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뉴스
"
규모
"(으)로 총 8,512건 검색되었습니다.
NASA 우주 화물선 실어나르는 로켓, 왜 폭발했나
2014.10.29
X’사가 운영하고 있다. NASA는 2008년 12월 오비탈 사이언스와 19억 달러(약 1조 9900억 원)
규모
의 계약을 체결했는데, 이 계약에 따라 오비탈 사이언스는 2016년까지 시그너스를 8회 발사해 최대 20t의 화물을 ISS에 운반해야 한다. 같은 날 NASA는 스페이스 X와도 16억 달러(약 1조 6760억 원)의 계약을 ... ...
2014 노벨화학상 수상자 에릭 베치그 교수의 새 작품은?
2014.10.26
얻은 태양지진과 태양 자기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했다. 2006년 12월 13일 일어난 대
규모
코로나 물질 방출 뒤 4일 동안 태양 광구에서 자기장이 어떻게 되는지 관찰하고 통계적으로 풀이한 것이다. 그 결과 연구팀은 4일 동안 태양자기장의 에너지가 처음에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점점 ... ...
첨단 융복합 기술의 첨병으로 불리는 3대 기계기술
2014.10.24
FccPP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 플랜트는 개성공단에 필요한 전력 모두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
다. 박성환 기계연 시스템신뢰성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육상 발전소 건설에 필요한 시간과 공간 문제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어 전력 위기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재종 ... ...
“반도체를 뇌에 꽂자는 아이디어 덕에 노벨상까지 받았네요”
2014.10.21
방문했다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을 만났다. 오키프 교수는 그 자리에서 뇌 연구에 대
규모
투자를 결정한 오바마 대통령에게 직접 감사 인사를 했다고 말했다. 현재 그는 뇌과학연구소인 영국 세인즈버리 웰컴센터의 초대 소장을 맡아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오키프 교수는 “연구자의 ... ...
나노바이오융합기술 세계 최고 석학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
2014.10.20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 분야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생산 공정의 혁신이 꼭 필요하다. 대
규모
정밀 공정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정밀 생산공정은 상품의 질과 직결된 부분이기 때문에 바이오의료융합기술 산업화의 핵심 요소다. 1959년 서울 출생으로 고등학교 3학년 때 ... ...
유럽 생명과학연구소 허브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2014.10.17
운영의 5대 철학 중 하나”라며 “1000만 파운드(약 170억 원)를 투입해 연구소 내부에 대
규모
주민센터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크릭 연구소는 올해 2월 런던 과학박물관과 공동으로 하루 동안 ‘크릭의 과학박물관 이벤트’를 열어 설립 주체인 6개 기관 소속의 과학자 100여 명이 강연과 실험 등을 ... ...
국내 첫 도심 연구소 IBS, 2017년 문 열어
2014.10.17
그 주변으로 정부 출연 연구소들이 과학 특구를 이루고 있다. IBS는 2017년 약 26만 ㎡
규모
의 연구원을 1차로 완공하고 9개 연구단을 입주시킬 계획이다. 연구단별로 건물이나 층을 배치하는 대신 실험을 주로 하는 ‘웨트 랩(wet laboratory)’과 이론 연구를 주로 하는 ‘드라이 랩(dry laboratory)’으로 ... ...
[2014 국정감사] “무인기 산업 본격적으로 대비해야”
2014.10.14
세계 무인기 시장은 연평균 10%씩 성장을 거듭해 오고 있으며 2023년 총 13조4000억 원
규모
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민간 무인기 시장은 아마존과 DHL 등 글로벌 기업들이 드론 택배시대를 선언하면서 연평균 35%의 고속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서 의원에 따르면 현재 국토부가 고신뢰성 다개체 ... ...
[2014 국정감사]만들어 놓고 나 몰라라…암울한 한국뇌연구원 활성화
2014.10.13
비하면 우리나라 뇌 연구는 재정 지원
규모
나 진행 속도 면에서 답답한 수준이다. 투자
규모
도 미국의 160분의 1 수준밖에 안 될뿐 아니라 ‘뇌연구촉진법’이 제정된 뒤 한국뇌연구원을 설립할 때까지 14년이 걸릴 정도로 진행 속도도 더디다. 류 의원은 “이런 상황에서 한국뇌연구원을 ... ...
“10년내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
2014.10.10
발표자는 아킬레시 팬디 교수였다. 마지막 날이었지만 팬디 교수의 발표장에는 200석
규모
의 강의실에 발 디딜 틈이 없었다. 그의 연구팀이 ‘네이처’ 온라인판 5월 28일자에 인간프로테옴의 첫 번째 밑그림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팬디 교수팀은 성인과 태아의 조직을 분석해 단백질을 만든다고 ... ...
이전
795
796
797
798
799
800
801
802
8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