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때문에 아무래도 생존에 불리하다. 따라서 몸집을 일정 이상 키우지 못했던 것이다.
연구
팀은 깃털이 자라는 속도가 너무 빨라지면 비행에 필요한 주요 깃털에 구조적 결함이 커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켁켁, 숨막혀” 곤충이 몸집 줄인 이유는 산소 포화도?과거 공룡이 살던 ... ...
[Tech & Fun] 더 이상 ‘이불킥’은 하지 말자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원인을 제공한 상대가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서 눈 흘긴 꼴이다.
연구
팀은 곱씹기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기는커녕 오히려 안 좋은 감정을 지속시켜 이성적인 대인관계를 방해한다고 결론지었다.감정은 우리가 거기에 얼마나 머물러 있느냐에 따라 커지기도 하고 ... ...
[Tech & Fun] 러시아 과학원 레베데프 물리
연구
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분야
연구
소는 분위기가 조금 다르다고 하지만요).여행에 식도락이 빠질 수 없겠죠.
연구
소 안에 작은 식당에선 두툼한 고기를 튀긴 커틀렛과 감자를 삶은 뒤 으깬 퓌레를 팝니다. 한국의 김치찌개, 된장찌개처럼 러시아 사람들이 가장 많이 먹는 메뉴입니다. 보르쉬’라고 하는 빨간무를 재료로 한 ... ...
[Career] “세계의 바다를 가를 무인선박을 개발합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다가올 호황기를 대비해서 어떤
연구
가 필요할지를 고민하는 것이 지금 이 분야를
연구
하는 사람들이 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학생들 역시 마찬가지고요. 평소 해양에 관심이 있던 학생들도 너무 겁먹지 말고 자신이 하고 싶었던 공부를 선택하라고 말해주고 싶습니다 ... ...
[쇼킹 사이언스] 바람이 돌을 움직인다고?! 항해하는 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박사팀이 실제 데스밸리의 환경과 돌의 움직임을 3년 동안 관찰해 직접 확인했거든요.
연구
팀은 60여 개의 돌에 위치 추적 장치를 붙이고, 날씨를 관측하는 장비 15개로 돌 주변의 날씨를 꾸준히 조사했어요. 그 결과 데스밸리의 땅은 겨울철에 얼었다가 살짝 녹아 진흙이 되는데, 그 때 돌이 진흙위를 ... ...
Part 1. 생물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1년에 2000종이 사라진다?지금까지 과학적으로 분류된 종은 약 200만 종이에요. 하지만 몇몇 학자들은 최대 1억 종이 살고 있다고 이야기해요. 이렇게 전문가들의 의견마저 엇갈릴 정도로 우리는 아직 지구상에 살고 있는 생물의 수를 정확히 알지 못해요.하지만 지구상의 종 수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 ...
Part 3. 인간의 이기심이 무서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예를 들어 지구상에는 양서류의 종 수가 포유류보다 훨씬 많지만, 포유류에 대한
연구
결과는 양서류보다 10배 이상 많아요.생명다양성재단 김산하 사무국장은 사람들이 외모로 동물을 차별하는 것에 대해 “사람의 기준으로 동물을 평가해선 안 된다”며 “모든 동물은 아름답다”고 말했답니다 ... ...
Part 2. 간접흡연도 흡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있어요.국립암센터 진단검사의학과 이도훈 박사팀은 지난 20여 년 동안 발표된 60여 개의
연구
들을 분석해 봤어요. 그리고 부모가 담배를 집 밖에서 피우는 가족의 니코틴 농도를 확인했지요. 그 결과 비흡연자인 배우자와 자녀의 몸에서 니코틴이 검출됐어요.부모가 담배를 피우면 연기에 닿았던 ... ...
[출동~! 섭섭박사] 호박화석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세포 속 유전자와 바꾸는 방법으로 매머드에 가까운 코끼리 세포를 만들어 냈어요.
연구
팀은 앞으로 이 세포를 아시아 코끼리의 난자에 이식해 매머드에 가까운 동물을 탄생시킬 계획이랍니다.화석은 생물의 흔적이 남은 암석을 말해요. 공룡의 뼈, 조개껍데기, 삼엽충, 나뭇잎과 같은 생물의 단단한 ... ...
[수학뉴스] 앨런 튜링이 남긴 노래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무드’ 세 곡이 저장돼 있었습니다.실제 녹음 작업은 1951년 영국 맨체스터에 있는 컴퓨터
연구
소에서 크리스토퍼 스트레이치가 개발한 최초의 컴퓨터 음악프로그램을 이용해 진행했습니다. 이번 복원 작업을 이끈 잭 코프랜드 켄터배리대 교수는 “암호해독가이자 수학자였던 튜링이 음악에 서도 ... ...
이전
786
787
788
789
790
791
792
793
7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