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후광 효과를 뛰어넘은 과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봉지를 씌우는 일은 타고난 성실성을 가진 멘덴만이 할 수 있는 일이었습니다. 실험을
시작
하고 8년 뒤 그는 멘델의 법칙을 발견했습니다. 1865년 그는 소도시 자연과학협회의 정기 회의에서 ‘식물의 잡종에 관한 실험’이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소도시 자연과학협회 회원들은 ... ...
실험장치 내부온도 100℃로 맞춰라!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끝까지 날아가는 놀이였다.윗슨이 선곡한 신나는 음악에 맞춰 우리는 기차놀이를
시작
했고, 점점 신이 나서 허리춤을 추기도 하고 웨이브 댄스를 추는 뱀의 모습을 연출하기도 했다. 기차놀이가 끝난 뒤 미국 우주인 게럿 리즈먼의 제안으로 ‘이어날기’를 하기로 했다. 윗슨과 리즈먼, 그리고 ... ...
과학으로 지키는 독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년 전 독도해산에서는 해수면 위로 마그마가 폭발적으로 분출되며 커다란 화산이 생기기
시작
했다. 화산은 돌조각과 화산재를 분수처럼 뿜어내며 차례대로 주변에 쌓아 독도가 탄생했다(전이 단계). 물 위에 솟은 독도는 대규모로, 또 소규모로 용암을 잇달아 분출한 뒤 화산활동을 멈췄다(육상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무선교신기는 다시 작동됐고, 얼마 후 또랑또랑한 이소연 누나의 목소리가 들려오기
시작
했습니다.“이제 들립니다. HL0ARISS, 아주 잘 들립니다.”우리나라가 세계에서 31번째로 국제우주정거장과 무선교신을 한 나라가 되는 순간이었지요 ... ...
‘검은 태양’ 아래서 꿈을 꾸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피우는데 갑자기 여기저기에서 각국 언어로 탄성이 터져 나오기
시작
했다. 개기일식의
시작
을 알리는 소리였다. 시간이 지날수록 모든 사물이 어둠 속에 빠져들었다. 손은 부지런히 셔터를 누르고 있었지만 눈은 아득히 펼쳐진 태양에 고정됐다. 태양이 달 뒤로 완전히 숨었다가 다시 빠져나오며 2차 ... ...
연구에 늦바람 부니 재미가 쏠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될 수 있는 1% 가능성을 함께 고민해줬고 자신감을 심어줬다. 중단했던 공부를 다시
시작
할 용기가 생겼다.하지만 처음에는 아무 것도 없었다. 텅 빈 실험실 두 개가 전부였다. 연구원이라곤 후배인 정수은 씨까지 달랑 둘이었다. 당장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 하지만 열정을 갖고 뛰어다니다보면 ... ...
스위스 넘어 세계로 뻗는 취리히공대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개설했고 1909년 교육과정을 전면 개편한 뒤 1911년 학교명을 개정해 본격적인 성장을
시작
했다. ETH가 가장 자랑하는 분야는 컴퓨터공학으로, 세계 컴퓨터의 역사라고 통하는 IBM의 유럽연구소를 유치할 정도로 우수한 실력을 갖추고 있다. 최근에는 나노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ETH의 또 다른 ... ...
아찔 아찔~! 놀이기구는 진화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되었다.② 2차원에서 3차원의 세계로!시간이 흐르면서 바이킹의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
했다. 바이킹은 그저 앞뒤로만 움직이는 2차원적 운동만 할 수 있었기 때문에, 롤러코스터에 비해 스릴을 높이기가 어려웠다. 그렇다고 스릴을 포기할 순 없는 일! 기술이 발전하면서 360°로 뱅글뱅글 돌아가거나 ... ...
노래 가사 태반이 사랑 타령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이뤄진 3화음을 으뜸화음이라고 하는데(다장조의 경우 도-미-솔) 보통 곡은 으뜸화음으로
시작
해서 으뜸화음으로 끝난다. < 멜로디를 비교한 음악 > 1. 기준멜로디 다장조를 벗어나지 않는 변화 2. 기준멜로디 다장조를 벗어난 변화 작곡 원리를 몰라도 우리는 이런 패턴에 익숙하기 때문에 이런 ... ...
한우 꽃순이의 독백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그런데 홀스타인이라는 네덜란드에서 개발한 젖소 품종을 들여와 우유를 생산하기
시작
했죠. ‘엄마소도 얼룩소 엄마 닮았네~’의 얼룩소가 홀스타인이죠. 그러고 보면 지난 세대동안 우리나라 사람들 식성이 참 많이 바뀐 거네요. 최근 한국인 1인당 연간 유제품 소비량이 63kg 정도라는군요. 물론 ... ...
이전
786
787
788
789
790
791
792
793
7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