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2020년, 도시공원이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바쁘다 바빠! 2020년 5월 15일, 오늘은 공원에 사는 동물 식구들 모두가 이사하는 날이야. 저기 나무밑에 사는 개미부터 고목나무에 둥지를 튼 딱따구리까지 모두 다른 곳으로 떠나야 하지. 갑자기 ... 생태계!Part 4. 도시와 공원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Part 5. 가장 가까운 도시공원, 가로수 ...
- Part 1. 위기에 처한 도시공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사실 우리가 이사를 해야 한다는 소문은 몇 년 전부터 있었어. 우리가 사는 도시공원이 2020년이면 사라진다고 했거든. 바로 ‘도시공원일몰제’ 때문이지. 2020년 도시공원이 사라진 ... 또 하나의 생태계!Part 4. 도시와 공원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Part 5. 가장 가까운 도시공원, 가로수 ...
- Part 2. 도시공원은 왜 필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공원이 사라지면 동물들이 슬프겠지만, 인간은 큰 상관없는 거 아니냐고? 모르는 말씀! 그동안 눈치 채지 못하고 있었던 공원의 중요성을 알려 줄게. 공원이 적을수록 여름이 길어진다? 도시 ... 생태계!Part 4. 도시와 공원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Part 5. 가장 가까운 도시공원, 가로수 ...
- Part 5. 가장 가까운 도시공원, 가로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우리집 주변에는 공원이 없다고? 천만에! 집을 나서자마자 만날 수 있는 공원이 있지! 바로 도로변에 길게 늘어져 있는 가로수야~! 가로수가 위험하다!가로수는 도로를 아름답게 만 ... 또 하나의 생태계!Part 4. 도시와 공원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Part 5. 가장 가까운 도시공원, 가로 ...
- 열을 가하면 스스로 접히는 3D 프린팅 기술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해바라기일까요, 바퀴일까요? 군데군데 틈이 난 얇은 플라스틱 원판을 따뜻한 물에 담그자 저절로 동그랗게 접히더니 장미꽃으로 변했어요. 이 장미꽃은 미국 카네 ... “시간과 재료를 대폭 절약할 수 있는 이 기술로 보트, 인공위성 등 다양한 물건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어요 ... ...
- Part 3. 하늘을 가르는 거대한 비행기의 위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있답니다. 이 드론에는 적외선 카메라와 스피커가 달려 있어요. 적외선 카메라로 수풀에 숨어 있는 새들을 발견하고, 스피커로 새들이 무서워하는 천적들의 울음 소리와 공포탄 발사 소리를 내보내는 거죠. 이 소리를 들은 새들은 깜짝 놀라 비행기의 이동 경로 밖으로 도망간답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보이지요. 따라서 평면인 종이에서도 물체의 크기와 명암을 달리하면, 입체감을 느낄 수 있어요. 이와 같은 그림 기법을 ‘원근법’이라고 해요. 원근법은 한자 ‘멀 원(遠)’과 ‘가까울 근(近)’이 합쳐진 단어예요. ‘원(遠)’은 ‘쉬엄쉬엄 가다’라는 뜻의 ‘책받침(辶)’에 치렁치렁하게 긴 ... ...
- [과학뉴스] 3년 만에 온 메르스 발병 열흘 만에 완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발병을 계기로 메르스 치료제 개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세계적으로 메르스를 치료할 수 있는 제품화된 치료약은 아직 없으며, 항체를 이용한 일부 후보물질이나 치료법이 임상시험 중에 있다. 현재 미국국립보건원(NIH) 국립의학도서관에 등록된 전 세계 204개국 임상시험 가운데 메르스와 관련이 ... ...
- [과학뉴스] 여드름균만 노리는 백신개발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하는 백신을 활용하면 훨씬 효과적이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여드름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피부연구학 저널’ 7월 3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doi:10.1016/j.jid.2018.05.03 ... ...
- [과학뉴스] 밤에도 ‘열일’하는 태양전지 개발되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광전소재연구단과 연세대 물리학과 공동연구팀은 밤에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용 반도체를 개발해 연구결과 ... 광전소재연구단장은 “얇고 잘 휘는 구조여서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곳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doi:10.1016/j.nanoen.2018.08.02 ... ...
이전790791792793794795796797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