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3. 과학한국 토대 다질 처방전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이공계 진학률이 감소해도
개발
도상국의 인력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급격한 인력 부족이나 질적 저하 문제가 가시화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경제·문화적인 측면에서 외국 인력을 흡수하기 매우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에 이 ... ...
디지털TV 소비자 눈으로 사고해야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적용된 생활에 관심을 갖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가끔씩은 인간의 적응력을 뛰어넘어
개발
되는 기술이 있다. 지금처럼 멀티미디어가 보통 명사가 되기 전인 1988년 멀티미디어에 뛰어난 컴퓨터라며 출시된 ‘넥스트머신’이 그 예. 현재도 널리 보급되지 않은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와 디지털 음향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온도계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작은 점일 뿐이다.이 온도계는 나노과학을 이끄는 대표소재인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개발
됐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원자로 구성된 긴 원통구조 물질로, 현재 여러 나노과학 분야에서 실제 제품을 만드는데 응용되고 있다.일본 국립재료과학연구소 나노소자 실험실의 이후아 가오와 요시오 반도 ... ...
3. 한국인 식생활 이대로 좋은가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바 있다. 실제로 2000년에 들어서면서 전세계 성인 중 3억 이상의 인구가 비만 상태고,
개발
도상국에서 1억1천5백만명 이상이 비만과 관련된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다는 조사가 있으니 그 심각성을 미뤄 짐작할 수 있다.우리나라도 결코 예외일 수 없다. 특히 아동들의 비만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197 ... ...
3. 토네이도 추적하는 기상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겪고 있다. 전문가의 부족이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즉 기상을 이용한 수자원 관리 기술
개발
을 위해서는 기상학과 수자원공학을 동시에 아는 전문가가 필요한데, 이와 같은 전문가를 양성하지 못한 것이 국내의 현실이다. 학문 간의 벽을 허물고 기상학자와 수자원 전문가가 공동 연구를 통해 두 ... ...
가상현실 스튜디오에서 유럽 여행 만끽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대한 실험과 간단한 마우스 조작을 통해 쉬운 게임이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
하고 있다.가상현실에 대한 연구 초창기에는 실제와 같은 영상, 즉 시각 정보의 충실한 재현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지만, 요즘은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 촉각 등 다른 감각 기관의 자극에 대해서도 충실하기 ... ...
두꺼운 베일 벗은 여신의 누드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뒤에는 좌절과 실패를 넘어선 숨겨진 이야기들이 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초 옛소련이
개발
한 베네라 탐사선의 잇따른 착륙성공으로 두꺼운 장벽을 넘어 금성의 속살을 살짝 들여다볼 수 있었다. 하지만 너무 좁은 범위에 불과했다. 이런 착륙방식으로는 비너스의 누드를 전체적으로 감상(?)할 수 ... ...
식스 센스 vs 디 아더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옮겨 적는 자동필기, 폭넓게는 몇해 전 학생들에게 유행한 분신사바도 심령주의에서
개발
한 유령과의 대화 방법에 속한다. 죽은 사람의 영혼과 산 사람을 연결시켜주는 중개인을 ‘영매’라 부르는데, 디 아더스에 등장하는 영매는 자동필기라는 근대 심령주의의 방법으로 유령과 대화한다. 그리고 ... ...
4. 10년 후 커다란 강 하나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물을 제대로 관리하는 나라만이 부국을 이룩할 수 있다.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
개발
사업단의 행보가 더욱 중요한 이유다.물 스트레스 지표물 스트레스 지표는 실제 사용하는 물의 양과 사용가능한 물의 최대량의 비율이다. 사용가능한 최대량은 자연에 순수하게 유입되는 물의 양으로 빗물의 ... ...
반소음으로 차량 소음 잡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저널 1월호에 소개됐다.주인공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박영진 교수팀. 박교수팀이
개발
한 모형 시스템은 60데시벨인 자동차의 소음을 최대 6데시벨까지 줄여준다. 이는 소음을 나뭇잎이 살랑거리는 정도로 낮춘 것에 해당한다.이 시스템의 원리는 반(反)소음을 이용하는 것. 보통 소리는 공기 중에 ... ...
이전
787
788
789
790
791
792
793
794
7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