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마른 우물속의 산소 유무(有無)를 탐지할 때 흔히 촛불을 켜서 내려보낸다. 촛불 대신
작은
새를 내려 보내기도 한다.또 자연 동굴이나 인공터널 같은 땅굴을 탐험할 때 십자매가 든 새장을 들고 들어간다. 새가 못견디게 몸부림치거나 기운없이 쓰러지면 산소의 부족을 직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PARTⅢ 메탄과 암모니아의 변신 생명의 씨앗은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반 레벤후크(van Leeuwenhoek)가 미생물을 발견하면서 논쟁이 다시 일었다. 실제로 이러한
작은
생물체는 썩은 음식물 등에서 자연발생하는 것처럼 생각됐다. 이를 보고 이탈리아의 신부 스팔란니(Lazzaro Spallanzani)는 미생물일지라도 자연발생되지 않음을 입증하려고 노력했다.유리 플라스크에 ... ...
가장 오래된 다세포동물 화석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Ediacara)라는 것이 정설이었다. 지구상 25군데 이상에서 발견된 이 생물은 크기가
작은
것에서 1m나 되는 큰 것까지 여러종류나 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에디아카라가 최초의 다세포동물이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그동안 아무도 더 오래된 다세포동물을 발견하지 못했다.몬트리올대학의 한스 ... ...
태양만 뜨겁게 작열하는 수성(Mercury)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등이 분포돼 있다.그러나 달과 다른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수성의 크레이터들은 대체로
작은
것들로서 달에서와 같이 직경이 수십㎞나 되는 큰 크레이터가 드물고, 큰 산이 없으며, 많은 수의 절벽(scarps)이 수백㎞씩 뻗어있다. 또한 수성에는 분지가 달보다 드문 편이고, 크레이터가 조밀하지 않은 ... ...
금속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여성에게 자주 나타난다.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뼈가 약해지고 뼈에 낡은 스폰지 같은
작은
구멍이 많이 생기게 되는 이 골다공증의 주범도 칼슘결핍이다.■마그네슘/알코올과는 상극마그네슘(Mg)은 세포내에 비교적 많이 존재하는데 체액(體液)밸런스를 유지시키고 여러가지 효소반응에 관여하고 ... ...
PARTⅡ 성운설(星雲說)이 유력 납작한 원반이 원시 태양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물질을 녹인다. 그렇게 되면 밀도가 높은 니켈과 철 등은 중심으로 가라앉고 밀도가
작은
규산염 등이 위로 부상하여 지각 부근에서 냉각된다. 이것이 지구형 행성의 행성과 진화의 주요 과정이다.이 모델에서 화성과 목성 사이에 흩어져있는 소행성들은 목성의 중력 섭동에 의해서 행성으로 자라지 ... ...
남쪽하늘의 거대한 방패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대성운(M42)'이 바로 그것. 발광성운인 이 별은 눈으로도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지만
작은
쌍안경을 사용하면 성운상의 모습을 확실하게 볼 수 있다. 본격적인 관측을 위해서는 천체망원경이 필요하며 구경이 크고 배율이 작을수록 그 멋진 모습을 실감할 수 있다. 희뿌연 솜덩이오리온좌의 삼태성을 ... ...
앵무새보다 흉내를 더 잘내는 구관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발견된다.주로 식물의 열매나 과일을 쪼아먹지만 벌레를 잡아 먹기도 한다. 때로는
작은
동물의 사체를 뜯어먹기도 한다.찌르레기과에 속하는 새들은 보통 나무 동굴에 둥지를 튼다. 그러나 옆면에 출입구가 있는 공모양의 둥지를 트는 종류도 있다. 갈색 찌르레기는 이 두가지 방법을 다 구사하기도 ... ...
1억년전의 새화석 국내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된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두 종류의 새가 발자국을 남겼는데 하나는 현재의 물떼새나
작은
해오리같이 물 위를 걸어다니는 조그만 새이고 다른 하나는 왜가리를 닮은 비교적 큰 새였을 것으로 짐작된다.이 두 층의 새 발자국은 서로 다른 암석층에 음각돼 있었다. 이는 이 두 종이 별개의 지역에서 ... ...
차세대 원전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양은 2백82만㎾의 막대한 양이다.이러한 구조상의 내용을 강조하는 이유는 원자로는 매우
작은
용기내에서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고출력 밀도의 발열장치이므로 첫째 핵분열 현상을 적절히 제어하지 못할 경우 핵연료 용융이 일어날 수 있으며, 둘째 발생된 열을 적절히 2차측으로 제거하여 원자로를 ... ...
이전
791
792
793
794
795
796
797
798
7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