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설비
시설
장치
설립
세트
설치물
창설
d라이브러리
"
설치
"(으)로 총 3,016건 검색되었습니다.
끝없는 도전의 산물 NASA 우주복
과학동아
l
201003
잡고 이동하다 보면 손가락의 열을 빼앗길 수 있기 때문에 장갑 속에는 따뜻한 히터도
설치
돼 있다. 또 EMU의 몸통 부분과 두 팔을 연결한 부분에는 베어링을 달아서 가압상태에서도 어깨와 팔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EMU 는 상체와 하체가 분리돼 있고, 우주인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팔 길이를 ... ...
국산 기술로 시속 300km 달린다
과학동아
l
201003
전 객실로 확대했다. 또 우등실 앞쪽과 뒤쪽 의자와 특실의 모든 의자에 콘센트를
설치
했다.코레일 고속차량팀 양인철 팀장은 “KTX-II는 동력전달방식이 기계식이던 KTX와 다르게 유압식이어서 고속으로 달릴 때 고장이 나도 유압을 순간적으로 뺐다 다시 넣는 방식으로 계속해서 시속 300km를 유지할 ... ...
일상에서 출발해 큰 무대 누비다
과학동아
l
201003
하는 노력에서부터 시작된다. 연구실에 들어서자 여느 사무실과 다름없지만 천장에
설치
된 열교환환풍기가 눈에 띈다. 바깥 공기를 들여보내고 내부 공기를 빠져나가게 하는 열교환으로 에너지를 절약하는 설비다.또한 연구 결과를 실제 검증할 수 있는 실험시설도 세계적인 수준이다. 복사냉난방 ... ...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03
알려진 꼭대기에는 정자석이 2단으로 짜여 있다. 이곳에서 혼천의 같은 소형 관측기기를
설치
해 놓고 밤하늘을 관측했던 것으로 보인다. 신라 밤하늘 머리 꼭대기에는 어떤 별이? 전통시대에는 밤하늘의 별을 관측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혼효중성을 관측하는 일 이다. 이는 천문학적인 기준시간을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02
태종 15년(1415년)에 제지장들을 관장하고 직접 종이도 만드는 조지소(造紙所)가
설치
돼 제지기술의 보급, 지질의 개량, 합리적인 생산 관리가 본격화됐다.태종실록에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세종 대에는 수요가 크게 늘어난 종이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종이의 원료를 닥나무뿐 아니라 볏짚, ... ...
한국 원전 첫 수출, 숨은 비결은
과학동아
l
201002
같은 곳이다. APR1400의 제어실은 한국이 자부하는 여러 첨단 IT가 적용됐다. 발전소 곳곳에
설치
된 수많은 센서가 보내온 각종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처리해 원자로를 항상 최적의 상태에서 운용할 수 있게 했다.IT야말로 원전 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운전자의 오판을 완벽히 막아주는 안전판인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02
속도가 느려진다. TIP 커브 벽 50cm 이상 세운 트랙콘크리트 트랙 위에 냉각파이프를
설치
해 얼음으로 덮인 표면을 만든다. 250m 정도부터는 시속 80~100km의 속도가 나올 수 있게 트랙을 만들고, 결승선에 다다르기 전 100m 정도는 썰매의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약간 위로 경사지게 만든다. 커브를 돌 때 ... ...
아이폰 vs 옴니아2 당신의 선택은?
과학동아
l
201002
그동안 스마트폰은 IT기기에 익숙한 IT 마니아들만의 전유물이었소.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하기 위해 인터넷을 뒤지고 두꺼운 매뉴얼을 읽어야 했지만 아이폰은 손가락 하나로 모든 것이 가능하지요. 윈도가 아무리 익숙하다 해도 직관적인 아이폰의 UI에는 못 당할 것이라 아뢰오.옴니아2걸 : 무슨 ... ...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01
사육하려는 방안이 그것. 연천군은 1만 500m2 면적에 전기 철조망과 이중 펜스를
설치
해 아무르호랑이 6마리를 사육하고, 개체 수가 늘면 단계적으로 보호지구를 66만m2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 정도면 상암월드컵경기장이 11개가 넘게 들어갈 수 있는 크기다. 면적이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자연 적응장을 ... ...
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
과학동아
l
201001
지난 8월 궤도 진입에 실패한 나로 호에 실려 있던 과학기술위성 2호에는 SLR 실험 장치가
설치
되기도 했다. 이 기술은 레이저 출력을 높이면 위성을 공격하는 기술로 응용할 수 있다.위성을 쫓는 데는 레이저와 함께 광학 기술도 사용된다. 레이저로 위성 위치는 알아낼 수 있지만 어떤 위성인지는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