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윤"(으)로 총 896건 검색되었습니다.
- 향 있는 전자담배, 담배 만큼 위험하다2015.12.08
- 타르 같은 발암물질을 피해 전자담배를 택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전자담배에 인공향이 첨가됐다면 일반 담배와 마찬가지로 유해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조셉 앨런 미국 하버드대 교수팀은 전자담배에 사용하는 착향료에 심각한 폐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 ...
- 힘 좋고 오래가는 수소연료전지 나온다2015.12.07
- 성영은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그룹리더(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국내 연구진이 수소연료전지의 성능을 10배 이상 높이고 수명까지 긴 촉매를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의 현택환 단장과 성영은 그룹리더(이상 서울대 화학생 ... ...
- 지금보다 수천 배 강력한 태양 흑점 폭발 일어날 수 있다2015.12.07
- 일반적인 태양 플레어(왼쪽)과 비교한 슈퍼플레어(오른쪽) 발생 예상도 - 영국 워릭대 제공 기존 태양 흑점 폭발(플레어)보다 수천 배 강력한 ‘슈퍼플레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태양 흑점 주변에서 일어나는 플레어가 수소폭탄 수천만 개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방출하는 ... ...
- 비만 아빠에게서 비만유전자 가진 자녀 태어난다2015.12.06
- iStockphoto 제공 자녀계획이 있는 '뚱뚱한' 예비 아빠라면 2세를 위해 다이어트를 하는 것이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로메인 바레스 덴마크 코펜하겐대 교수팀은 비만 남성과 마른 남성의 정자 속 유전자 가운데 식욕 조절과 관련된 유전자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호리 ... ...
- LED, OLED 다음은 ‘PeLED’!2015.12.04
- 이태우 포스텍(POSTECH) 교수 - 포스텍(POSTECH) 제공 LED(발광다이오드), OLED(유기발광다이오드)의 뒤를 이을 차세대 디스플레이 ‘PeLED(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가 개발됐다. 현재 가장 주목받는 디스플레이인 OLED는 발광 효율은 뛰어나지만 가격이 비싸고 색순도(천연색에 가깝게 표현하는 정도) ... ...
- ‘코딩’으로 크리스마스트리 전구 켜 볼까2015.12.03
- 몇 개를 끌어다 놓는 간단한 코딩만으로 크리스마스트리에 불을 켤 수 있다. - 염재윤 기자, dsjy@donga.com 제공 4일과 5일 양일간 경기 과천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리는 ‘소프트웨어(SW) 교육페스티벌’에는 아이루프가 일반에 처음 공개된다. ‘뚝딱뚝딱SW공작소’를 통해 초등학교 3~6학년을 ... ...
- ‘둘리 할아버지’ 발자국 찾았다2015.12.02
- 미국 켄터키에 위치한 '공룡 월드'의 브론토 사우루스 모형. 이 공룡들의 먼 친척인 거대한 초식공룡의 흔적이 발견됐다. - 피터 리베라(flicker.com) 제공 ‘둘리 할아버지’의 모습은 이렇게 생겼을까. 공룡 사전에 기재될 만한 새로운 거대 초식공룡의 흔적이 발견됐다. 스티븐 브루샛 영국 에딘 ... ...
- 스타워즈 속 ‘3D 홀로그램’이 눈앞에 턱!2015.12.02
- ETRI 연구진이 ‘테이블탑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시연하고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제공 국내 연구진이 SF영화에 단골로 등장하는 3D 홀로그램 기술을 실제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360도 모든 방향에서 홀로그램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처음으 ... ...
- KAIST-GIST-DGIST-UNIST ‘업그레이드’, 기업혁신-산학협력 견인차 된다2015.12.02
- KAIST 학생,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안성진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학생, 송우윤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학생, 신성철 DGIST 총장, 정무영 UNIST 총장.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 DGIST, 5년내 기술출자社 20곳 설립 매출 1000억 달성 대구 경북 지역은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던 섬유 산업이 중국의 ... ...
- 뚝딱뚝딱 종이 접어 살아있는 토끼에 이식2015.12.01
- 황석연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권성근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임성갑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왼쪽부터 순서대로). -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개구리, 토끼 등 온갖 생물의 모양을 만들 수 있는 종이접기 기법으로 살아있는 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황석연 서울대 화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