지 번식 공장대형마트나 애견샵에서 판매되는 강아지의 대부분은 강아지 ... ...
친환경 비행기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우리가 여행을 갈 때 타는 비행기를 ‘여객기’라고 불러요. 여객기를 만드는 회사에는 유럽의 에어버스와 미국의 보잉, 이렇게 두 곳이 손꼽히지요. 이 중 에어버스는 매년 비행기 제조 회사 관계자와 과학자, 항공기 전문 기자가 한자리에 모여 최신 비행기 기술을 선보이고 토론하는 ‘이노베이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백두산 천지에 고인 약 20억t의 물은 폭발 시나리오의 중요한 변수 중 하나다.일부가 상승하는 마그마의 열에 데워져 부피가 팽창하면 천지의 수위가 순식간에 높아진다. 이것이 장백폭포로 떨어지고 폭포에서 발원하는 이도백하 강을 따라 홍수를 일으킬 수 있다. 또 천지 칼데라 외륜산이 순간적 ...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나노물질’ 전성시대다.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 양자점(퀀텀닷) 등의 나노 물질을 이용해 전자기기를 만들거나 질병을 진단, 치료하려는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하다. 하지만 이들 재료가 인체에 무해한지 확인하는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인수일 DGIST 에너지시스템공학 전공 교수와 김은주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지난 화에 이어 대구 근대문화골목에서 매스 투어를 계속해 봅시다. 골목을 둘러보며 여러 가지 숫자와 도형, 규칙을 쉽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남은 일곱 가지 미션도 수학의 눈으로 해결해 볼까요?대구의 일곱 가지 역사 이야기대구 근대문화골목에서 해결할 첫 번째 미션은 과거 사과로 유명했던 ... ...
[과학뉴스] 두 차례 사과가 더 큰 촛불 부른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현재(11월 21일)까지 박근혜 대통령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대해 사과 담화문을 두 차례 발표했다. 하지만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촛불을 들고 평화시위를 벌이고 있다. 진정한 사과가 아니라는 것이다. 어떤 리더들은 사과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입지 강화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