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양화
다채성
복합성
뉴스
"
다양성
"(으)로 총 956건 검색되었습니다.
잦은 외래종 유입에도 생물
다양성
이 높아지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9.10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만큼 외래종이 유입되면서 결과적으로는 생물
다양성
이 높아졌다. 핀헤이로 교수는 “해양생물들은 육상동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동이 잦고 확산도 빠르다”며 “외래종이 유입돼도 생태계를 교란시킬 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에 여러 종이 ... ...
아름다움이란 무엇일까? 흑인 여성들의 단체 수영복 사진
팝뉴스
l
2017.09.03
다양하다. 마른 여성이 있고 다소 퉁퉁한 이도 있다. 아름다움은 획일성이 아니라
다양성
에 존재하며 그리고 외적인 기준이 아니라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이 곧 아름다움이라고 여성들은 화보를 통해 강조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 ...
아프리카 하드자 족에겐 있고, 도시인에겐 없는 것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27
생긴 가장 중요한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소넨버그 교수는 “현대 도시인의 장내미생물
다양성
부족은 섬유질이 부족한 서구화된 식습관이 주원인이라는 증거가 밝혀진 것”이라며 “장내미생물은 사람이 섭취한 음식에 반응해 하루, 심지어 수 시간 내에 크게 변화할 수 있는 만큼 식습관을 바꿔 ... ...
한·중·일 동북아 미세먼지 공동 연구결과 공개키로 합의
동아사이언스
l
2017.08.26
EASBII)’ ‘바이오브릿지 이니셔티브(BBI)’ 등 국제 및 지역 이니셔티브를 통해 생물
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협력 연구를 추진하는 등 3국 공동 행동을 도출하고 증진하기로 했다. 이 밖에도 3국 장관은 △화학물질의 관리와 환경재난 대응 △자원의 순환적 관리(전기전자 ... ...
지구를 위해 아주 작은 일부터 시작해 보세요! 침팬지 연구자 제인 구달
동아사이언스
l
2017.08.25
지나쳤던 작은 생물에도 관심을 가지고 기록하는 습관이 생겼어요. 이런 마음이 생명
다양성
을 지키기 위한 시작이 아닐까요? 제인 구달 박사 저서에 친필 사인을 받은 지구사랑탐사대 이현근(고양 발산중 1), 이성근(고양 오마초 5) 대원. -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 람사르 협약 : 습지의 보호와 ... ...
[연구자 나고야의정서 가이드①] 국제 공동연구도 사전허가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23
아직 나고야의정서의 규제 대상이 아니다. 적어도 현재로서는. 나고야의정서는 ‘생물
다양성
협약 부속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공평하고 공정한 이익공유에 관한 나고야의정서’의 준말이다. 즉, 해외 생물 유전자원을 활용하려면 현지 연구진과의 공동 연구라 할지라도 원칙적으로 자원 ... ...
17일 한국에서도 ‘나고야의정서’ 발효…“연구 현장에도 타격 예상”
동아사이언스
l
2017.08.16
지속가능한 생물자원 이용에 기여하고자 2010년 일본 나고야에서 채택됐다. 기존 생물
다양성
협약에 포함돼 있지 않았던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과 이익 공유(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Sharing·ABS)’에 관한 규정을 골자로 한다. ● 자원 보유국의 ‘생물주권’ 인정… 생물자원 이용 ... ...
도마뱀 얼굴의 심해어
팝뉴스
l
2017.07.24
제공 호주 태즈메이니아 대학교에 있는 연구 기관 ‘해양 생물
다양성
허브’이 최근 블로그를 통해서 공개한 이미지다. 6월 4일 호주의 바다에서 잡혔다. ‘도마뱀 물고기’라고 불리는데 얼굴이 도마뱀과 흡사하기 때문이다. 뱀장어처럼 긴 몸통에 얼굴은 도마뱀이고 날카로운 이빨을 가졌다. ... ...
치타가 빠른 이유는 적절한 체중 때문? 모든 동물에 통하는 속도 분석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7.18
끌고 있다. ● 체질량 중간인 동물, 속도 가장 빨라 17일(현지시각) 독일 통합생물
다양성
연구센터(iDiv) 미리암 힐트 박사팀은 힘이나 근골격 형태의 차이로 제각각 설명해야 했던 동물의 속도를 한 번에 설명할 수 있는 체중-가속 시간 분석법을 제시해 학술지 ‘네이처 생태학과 진화(Ecology & ... ...
멸종위기 곤충을 보존하라!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7.12
다 자란 나비들이 숲으로 돌아가 살 수 있도록 하고 있답니다.” 이어서 박물관과 생물
다양성
센터도 둘러봤어요. 애벌레와 곤충 500여 종(약 13만 개체)의 표본이 썩지 않도록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었답니다. 나비 표본을 들고 있는 이준이 학생. - 김정 기자 제공 ● 애벌레는 한 가지 식물만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