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서류없는 사무실」 EDI 확산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설립하고 선진기술을 습득하는 등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끝에 우리나라에 이어
지난
달 대만의 무역망에도 소프트웨어공급업체로 선정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EDI에 필요한 기술을 완전 국산화해야한다는 장기적인 목표에서 볼 때 정보산업계, 그중에서도 대기업들이 특히 본받아야할 점이라고 ... ...
3. 핵실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주요 과정이므로 핵실험이 계속되는 한 핵무기 경쟁은 중단되지 않는다는데 있다.
지난
해에 핵무기비확산조약에 관한 평가회의가 있었다. 핵무기비확산조약이라는 것은 현재 핵무기를 가진 나라 이외의 나라가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국제적인 약속이다. 이 회의에서 핵무기를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그 발상은 획기적인 것이었지만 먼지에 쌓인 원고가 빛을 보게 된 것은 무려 30여년이
지난
1972년에 이르러서였다. 추제의 아이디어는 패전국의 운명과 같았다.전승국 미국과 영국에서도 국수 뽑기식 프로그래밍의 한계를 분명히 깨닫기 시작했다. 그 선두에는 그레이스 머레이 호퍼(Grace Muray Hopper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를 준비하고 있는 KAIST인들의 복안은 무엇인가?무르익은 가을햇살이 한껏 쏟아지던
지난
10월의 두번째 토요일(12일), 대덕연구단지안의 한국과학기술원 (이하 KAIST) 캠퍼스에서는 조촐하지만 뜻깊은 잔치가 열렸다. 올해는 KAIST가 한국과학원(KAIS)이란 이름으로 개원한지 꼭 20년이 되는 해. 이날의 ... ...
대규모 탐색 작업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못하더라도 우주에 관한 매우 재미있는 현상들을 새롭게 발견토록 해 줄 것이다.우리는
지난
날 예기치 않은 시점에 맥동성이나 준성들을 발견해 왔는데, 그처럼 지금 계획중에 있는 대규모 탐색작업이 거대한 우주에서 갑자기 우리의 주목을 끌만한 다른 무엇인가를 찾아줄는지 누가 알겠는가?For 30 ... ...
1. 핵무기와 원자로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원자로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가압경수로(PWR)의 시초다.이로부터 40여년이
지난
지금, 각국이 보유하고 있는 핵무기는 인류를 25번 이상 멸망시킬 수 있을 만큼 증가했다. 그와 더불어 원자력발전소는 세계적으로 4백25기가 운전 중이거나 건설 중에 있는데, 이는 전체 전기 수요량의 17%에 ... ...
전자센서보다 우수한 광학섬유센서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센서를 개발한 사람은 버몬트대학의 공학자인 드라이버 허스턴과 피터 푸. 그들은
지난
달에 준공된 5층짜리 의학연구소에 자신들의 작품을 투입하고는 그 성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원래는 건물이 세워지는 동안에만 국한, 구조물들이 어떤 스트레스를 받는가를 알아내기 위해 광학섬유센서를 ... ...
(2) 바이러스와 백신의 영원한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하고 컴퓨터 사용자들은 항상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안전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지난
해초 한국데이타통신이 '바이러스서울연합' 이란 유령단체로부터 시스템파괴 협박을 받았을 때 이 회사는 단말기의 암호를 모두 바꾸고 운용요원을 24시간 철야대기시키는 등 시간적 물적 피해를 입은 외에도 ... ...
노벨의 권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가장 탐내는 라스커상은 그 권위가 '미국의 노벨상'이라고 평가될 정도로 높다.이것은
지난
44년간 라스커상을 받은 사람 중 49명의 과학자들이 뒤이어 노벨상을 수상 했다는 사실로도 입증할 수 있다. 예컨대 MIT의 일본계 분자생물학자인 도네가와 스스무는 1987년 9월 라스커상을 탄 뒤 다음달인 1 ... ...
멸종 위기에 놓인 거대참치 블루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캐나다 연안의 블루핀은
지난
20년간 무려 90%나 줄어들었다.빌 캠프는 아주 어릴 적부터 4반세기 가까운 세월을 대서양의 파도와 맞서 싸우며 살아온 뱃사람이다. 그에게는 어부다운 집요한 소망이 하나 있다. 바로 거대한 블루핀(bluefin)을 좇는 일이다.참치의 한 종류인 블루핀은 척추동물 중에서도 ... ...
이전
789
790
791
792
793
794
795
796
7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