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설계도
도표
도면
투시도
배선도
겨냥도
수평투상
d라이브러리
"
평면도
"(으)로 총 887건 검색되었습니다.
35㎜ 콤팩트 카메라시대 열려
과학동아
l
199302
오토포커스 줌 내장플래시 등의 기능이 뒷받침되어 아마추어도 전문가 수준의 작품사진에 도전할 수 있게 됐다.사진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지도 어언 1백년이 넘어서도 있지만 아직도 카메라는 그다지 쉽게 다룰 수 없는 기계 중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결혼식 졸업식 등 크고 작은 일들을 추억으 ... ...
3차원 전자학술지 등장
과학동아
l
199302
논문이 컴퓨터 모니터 상에 나타난다. 이 전자식 논문에는 애니메이션과 시뮬레이션기법이 도입되는데… 그동안 학자들은 자신의 연구를 시작하기 앞서서 다른 학자들이 그 분야에서 먼저 이룩한 연구결과들을 검토했는데 이때 도서관에 비치된 학술지가 가장 유용한 자료였다. 또 학자라면 누 ... ...
맨눈과 망원경의 차이
과학동아
l
199301
천체망원경으로 관측을 해도 별이 주먹만하게 보이지 않는다. 우선은 망원경의 실상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다.광학기기 판매장이나 학교 과학실에서 천체망원경의 모습을 보면 "이것으로 밤하늘을 보면 별이 주먹만하게 보이고 또 우주의 모습을 들여다보면 뭔가를 볼 수 있는거구나!"라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11
뒤 돼지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평면도
를 컴퓨터에 그리도록 돼 있다. 그러면 컴퓨터는 이
평면도
를 영상분석해 돼지의 체중을 계산하는데, 그 오차는 5% 이내다.이 장치를 제대로 사용하려면 돼지들의 꼬리에 전자꼬리표를 달아야 한다. 각각의 돼지들을 식별하기 위해서다. 실소연구소는 일단 돼지의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11
21세기초 기가비트를 절정으로 한계에 부딪칠 것으로 예상되는 실리콘반도체 기술을 극복하기 위해 양자소자 광소자 바이오소자 3차원집적 MMIC 등의 미래 반도체들이 연구되고 있다.기억소자의 발전은 1970년대 이후 반도체 기술을 선도해 과학기술용으로 한정되리라 예측됐던 컴퓨터를 대중화시켰 ... ...
태극마크를 둘로 나눠라!
과학동아
l
199211
컴퓨터 2진법의 원리를 반영한 태극마크는 미국「북캘리포니아 철도회사」의 로고로도 사용되고 있다.풀어보고(1) 기하학에도 많은 파라독스들이 있다. (그림 A)에서는 8X8=64개의 정방형으로 구성된 정방형을 A, B, C, D의 4개로 나눴다. 이들을 (그림 B)처럼 다시 배열해 보니 13X5=65개의 정방형이 생 ... ...
컴퓨터가 정식과목 되지 않는 한 좋은 성적 어렵다
과학동아
l
199209
처음 참가하여 비교적 높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실제 실력이 상위권이라고는 결코 말할 수 없다. 컴퓨터가 정식 교과목으로 자리잡지 못하고 결과 위주의 교육이 계속되는 한 다음 대회에도 좋은 성적을 거둔다는 보장이 없다.국제 정보올림피아드(IOI, International Olympiad in Informatics)는 만 20세 미만 대 ... ...
새로운 완전수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09
영국의 과학자들은 최근 새로운 완전수와 솟수를 발견해냈다. 이 작업에는 슈퍼컴퓨터까지 가담했는데….풀어보고(1) 다음 문제는 주변을 돌아보지 말고 기억만으로 답해보기 바란다. 다음 그림은 두가지로 표시된 숫자판의 일부이다. 계산기와 전화기의 번호판은 각각 어떤 형태로 되어 있을까? ... ...
밝은 성단(星團)
과학동아
l
199208
"찬란한 금빛으로 두껍게 아로새겨진 성찬용 접시같은 저 하늘의 바닥을 보라"-베니스의 상인, 5장1막에서셰익스피어를 포함한 옛날사람들에게 밤하늘은 사람이 만든 빛들로 얼룩진 모습이 아니었다. 그들은 우리보다 별들을 더 잘 볼 수 있었으나 우리가 갖고있는 천체망원경이 없었기 때문에 우 ... ...
2 흑연 다이아몬드에 이은 제3의 화합물 ${C}_{60}$
과학동아
l
199207
상온핵융합 고온초전도체와 함께 20세기 후반의 최대 과학이슈로 떠오른 풀러렌을 해부한다.탄소(carbon)라는 단어는 석탄을 뜻하는 라틴어인 carbo에서 유래한다. 탄소는 질량수가 6인 원자로서 전자 6개, 양성자 6개로 구성돼 있다. 자연계에는 ${C}^{12}$와 ${C}^{13}$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전자와 양성자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