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뜨거운 태양이 연구실에? 인공태양 케이스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표면이 플라스마 상태예요. 플라스마란, 온도와 압력이 아주 높아 원자핵과 전자가
분리
되는 상태를 말해요. 이런 상태에선 수소 분자 두 개가 만나 헬륨 분자 한 개를 만드는 ‘핵융합’이 잘 일어나요. 이때 헬륨의 질량이 줄어들면서 어마어마한 양의 에너지가 발생하게 된답니다. 태양이 ... ...
총알보다 빠른 혜성에 착륙하라! 로제타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위험이 적은 제논(Xe)이온을 이용하지. 일단 제논 가스에 전압을 걸어 전자와 양이온으로
분리
시켜. 그 중에 무거운 양이온을 빠른 속도로 가속시켜서 밖으로 내뿜으면, 그 힘으로 탐사선이 움직일 수 있는 거야.최근에는 핵엔진도 각광받고 있어. 핵분열이나 핵융합 과정 중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 ...
로제타, 혜성 착륙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3호
한국 시각 11월 13일 새벽 1시 3분, 유럽우주국 관제센터는 혜성탐사선 ‘로제타’로부터
분리
된 탐사 로봇 ‘필래(위 사진)’가 혜성 ‘67P(아래 사진)’에 무사히 안착했다고 밝혔어요. 얼음과 먼지로 이루어진 67P는 태양계가 만들어지던 초기에 함께 만들어진 혜성으로, 크기는 지름 4km 정도예요. 6.4 ... ...
100년 전 수첩에서 유령입자까지 남극 미스터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3호
그 뒤에 남극대구가 남극에 사는 가장 진화한 물고기인 점무늬빙어와 황점남극양태로
분리
됐다고 추측하고 있답니다. 남극대구가 진화하면 투명한 피 가진 물고기 될까?점무늬빙어와 황점남극양태는 남극대구처럼 남극에 사는 고유종이에요. 하지만 남극대구는 다른 물고기처럼 피가 빨간색인 ... ...
바이오가스에서 접시까지 낙엽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않도록 하고 미생물의 침입을 막아 준다. 이렇게 떨켜가 생기면 나뭇잎은 가지에서 점점
분리
가 되고 기공이 닫혀 생명을 잃고 만다. 그리고 결국 낙엽이 된다. 나무는 추운 겨울을 날 수 있도록 몸속 수분과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낙엽을 만드는 것이다. 낙엽에도 순서가 있다!봄철 나뭇잎은 가지의 ... ...
같은 듯 다른 존재? 쌍둥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돌연변이를 발견했대.이 돌연변이가 쌍둥이 중 아빠에게만 나타나는 이유는 수정란이
분리
된 직후에 아빠의 유전자에만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야. 엄마 뱃속에 있는 동안 환경에 의해 유전자에 변화가 생긴 거지. 이런 연구들이 쌍둥이가 태어날 때 100% 똑같은 유전자를 갖고 있을 것이라는 기존의 ... ...
[교과연계수업] 같은 듯 다른 우리는 쌍둥이!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땀샘, 주름 등의 특징을 밝혀내 ‘입술지문’이란 표현이 생겼다. 입술지문은 수정란이
분리
된 뒤 만들어지기 때문에 일란성 쌍둥이도 다르다. 지문태아가 엄마 뱃속에서 자라는 동안 손가락 피부가 만들어질 때 생기는 주름이다. 그러나 두 태아가 받는 힘이 완전히 똑같지 않기 때문에 주름이 ... ...
원자력안전 1박2일 캠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자란 전복보다 3배 이상 빠르게 자란답니다. 냉각수는 원자로나 터빈과 완전히
분리
되어 있기 때문에 방사성물질에 오염될 염려가 없어 안심해도 돼요. 양식장에서 자란 물고기는 발전소 주변에 사는 주민들에게 나눠 주기도 하고, 매년 바다의날에 치어 40만 마리와 전복 15만 마리를 바다에 ... ...
너무 무서우면 병? 공포증 탈출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자라면 엄마와 떨어지는 것을 두려워하는
분리
불안이 생기게 돼. 하지만 만 3세가 되면
분리
불안은 사라진단다. 5세 전후에는 점점 활동이 늘어나면서 세상의 많은 것들에 공포를 느끼기 시작해. 이 때 상상력도 크게 발달해서 귀신같은 존재도 무서워져. 전에는 뇌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해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이온 추진 로켓도 장착한다. 제논 가스에 전압이나 자기장을 걸어 전자와 양이온으로
분리
한 뒤 무거운 양이온을 빠른 속도로 가속시켜 내뿜는 이온엔진은 연료효율이 좋다. 시속 1만5000km까지 우주선을 가속시키기 위해 기존 화학로켓은 연료를 3500kg이나 쓰는데, 이온로켓은 540kg만 있으면 된다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