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료
데이타
정보
data
인포메이션
은행
뉴스
"
데이터
"(으)로 총 8,284건 검색되었습니다.
“빅뱅 후 3분 우주에 무슨 일 있었나 확인”
2015.03.06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의 구축을 지휘할 정순찬 단장. -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 제공 “‘신의 입자’ 힉스를 찾아낸 유럽입자 ... 세계 물리학계의 집중적인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것”이라며 “운영 후 2~3년 안에 첫
데이터
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왜소행성 ‘세레스’ 오늘 밤 인류 첫 탐사
2015.03.06
포착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돈이 보내올
데이터
가 세레스 내부에 물의 존재 여부와 물이 분출되는 방식을 확인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면서 “달과 소행성처럼 대기가 없는 천체의 표면이 태양계 탄생 이후 긴 시간 동안 어떻게 변화했는지 연구하는 ... ...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5.03.04
2010년부터
데이터
를 내기 시작했다. LHC에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불과 3년 동안 얻은
데이터
로, 과학자들은 그동안 이론적으로만 예측했던 힉스 입자를 발견했다. 덕분에 50년 전 힉스 입자를 예측한 과학자 프랑수아 엥글레르와 피터 힉스는 2013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는 기쁨을 누렸다. ... ...
러닝머신 뜀박질 만으로 10년 내 사망확률 예측
2015.03.02
병행했다. 연구팀은 1991년부터 19년 동안 러닝머신 테스트를 받은 18~96세 5만8000여 명의
데이터
를 취합했다. 그리고 그들이 향후 10년간 각각 어떤 원인에 의해 사망했는지 추적했다. 그 결과 하위 50%에 해당하는 45세 여성은 10년 이내 사망할 확률이 38%인 반면, 상위 50%에 들어간 사람들의 10년 내 ... ...
태양 질량 120억 배 초거대 블랙홀 발견
2015.02.27
미국 애리조나대 등 국제 연구진은 적외선 우주망원경 ‘와이즈(WISE)’에서 보낸
데이터
를 분석해 지구에서 128억 광년 떨어진 지점에서 새로운 블랙홀을 찾았다. 연구팀은 마젤란망원경과 제미니망원경에서 관측한 적외선 분광 자료로 이 블랙홀의 질량을 측정한 결과 태양의 질량보다 120억 배 ... ...
1조 분의 1초, 분자 탄생 순간 눈으로 봤다
2015.02.23
수 있다. - IBS 제공 그 결과 금 원자끼리 화학결합을 형성해 분자가 되는 과정을 담은
데이터
를 얻었다. 금 원자 사이의 거리는 원래 3옹스트롬(Å, 1억 분의 1cm)을 훌쩍 넘었지만 화학결합을 형성한 뒤 2.8옹스트롬으로 줄어들었고 이어 금 원자끼리 나란히 배열돼 선형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유튜브 인기 동영상 속 음주 장면 분석해보니
2015.02.22
당 ‘좋아요’ 23.2개가 달릴 만큼 긍정적인 반응이 많았다. 프리맥 박사는 “유튜브
데이터
를 분석해 음주 행위를 연구한 첫 번째 결과”라며 “소셜미디어를 통해 퍼져나가는 음주와 관련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우아한 숄 두른 갯민숭달팽이, 이탈리아에 가다
2015.02.22
표현하고 있다. 이번 주 네이처는 사람의 세포와 조직을 이용해 후성유전체의 참고
데이터
구축을 목표로 2008년 본격 연구를 시작한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후성유전체 로드맵’ 컨소시엄의 성과를 특집으로 다뤘다. 줄기세포의 분화 과정과 자가면역질환, 알츠하이머 등의 질병과 관련된 ... ...
광우병 소고기, 가짜 건강식품 한 번에 찾아낸다
2015.02.22
NRM(핵자기공명분석) 장비를 이용해 메타볼릭스 분석도 병행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얻은
데이터
를 하나로 합쳐 일괄적으로 원산지를 확인하는 새로운 해석 기법을 확립했다. 그 결과 기존 방법으로 각각의 정확도가 90% 정도였지만 새로운 통합 판별 분석법을 이용한 결과 97%까지 정확도가 ... ...
미국에서 가장 조용한 지역은 어디일까
2015.02.17
National Park Service) 연구팀은 무려 150만 시간 동안 미국 전역의 소리를 담았다. 이 소리
데이터
를 컴퓨터 알고리즘으로 처리한 뒤 소음의 정도를 구분해 지도에 색으로 표시했다. 시끄러울수록 밝은 노란색으로 나타나며, 조용한 곳은 짙은 푸른색을 띤다. 지도에서 와이오밍 주에 있는 ... ...
이전
788
789
790
791
792
793
794
795
7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