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웃음 가스’로 만든 테라헤르츠 레이저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데 한계가 있었다. 그런데 최근 미국 하버드대와 매사추세츠공대(MIT), 미 육군
공동
연구팀이 다양한 대역 폭의 테라헤르츠파를 생성할 수 있는 광원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웃음 가스’로 알려진 아산화질소(N2O)를 이용했다. 상온에서 테라헤르츠파를 발생시키는 양자종속레이저(QCL) 빔을 ... ...
[과학뉴스] 남극 공룡의 깃털은 방한용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웁살라대와 호주 스윈번공대 등
공동
연구팀이 호주 쿤와라 유적지 근방에서 1억1800만 년 전 중생대 깃털 화석 10개를 발견해 분석했다. 이들 화석은 그간 남반구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던 종류였다. 이번에 발견된 화석은 수각류 공룡의 털과 같은 머리에 달린 깃털, 솜털 같은 몸의 깃털, 원시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극지연구소는 정밀한 빙하코어 분석을 위해 동위원소 비율 질량 분광분석기와 파장 스캔
공동
광자감쇠분광(CRDS) 분석기를 구축해 산소 외에도 수소와 이산화탄소 그리고 미량의 중금속들을 분석하고 있다.극소량의 시료를 분석하는 만큼 분석실에는 티끌만 한 오염물질도 허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doi: 10.1038/s41586-019-1119-1 연구팀은 올해 8월 페이스북과
공동
으로 개발한 웨어러블 뇌-컴퓨터 접속기술 장치도 공개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뉴럴링크(Neuralink)도 올해 7월 원숭이를 대상으로 뇌-컴퓨터 접속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필자가 속한 ... ...
[과학뉴스] 로봇배달원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포드사는 디지트를 언제부터 택배 기사로 고용할지 정확히 밝히지는 않았지만, 디지트를
공동
개발한 어길리티 로보틱스는 “디지트를 약 2020년부터 상용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답니다 ... ...
[통합과학교과서] 용궁이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했어요. 그러다 지난 5월 23일 캐나다 사이먼 프레이저대학교 브랜들박사가 이끄는 국제
공동
연구팀은 다윈의 역설에 대한 해답이 산호초 바닥에 사는 작은 물고기들에게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해답으로 제시한 물고기는 해양 척추동물 중 크기가 가장 작은 종으로 망둥어과, ... ...
아폴로부터 아르테미스까지, 우주복의 진화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태워 우주로 보냈다. 버진 갤럭틱도 10월 16일 미국 스포츠 브랜드인 언더아머와
공동
으로 개발한 파란색 우주복을 공개했다. 브랜슨 회장은 우주복을 직접 입고 모습을 드러냈는데, 미국 SF드라마의 고전 ‘스타트렉’의 우주복과 닮았다는 평을 얻었다. 그는 “우주복은 우주여행에 대한 인상을 ... ...
몬스터는 억울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여성 줄리아 파스트라나예요. 지난 2009년 중국의학과학원과 베이징연합의과학대학교
공동
연구진은 선천적 전신성 다모증에 걸린 사람들은 17번 염색체에 결함이 있다는 점을 밝혀냈어요. 선천적 전신성 다모증이 있는 가족과 이 증상이 없는 친척들의 게놈을 비교 분석한 결과지요. 늑대인간 ... ...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도를 그리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편집자 주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우주론과 행성 연구 등 두 분야의 연구자가
공동
으로 수상했다. 이에 따라 해설 기사도 두 분야로 나눠 싣는다. ‘태초의 빛’을설명해 내다 천문학계에서는 빅뱅 후 38만 년 뒤 분리돼 온 우주에 깔린 태초의 빛을 우주배경복사(CMB)라고 부른다. 우주론과 ... ...
[수학뉴스] 정수보다 작은 수 체계에서 쌍둥이 소수 추측은 참?!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수학과 교수와 마크 슈스터만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캠퍼스 수학과 교수의
공동
연구팀은 ‘유한체’를 이용했습니다. 유한체는 정수보다는 작은 수 체계로 정수의 성질을 닮았지만, 정수와 다르게 원소의 개수가 유한 개입니다. 유한체에서 쌍둥이 소수 추측은 다항식에 관한 문제로 표현할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