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미
manh
mann
MAN
d라이브러리
"
만
"(으)로 총 13,482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와사신기 - 사신의 부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있다. 국내성 세트의 경우 실제 건물은 30% 정도
만
짓고 나머지는 모두 컴퓨터그래픽으로
만
들었다. 숨 가빴던 격구장면에서도 수천 명의 관중이나 주변 환경은 거의 컴퓨터그래픽으로 완성했다. 비용을 절약하는 것은 물론 작품의 규모를 키우고 완성도를 높이는 데 컴퓨터그래픽이 중요한 역할을 ... ...
빌딩
만
한 신종 공룡 남미에서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공룡 화석이 몸길 이 32m가 넘는 커다란 신종 공룡으로 밝혀졌어요. 이 공 룡은 4층 건물
만
한 높이에 목이 굵고 강한 특이한 모습이에요. 8800
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 말기에 살았죠. 특히 이 공룡은 목과 등, 골반, 꼬리 순서로 전신의 70% 정도가 발굴됐어요. 거대 공룡이 이처럼 온전한 모습으로 ... ...
적혈구
만
한 ‘나노 다보탑’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경주에서 다보탑을 본 적 있나요? 눈에 보이지도 않는 적혈구
만
한 ‘나노 다보탑’ 을 한국 과학자가
만
들었어요. 한남대학교 이광섭 교수와 카이스트 양동열, 공홍진 ... 나노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사진제공 KAIST*마이크론 : 100
만
분의 1m 크기 ... ...
후~! 아빠 때문에 성적이 떨어졌디고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찾은 가족과 헤어지며 닥터고글은 마지막 인사를 한다.“한대
만
씨, 이제 담배는 한 대
만
이라도 피우면 안 돼요~!”오우, 이런! 닥터고글의 썰렁한 농담은 아무도 못 말려~!금연 계획표1. 금연 3일 째-금연 성공 파티2. 금연 1주 째-가족과 함께 외식을!3. 금연 2주 째-가족과 함께 놀이공원!4. 금연 4주 째 ... ...
시속 300㎞ 위그선 2011년 나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0호
일 경상남도 당항
만
에서 우리나라 기술로
만
든 작은 위그선 이 처음 선을 보였죠. 앞으로
만
들 대형 위그선은 길이 77m, 폭 65m로 대형 항공기와 비슷한 100톤의 화물을 싣고 시속 250~300㎞로 운항하는 것이 목표예요. 2011년 이후에는 위그선을 타고 중국이나 일본에 갈 수 있을까요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0호
크게 확대해서 본다. 광시야망원경은 넓은 지역을 한꺼번에 본다. 정밀하게 볼 수는 없지
만
소행성이나 혜성을 발견하는 데에는 더 유리하다. 밤하늘을 아주 정밀하게 찍는 초고성능 카메라도 나왔다(어린이과학동아 9월 15일자 64쪽 참조). 이런 기술이 발전하면 미래에는 고성능 우주망원경이 ... ...
거대한 바다 파이프가 지구를 구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0호
많이 흡수해요.너무 꿈같은 이야기예요. 가능성이 있는 건가요?믿지 않는 사람도 있지
만
실제로 이 계획을 실천 하는 곳도 있어요. 애트모션이라는 미국 회사는 1억 3400
만
개의 파이프를 바다에 심으면 1년에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3분의 1을 흡수할 수 있다고 보고 있어요. 올해 초부터 실험을 ... ...
첨벙! 고향 땅이 물에 잠겼다고 ?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0호
막는 일에 나서야 할 때예요. 더 미룰 시간이 없으니까요.”사건의 궁금증은 해결했지
만
마음이 답답한 닥터고글. 이런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그림처럼 아름다운 노을이 투발루 해변 너머로 펼쳐진다. 이제 살라노 씨와 헤어져야 할 시간. 투발루를 떠나는 닥터고글에게 살라노 씨의 간절한 ... ...
오락가락 변덕쟁이 가을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0호
큰 비라고 했어. 하루에 무릎이 잠길
만
큼 비가 쏟아져서 큰 피해가 생겼지. 하지
만
이건 내 잘못이 아니야!열병에 걸린 지구요즘 내가 더 변덕스러워진 이유는 지구 온난화 때문이야. 지난 14년간 제주도 남쪽 바닷물의 온도가 1℃나 올라갔어. 태평양과 한국 주변의 해수면온도가 높아지면 태풍에게 ... ...
공룡 멸종시킨 밥티스티나 운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9호
두 소행성이 충돌했어요. 이 때 지름 10㎞ 이상의 파편 300여 개와 지름 1㎞ 이상의 파편 14
만
여 개가 생겨났어요. 이 지역을 밥티스티나 소행성대라고 부르지요. 이 중 태양 에너지에 의해 방향을 바꾼 10㎞ 크기의 소행성 하나가 1억 년쯤 우주를 헤매다 지구에 충돌했다고 과학자들은 주장했어요 ... ...
이전
792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