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d라이브러리
"
가장
"(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SF꽁트 - 전송오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들어왔다고 해도 이 기계가 무엇에 쓰는 것인지 아는 사람은 저밖에 없어요. 이렇게
가장
중요한 전선만 정확히 잘라낼 리가 없어요.”팔짱을 끼고 고민하던 조수가 말했다.“결론은 하나뿐이에요.”“뭔데?”“우리는 시간여행에 성공한 거예요. 과거로 가서 원하는 일을 하고 돌아왔어요. 이 ... ...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전망이 쏟아졌다.하지만 아이패드는 발매된 지 8개월만에 8000만 대라는 전자기기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팔렸다. 잡스가 혁명적인 제품을 내놓을 때마다 이렇게 혹독한 비판을 받아야 했던 것은 사람이 보수적인 동물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과거를 통해서 미래를 보기 때문에 정말 세상을 바꿀 ... ...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름이 바로 여기서 나왔다. 사람들은 이 바이러스로 천연두를 예방했을 뿐 아니라 결국
가장
무서운 질병 중 하나였던 천연두를 종결시켰다. 필자는 이 바이러스가 인류를 암의 고통에서도 벗어나게 해 줄 도구라고 생각하고 있다. 백시니아 바이러스는 숙주의 증식 속도에 맞춰 자란다.암세포는 ... ...
一石二鳥(일석이조)란 이런 것!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듯한 구조를 찾아 범위를 좁혔다.‘mimi’라는 게이머가 만든 구조가 엑스선 관측 자료와
가장
맞아떨어졌다. 며칠 뒤 연구팀은 이 자료를 바탕으로 최종 구조를 완성했다.시민 과학의 힘!이처럼 과학자가 아닌 일반인이 참여하는 연구 프로젝트는 더 있다. 로제타앳홈처럼 분산컴퓨팅 기술로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출신의 과학저술가 스티븐 부디안스키의 ‘개에 대하여’는 개의 행태와 심리를
가장
자세히, 그리고 재미있게 풀어 놓은 책으로 꼽을 만하다. 저자가 비슷한 방식으로 다른 동물을 소개한 ‘고양이에 대하여’, ‘말에 대하여’도 모두 번역돼 있다.개를 궁금해 한 것은 200년 전 다윈 역시 ... ...
사기꾼이 집 청소에 집착하는 사연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나머지 자신에게 뭔가 나쁜 일이 생길지도 모른다고 두려워하고 있다. 그가 생각하기에
가장
나쁜 일은 죽음이다. 그는 ‘죽지 않고’ 무서운 감정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미친 듯이 집안을 청소했다. 집안을 깨끗하게 유지만 한다면 이 안에서 죽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한 것이다. 그가 영화 속에서 ... ...
‘구리실 반도체’ 더 작게, 더 빨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우수하고 전기저항성이 낮다는 의미다. 지구에 있는 모든 물질 가운데 전기전도도가
가장
우수한 것이 바로 은이다. 하지만 은은 자기들끼리 결합하려는 특성이 있어서 구 형태로 뭉친다.반도체에 배선하려면 기판 위에 기다란 선을 그릴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기판과 결합이 어려운 은 ... ...
반도체공학 및 전기화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동을 포함한 화학반응에 대한 것이다. 특히 에너지 전달과 깊은 관련이 있다. 전지가
가장
대표적이다. 연료전지, 태양전지, 리튬 2차전지 등이 있다. 전기화학은 차세대 에너지 개발의 핵심인 셈이다. 표면처리공학의 기본 토대이기도 하다. 반면 반도체공학은 반도체 소자를 소형화하면서도 ... ...
유산균 5형제, 면역세포 길들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연구실은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을 연구하기 위해 장을 들여다봤다. 장은 면역반응이
가장
잘 억제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임 교수는 “장 속에 사는 미생물은 그 무게가 1~1.5kg나 되지만 면역세포는 이들과 조화롭게 살아간다”며 “장 속 세균이 면역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면역조절 T세포’를 ... ...
리얼스틸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두발 로봇 ‘마루’를 개발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유범재 박사는 “현재
가장
발달한 두발로봇은 시속 6~8km로 달릴 수 있지만 이는 정해진 동작을 반복하는 차원”이라며 “권투처럼 움직임이 다양하고 고속으로 온몸을 쓰는 동작을 하려면 몸 전체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 ...
이전
792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