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학"(으)로 총 10,3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상향식연구 확대 운동은 이제 시작…과학자들 함께해주길”동아사이언스 l2017.04.17
- 돈이 쏠리고 소형 자유공모과제의 비중은 줄어들어서 그래요. 어느 순간 ‘이대로 가면 대학의 순수연구 토대가 무너지겠구나’ 하는 절박감이 들었어요. 젊은 연구자들이 연구비에 목매느라 독창성 있는 연구를 못하는 걸 보는 게 제일 속상했어요. 정부를 비판하고 나서면 다음에 연구비를 못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살면서 가장 크게 후회하는 것은?2017.04.16
- GIB 제공 미국의 작가이자 시라큐스대학의 교수인 조지 손더스(George Saunders)의 졸업 축사가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나이든 사람이 되고 보니 젊은 사람들에게 해줄 수 있는 것은 돈을 빌려주거나 옛날식 춤을 추며 젊은이들을 웃기는 것 외에, 내가 이만큼 살고서 무엇을 후회하는지에 대한 ... ...
- 우리 아이 인지능력 발달을 위해 모유수유는 필수코스다?2017.04.15
- 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서 살펴보겠습니다. GIB 제공 아일랜드 더블린대학교 연구진은 모유가 아이의 문제해결이나 어휘와 같은 인지능력에 영향을 끼치는지 3세 및 5세의 아이들, 7,478명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했습니다.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연구진은 사회 경제적 지위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④ 남성성에 대한 열등감- 턱수염의 비밀2017.04.15
- - wikimedia 제공 ※ 필자소개 박한선. 성안드레아병원 정신과 전문의. 경희대 의대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이대부속병원 전공의 및 서울대병원 정신과 임상강사로 일했다. 성안드레아병원 정신과장 및 이화여대, 경희대 의대 외래교수를 지내면서,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정신장애의 신경인류학적 ... ...
- 64년 만에 이뤄진 사랑 ‘감동’ 팝뉴스 l2017.04.14
- 시절을 보낸 두 사람은 2, 3학년 때 같은 동아리에서 활동하며 연인이 되었지만 1953년 대학 진학과 함께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연락이 끊겼고 이후 다른 배우자를 만나 결혼하면서 각자의 인생을 살게 되었다. 그러던 두 사람이 다시 만나게 된 것은 2년 전 병으로 아내를 잃은 짐이 옛 친구를 통해 ... ...
- ‘미래기술 1호 펀드’, 공공기술 사업화 투자 나선다동아사이언스 l2017.04.12
- 개시했다고 밝혔다. 정부출연연구소에서 개발한 공공기술을 사업화하는 연구소기업이나 대학 연구성과 기반 스타트업, 기술지주회사 자회사 등이 주요 투자 대상이다. 이번 1호 펀드에는 미래부가 150억 원, 대전·광주·대구·경북·부산·전북 등 6개 지자체가 107억 원, 국민연금이 200억 원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2017.04.11
- 당신의 눈을 어지럽히지 않을 것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 ...
- [디자인] 세계 도시들의 미니멀 이미지 팝뉴스 l2017.04.11
- 알터의 작품들이다. 그는 예루살렘에서 디자인과 예술을 공부하기 시작했으며 런던 예술 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마친 후에는 런던에 터를 잡았다. 위 이미지들은 ‘도시의 모양’이라는 제목으로 제작된 작품 중 일부이다. 50여 개 유명 도시들의 이미지를 가장 단순하게 요약했는데, 도시의 유명 ... ...
- 1만3000년 전에 치료한 충치 팝뉴스 l2017.04.10
- 제공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교의 인류학자 스테파노 베나치가 3월 27일자 ‘아메리칸 자연인류학 저널’에 발표한 사진이다. 두 개의 치아는 현재의 북부 이탈리아에 1만3000년에서 1만2740년 사이에 살았던 한 사람에게서 나온 것이다. 감염된 치아 내부 조직을 갉아내고 그 속을 역청으로 채워 놓은 ... ...
- “당신 회사에 인공지능 도입, 찬성하시나요?”동아사이언스 l2017.04.10
- 뒤바꾸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등이 그 사례다. 박 박사는 과학기술계, 정부, 기업, 대학, 시민사회, 인문사회과학자 등이 폭넓게 참여해 첨단과학기술에 대해 논의하는 상시 위원회를 꿈꾼다. 세부주제별로 분과를 나눠 기술발달 현황, 발전 방향, 사회적 파급, 기존 제도의 변화가능성, 기존 ... ...
이전7917927937947957967977987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