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주
객체
바깥
밖
바깥세계
외부
주위
d라이브러리
"
외계
"(으)로 총 975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 만국 공통언어로 부활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표시
외계
인이 알아차릴 수 있는 기호는 무엇일까. 1972년 3월 발사된 파이어니어 10호에는
외계
인과 접촉할 경우를 대비한 그림엽서가 담겨 있다. 파이어니어 10호는 1973년 12월 목성 탐사를 마쳤으며, 2백만년 후 황소자리 눈에 해당하는 알데바란에 도착할 예정이다. 그림엽서는 알루미늄면에 도금을 ... ...
① 우주 탄생에서 박테리아 등장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연대 측정을 통해 간접적으로 추정할 뿐이다.드물긴 하지만
외계
의 생명체가 운석(심지어는 UFO!)에 의해 지구로 운반된 것이 근원이라는 주장이 있다. 하지만 운석이 대기권을 진입할 때 발생하는 심한 마찰열 때문에 여기에 생명체가 묻어 왔을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 ... ...
1999년 컴퓨터 바이러스 경보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사용하고 가공할 만한 정보시스템을 가동한다. 즉 지구인이 만든 바이러스 프로그램은
외계
인의 컴퓨터에서 작동하기 어렵다. 인디펜던스 데이의 내용이 엉터리인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하지만 인디펜던스 데이가 주는 ‘교훈’도 있다. 컴퓨터 바이러스가 그만큼 치명적이라는 사실을 일깨워 준 ... ...
꿈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아침식사를 하면서 뉴스를 보던 디스플레이가 바로 월 비전이다. ‘프레데터’에서
외계
인은 전투복 표면에 주변과 동일한 디스플레이를 해 자기 몸을 감추고 있다. ‘에일리언’을 보면 에일리언 1편에서는 우주선 안의 디스플레이는 주로 CRT 모니터가 쓰였지만 2편, 3편으로 갈수록 주로 평판 ... ...
1999년 인류 종말은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진지하게 연구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자세를 잃어서는 안 된다.천체 충돌 가능성 없어
외계
인 침공도 아니라면 가장 그럴 듯한 ‘공포의 대왕’ 정체는 혜성이나 소행성의 충돌 가능성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는 1998년 혜성과 소행성이 각각 지구와 충돌하는 줄거리를 가진 ‘딥 임팩트’나 ... ...
② 네티즌과 즐기는 신나는 게임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로마를 건국할 수 있고(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외계
의 어느 종족이 돼 또 다른
외계
종족과 맞서 싸울 수도 있다(스타크래프트). 현실의 세계에서는 16강에 오르지 못했지만 게임으로는 브라질 네티즌의 콧대를 납작하게 해 줄 수 있는 축구 게임(피파 99)도 있다.에뮬레이터 게임도 PC 사용자들의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만약 물이 없 다면 만들어 써야 하는데, 여기에 드는 비용과 노력이 막대하기 때문에
외계
식민지를 개척할 때 물이 있는 곳은 엄청난 이점을 지니게 된다.달의 식민지를 묘사한 소설은 많이 있지만, 대표작으로 하인라인의 휴고상 수상작품인 '달은 무자 비한 밤의 여왕'(1966)을 들 수 있다. 이 ... ...
외계
행성 찾는 새로운 방법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관측할 수 없었다.그런데 최근 미국 애리조나 대학의 천문학자들이 항성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들의 사진을 찍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했다. 대학원생인 필 힌즈와 동료들은 행성이 별빛에 사라지는 것을 막기 위해 눈부심을 제거하는 방법을 썼다. 그들은 행성의 영상은 남겨두는 반면 밝은 별로부터 ... ...
Ⅱ 제2, 제3의 지동설 준비하는 유니버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연구원들은 모험을 감수해야 했다. 대표적인 예가 상원의원 브라이언에 의해 취소된
외계
생명체탐색(SETI) 프로젝트였다. 다행히 스필버그 등의 스타들이 후원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민간천문단체인 행성협회 등에 의해 맥이 이어지고 있다 ... ...
NASA 40년 파노라마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만약
외계
인들이 지구를 침공한다면 이에 맞설 지구사령부는 어디가 될까. 아마 많은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NASA(미 항공우주국)를 꼽을 것이다. NASA는 지난 40년 동안 우주개발의 리더로서 군림해왔다. NASA는 어떻게 탄생해 어떤 발전과정을 거쳤으며, 지금까지 미국은 물론 인류에게 어떤 기여를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