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단
방식
방책
양식
조치
방안
계획
뉴스
"
방법
"(으)로 총 10,390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밀도-안정성 월등… 현대 의료 한계 극복”
2016.11.04
이용하지 못하고 10개 내외의 염기서열과 비교하다 보니 정확성이 떨어진다. 이용
방법
이 복잡하다 보니 유전자 가위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실험실이 아니면 이용하기 어려운 것도 단점이다. 징크 핑거를 이용해 유전자를 자르는 데 성공한 실험실은 전 세계에 대여섯 곳, 탈렌은 수십 곳 정도다. 반면 ... ...
화성에 사람 대신 ‘드론’ 보낸다!
과학동아
l
2016.11.03
작은 비행체라도 이착륙을 하기 위해서는 부력이 필요한데 대기가 없으니 이를 확보할
방법
이 없다. 흔히 보는 헬리콥터는 비행체 중심에 있는 메인로터(프로펠러)와 꼬리 부분에 있는 테일로터가 함께 작용한다. 테일로터는 메인로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줄이고 방향을 조절하는 데 쓰이지만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이렇게 작동한다”
2016.11.02
연구진은 이번 분석결과가 전 세계 과학계에서 진행 중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활용
방법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구조와 작용과정을 처음 밝혀 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 발전해 나갈 유전자 교정 산업의 ... ...
특수안경 없이 스마트폰으로 3D 영상 본다
2016.11.02
걸림돌이 돼 왔다. 이 교수팀은 스마트기기 화면 위에 패널 2개를 겹으로 쌓아 붙이는
방법
으로 눈 위에 쓰는 입체 안경을 대신하도록 만들었다. 그 결과 3D 영상의 시청거리를 30㎝로 좁히고, 해상도도 기존보다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이 교수는 “간편한 방식으로 3D 영상을 지원할 수 ... ...
포털이 스팸메일 구분하는 원리를 아시나요?
수학동아
l
2016.11.02
금액을 내야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빠르게 증가하는 모바일 스팸의 양을 줄이는
방법
에도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통신망을 개발한 인류는 통신망을 타고 오는 스팸을 차단할 전략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행히도 이 과정에서 보안 체계도 조금씩 발전하고 있지요. 스팸을 정복하는 ... ...
[궁금한 이슈 why] 페이스북은 왜 스노우를 인수하고 싶어 했을까?
2016.11.02
벤치마킹(이라고 쓰고 베꼈다고 읽는다) 했다고 보면 됩니다. 기본적인 기능이나 사용
방법
등이 비슷합니다. 스냅챗이 주로 미국과 유럽 지역에서 인기를 얻는 동안 스노우는 아시아 시장을 공략했습니다. 지난해 9월 출시 후 5개월 만에 5000만 다운로드를 기록했습니다. 현재 다운로드는 8000만 건에 ... ...
최고 무서운 할로윈 분장, 허공에 뜬 머리
2016.11.02
‘아날로그’ 분장술의 결과일까. 아니면 디지털 작업도 한몫을 했던 걸까. 정확한 분장
방법
은 알려지지 않았는데, 노르웨이에 거주하는 영국인 앨리쉬 악티건이 트위터에 공개한 위 사진들은 충격과 경이감이 동시에 낳는 데 성공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 ...
사람처럼 입체적으로 보는 카메라 나왔다
2016.11.02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간유리를 통과한 산란된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수학적 해석
방법
을 찾아냈고, 이를 이용해 카메라를 만들어 입체사진(홀로그램)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박 교수는 “스마트폰 등에 적용하면 손쉽게 홀로그램을 찍을 수 있는 기술”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 ...
수술 없이 암 치료하는 ‘나노로봇’ 등장
2016.11.01
주로 피부처럼 몸 바깥으로 드러난 부위에만 적용할 수 있었다. 연구진이 새로 개발한
방법
은 나노로봇 기술은 이런 단점을 해결해 인체 내 부위 대부분에 발생한 암을 치료할 수 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종양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이라며 “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는 ... ...
뇌자극 ‘신경전극’ 개발… 뇌졸중 치료 가능성 열었다
2016.11.01
반응해 안전하게 뇌신경을 자극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정 실장은 “전기화학적
방법
을 사용해 제작하기 때문에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며 “5년 내 상용화할 계획으로, 뇌질환자의 기능회복을 돕고, 인공지능 시스템 구현 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 ...
이전
795
796
797
798
799
800
801
802
8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