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전주기 800년 10번째의 행성을 찾아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랜더 연착륙에 성공한다. 이어 오비터에 의한 관측으로 화성의 지형을 극히 미세한
부분
까지 밝히고 지면 사진도 촬영했다. 그리고 화성에 생명이 존재하는가 하는 흥미깊은 테스트도 했지만 결과는 부정적이었다. 보이저(Voyager)1호와 2호의 발견은 아직도 우리의 기억에 새롭다. 보이저 2호는 1977년 ... ...
자동차디자인의 세계 새로운 자동차는 어떤 모습일까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견해다. 자동차메이커마다 디자인실을 설치해 본격적으로 디자인을 연구하기 시작,
부분
적으로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의 자동차디자인은 자동차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는 것에 비하면 아직도 상대적으로 미약한 실정이다. 아직까지도 신차개발에 있어서 디자인작업을 ... ...
한글화 시킨 컴퓨터 언어 「늘품」① 컴퓨터가 우리말을 알아듣는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알리기 위한 글들이 있고 8-44에는 늘품이 들어있다. 우리가 낱말을 더 지어 넣으면 이
부분
이 차지하는 범위가 늘어나게 되므로 원반화면 45-50사이는 조심해서 써야한다. 원반화면 70-74에는 글박개(printer)로 풀어쓰기 한글을 박을 수 있도록 지은 낱말들의 글본(source code)이 들어 있다. 이를 ... ...
2029년까지 무조정 손목시계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기능을 여러가지 갖춘 뛰어난 시계라는게 소비자들의 평. 기본 기능으로서 아날로그
부분
에는 시·분·초의 세가지 침이 있다. 디지틀부는 시·분·초·오전·오후를 나타낸다. 칼렌다기능은 전 자동으로 1985~2029년까지 무조정이다. 텔리메모기능은 전화번호를 최대 20건까지 기억한다. 얼람기능은 분 ... ...
미리 살아보는 21세기 초 109세까지 살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살인이란 용어를 재 정의해야 했다. 죽음에 의해 흔히 어느 정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부분
이 산출되므로, 사별에는 일종의 밝은 희망의 요소가 있다. 사람들은 자신들의 기관을 통해 계속 살게 될 것이라고 느끼고 있다. 실로, 말하자면 죽음학이 많은 나라들에서 생겨나왔다. 그리고 유언장과 ... ...
한종하 박사에게 들어본다 주입식교육, 언제까지나 계속할것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1주일에 한번쯤 하는식의
부분
적 도입은 큰 마찰이 없을 겁니다. 고등학교 1, 2학년에도
부분
적인 도입이 가능하겠지요. 과학시간이 한 학기에 72시간이니까 이가운데 10시간은 토론식 수업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내용은 실험을 주제로 할수도 있고 또는 '공해'와 같은 별도의 주제를 채택할 수도 ... ...
제3의 의학이 생겨날 것인가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결합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것이고 나아가서는 새로운 21세기 미래의학의 탄생을 예고하는 것이다. 중첩되는 공통
부분
이 확대되어 나가는 만큼 새로운 의학 즉, 제3의학에 대한 기대와 희망도 계속적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동서의학의 결합으로 새로운 의학을 창조해보고자 하는 시도는 분명히 의료의 일대혁명이 아닐 ... ...
유도제어 우주비행의 핵심적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이런 경우 (그림1)의 제어장치는 유도용컴퓨터와 제어용컴퓨터, 비교분석용컴퓨터의 세
부분
으로 크게 나뉘는데 (그림2)와 같다. 즉 유도용컴퓨터에는 이상적인 또는 원하는 궤적이 수학적인 절차를 거쳐서 입력되어 있고 비행체는 이 궤적을 참고로 하여 비행할 것이다.제어용컴퓨터는 ... ...
상상을 초월한 첨단의 종이과학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는 말이 나올 정도로 고해는 종이의 중요한 공정. 여기에서 종이의 품질과 성질이 대
부분
결정된다. 펄프만 사용하여 만든 종이는 흡수성이 있어 필기나 인쇄를 할 수 없다. 펄프에 내수성이 있는 콜로이드 물질을 혼합함으로써 섬유 사이의 틈을 메꾸는 작업을 사이징이라 한다. 이밖에도 종이를 ... ...
'87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 도네가와 스스무(利根川 進)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뇌가 무한에 가까운 정보를 기억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은 신경이 결합되는
부분
에는 항원-항체반응과 같은 메카니즘이 존재하고 있을지 모른다. 뇌는 분자생물학적으로는 거의 손을 대지 못한 분야이다. ●―과학은 예술이다 도네가와는 과학이라는 것은 창조적인 활동이라는 면에서 ... ...
이전
789
790
791
792
793
794
795
796
7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