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병원균
균류
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병원체
뉴스
"
세균
"(으)로 총 976건 검색되었습니다.
환절기 어린이-노인 위협하는 폐렴… 손만 잘 씻어도 예방 효과
동아일보
l
2015.11.09
사용해 40초 이상은 씻어야 손에 있는
세균
을 없앨 수 있다. 양치질 역시 입안에 있는
세균
을 없애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폐렴을 예방하는 좋은 습관이다. 치아뿐만 아니라 혀와 구강의 점막까지 다 닦아야 한다. 목욕 후에는 체온 유지를 위해 빨리 옷을 입고, 주변 온도는 26∼28도, 습도는 40∼50%를 ... ...
수도권 12개 大 연구원 인터뷰 “건국대 사태, 남 얘기 아니다”
2015.11.09
공간에서 모든 실험을 진행해야 하는데 그러지 않을 때가 종종 있었다”며 “
세균
이나
세균
의 포자가 물이나 공기를 통해 전파될 소지가 다분하다”고 말했다. 실험 안전에 대한 연구원들의 낮은 인식도 지적됐다. 성균관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졸업생은 “쥐에 투입해야 할 바이러스가 들어 ... ...
건국대 폐렴 사고 원인은 썩은 동물사료 속 ‘곰팡이’
2015.11.09
소화기 등 화재나 폭발 위험 위주로 이뤄졌다”며 “이번 건국대 사태를 계기로 다양한
세균
과 바이러스를 다루는 대학 실험실 안전관리가 외국처럼 철저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 ...
지난해 실험실 안전사고 22건은 ‘화학물질’ 때문
2015.11.09
빈번하게 일어난다. 특히 이는 화학물질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화학물질은
세균
이나 바이러스를 다루는 생물 분야 실험실부터 물리학, 화학공학 등 이공계 대부분 실험실에서 두루 쓰인다. 화학물질의 종류도 에탄올 같은 단순 용매부터 브롬화에티듐(EtBr) 등 발암물질까지 다양하다. ... ...
대학 안전의식 심각… 안전사고 10건 중 9건이 대학
2015.11.09
음식을 섭취하는 사례도 여럿 적발됐다. 주로 귀찮거나 시간이 없다는 게 이유였다.
세균
을 보관하는 실험용 냉장고에 음식을 함께 보관하는 경우도 있었다. 미래부 관계자는 “연구실에서 안전 관리가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 연구원이 미래부에 직접 신고할 수 있도록 법 조항도 마련돼 있다”고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9월 9일부터 ‘파고번(phagoburn)’으로 부르는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화상(burn) 부위의
세균
감염을 파지로 치료한다는 의미가 내포된 이름이다. 대장균과 녹농균을 공격하는 파지 여러 종을 섞은 파지칵테일을 화상 부위에 발라 감염억제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이 임상에는 화상 환자 220명이 ... ...
‘건대 폐렴’ 격리 49명으로 늘어
동아일보
l
2015.11.02
9.2%)가 발생했고 △메르스 △인플루엔자 △레지오넬라 △브루셀라 등 16개 바이러스와
세균
검사 결과 특이점이 없어 실험실에 생기는 곰팡이나 화학물질로 인한 발병 가능성에 더욱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보건당국과 건국대에 따르면 입원 환자 2명에게서 진균(곰팡이), 1명에게서 박테리아로 ... ...
다국적 제약회사 머크가 찾아낸 새 항생제 타깃
2015.11.01
리보플라빈을 생합성하는데 필요한 유전자인 ‘ribB’의 발현을 조절한다. 그 결과
세균
의 성장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런 결과를 토대로 리보스위치의 구조 변화가 항생제의 새로운 타깃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사이언스 제공 미끈한 표면에 주름이 잔뜩 잡힌 ... ...
건대 폐렴 발병 건물서 500명 공채시험
동아일보
l
2015.10.30
큐열, 레지오넬라에 대해선 혈청 검사도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보건당국은 바이러스와
세균
이 아닌 실험실의 환경이나 화학물질로 인한 폐렴 발생 가능성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 중이다. 김영택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감시과장은 “동물 관련 실험실 특성상 화학물질이나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 ...
약도 없다던 ‘슈퍼박테리아’ 치료 가능성 열렸다
2015.10.28
교수는 “sRNA를 진단 마커, 약물 타깃 물질 등으로 이용한다면 슈퍼박테리아나 다양한
세균
의 병원성을 제어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양한 sRNA 각각에 대한 돌연변이 균주도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