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심
불안
염려
고민
시름
심려
고뇌
d라이브러리
"
걱정
"(으)로 총 2,199건 검색되었습니다.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되므로 서아프리카에 다녀온 지 몇 주가 지났는데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걱정
할 필요가 없다. 만약 최근에 서아프리카에 다녀왔는데 에볼라 출혈열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입국 시국립검역소에 신고하고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에볼라 출혈열 예방하는 백신 개발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6호
할까요? 잠깐, 혹시 방독면이 필요한 건 아닐까요?자석과 살수차로 공기를 깨끗하게
걱정
마세요. 지하철 터널과 차량의 공기는 모두 바깥의 깨끗한 공기와 순환되거든요. 더럽혀진 공기는 환기구를 거쳐 바깥으로 내보내고요. 길에 있는 환기구에 쓰레기를 버리면 안 되는 이유랍니다.공기 중에 있는 ... ...
철썩 철썩 쏴아~ 아름다운 파도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6호
바닷물이 눈과 코로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요? 친구들은
걱정
하지 마세요! 제가 편안하게 파도 속으로 첨벙~ 뛰어 들 수 있게 해 줄게요. 자, 눈을 더 크게 뜨고 어서어서 다음 장으로 철~썩!작가소개클라크 리틀(Clark Little)은 파도 사진으로 유명한 하와이의 사진작가예요. ... ...
한여름 세균과의 전쟁 구린내 괴물 퇴치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5호
최고!어린이의 경우 아포크린 땀샘에서 땀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액취증과 같은 병을
걱정
할 필요는 없어. 게다가 액취증이라고 해도 성장기의 어린이들은 아포크린 땀샘을 제거하는 치료는 되도록 하지 않는 것이 좋단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주 씻고 말리는 거야. 에크린 땀샘의 땀이든 아포크린 ... ...
트랜스지방이 안 좋은 이유 밝혀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먹으면 살이 많이 찌겠구나!사람들은 나를 먹고 살이 찌는 것보다 건강이 나빠질까봐
걱정
을 많이 해요. 자연적으로 생긴 트랜스지방은 양도 적고 위험성이 적은데다, 몸속에서 유익한 물질로 바뀌기도 하지요. 하지만 가공 과정에서 생긴 인공 트랜스지방은 먹으면 위험해요. 몸속에서 나쁜 ... ...
어린이 안전 지키으리~! 올백시큐리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조심해야 해. 어린이가 목숨을 잃는 안전사고의 원인이 대부분 교통사고란다. 하지만
걱정
마. 오늘은 이 의리아저씨가 직접 횡단보도로 나와 너희들에게 길 안내를 해 주기로…. 앗, 길을 건널 때에는 스마트폰을 절대 들여다보지 말라고~!01 횡단보도 밖 무단횡단 금지!신호등 색깔이 바뀐 것을 못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완벽한 확신이 불가능한 것 역시 당연하다.수학의 확실성에 대한
걱정
은 독일의 철학자인 이마누엘 칸트에서 영국의 철학자인 버트런드 러셀까지 많은 이가 지니고 있었다. 그 때문에 독일의 다비드 힐베르트 같은 수학자는 20세기 초에 수학의 완벽한 공리화의 중요성을 ... ...
[과학뉴스] 컴퓨터 열로 난방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난방비가
걱정
되는 추운 겨울이 왔다. 전기난방기구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블랙아웃을 막기 위해, 몇 년 전부터 한국 정부는 학교와 공기업 등에 난방을 제한해 왔다. 만약 사무실 컴퓨터에서 나오는 열을 모아 건물 난방을 한다면 어떨까. 황당한 이야기가 아니다. 실제로 이런 일을 하겠다는 ...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제 목표로 삼아도 좋을 것 같아요. 여자친구 사귀기 힘든 것만 빼면 힘든 것도 없고. 아주
걱정
이 풀린 건 아니지만, 최 박사님을 멘토 삼아서 노력해 보려고요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추리를 만나보지도 못하고 차가운 우주에서 영원히 자게 될 수도 있잖아요. 과학자들도
걱정
이 많았나 봐요. 동력장치를 1년에 걸쳐서 서서히 끈 걸 보면요. 전 957일 뒤에 울릴 알람을 맞춰놓고 쿨쿨 잤어요. 추리와 행복한 시간을 보내는…, 긴 꿈을 꿨죠.올해 1월 20일 드디어 겨울잠에서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