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움직임"(으)로 총 2,985건 검색되었습니다.
- [Infographic] 인체의 지지자 뼈는 왜 강한가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역동적인 인체’ 두 번째 주제는 골격입니다.관절이 우리 몸의 움직임을 담당한다면, 골격은 몸의 형태를 담당합니다.몸을 지탱하고 형태를 잡아주며 인체를 보호하기도 하죠. 근육과 상호작용해 몸을 움직이게 하고 다양한 자세를 취하게 해줍니다.살아 있는 조직뼈는 살아 있는 조직이다. ... ...
- [Future] ‘작은 것’들의 반란 나노카 레이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분자가 결합된 부분이 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분자의 모양이 바뀌면서 일정한 기계적 움직임을 할 수 있는 분자 혹은 분자 집합체다. 나노카 레이스는 주사터널현미경(STM)으로 중계됐으며, 나노카들은 STM 탐침에서 나오는 전류로 움직였다. 분자 바퀴, 공중부양…중계엔 전자현미경나노카 ... ...
- Part 4. 거대 도시에서 행복하게 사는 법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정체와 돌풍을 막으려면 건물으 짓기 전에 바람을 예측해야 합니다. 흐르는 물질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풀면 바람의 방향과 속도의 근삿값이 나옵니다. 어떤 건물을 지었을 때 풍속이 어떻게 변할지 시뮬레이션한 뒤, 적당한 풍속이 나오도록 설계안을 수정하는 거죠 ...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느릿느릿 소, 알고 보니 전략가!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어떤 이유에서 그렇죠?소3 : 연구팀은 풀을 빨리 먹는 무리와 천천히 먹는 무리의 움직임을 예측했어요. 그 결과 행동을 바꿔 두 무리 사이를 옮겨 다니는 소도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볼트 교수는 “이 모형이 인간의 행동을 예측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지요. 우리 소와 인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청소 위성, 우주 쓰레기를 부탁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것조차 쉽지 않아요. 그래서 우주 환경과 비슷한 조건을 만들어 지상에서 청소 위성의 움직임을 시험하고 있지요.”실제로 청소 위성은 아랫부분에서 고압가스가 계속 뿜어져 나와 유리판 위에 떠 있었어요. 마치 중력이 없는 우주공간에 둥둥 떠다니는 것 같았답니다.청소 위성, 쓰레기 포획에 성공 ... ...
- Intro. 뇌파로 조종한다? 똑똑한 거대 로봇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위잉~, 쿵! 위잉~, 쿵”드디어 첫 출동이다! 우리는 어린이가 위험에 처한 곳이라면 어디든지 달려가는 거대로봇 듀오야! 좀 전에 도움을 요 ... 걸음걸이] 두 발로 걸어라!Part 3. [디자인] 키는 쑥쑥~, 몸무게는 쏙~!Part 4. [움직임]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하라!Part 5. [거대로봇]은 어디에 쓰일까 ... ...
- Part 4. [움직임]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사람의 움직임을 전달하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거대로봇들의 조종석엔 의자와 막대기 모양의 조종기가 있어요. 조종사가 조종기를 쥐고 ... 2. [걸음걸이]두 발로 걸어라!Part 3. [디자인]키는 쑥쑥~, 몸무게는 쏙~!Part 4. [움직임]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하라!Part 5. [거대로봇]은 어디에 쓰일까 .. ...
- [Infographic] 체조부터 발레까지… 춤은 ‘관절’이 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몸은 고요한 순간에도 역동적으로 움직입니다. 때로는 그 움직임이 보이지 않을 때도요. 우리 몸의 역동성을 보여줄 수 있는 특성을 미니시리즈 인포그래픽과 함께 살펴봅니다. 첫 화는 다양하고 복잡한 동작을 가능하게 한 관절의 유연성입니다. 관절 유형신체는 전체적으로 보면 복잡한 방식으로 ... ...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1897년 발견했다.홀 효과 추력기는 이 현상을 이용해 플라스마 상태의 전자와 양이온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추진장치다. 양이온이 배출 되면서 생기는 작용반작용의 원리로 추진력을 얻는 것은 이온추력기와 같지만, 배출시키는 동력을 자기장에 의한 홀 효과로 얻는다는 점이 다르다.큰 차이가 아닌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신경능세포 역시 배아의 머리, 가슴, 몸통 부분에 모두 존재합니다. 이런 신경능세포의 움직임을 관찰해 보면 하나의 규칙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 세포들이 등에서 배쪽으로 수평 이동할 뿐, 위아래로는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머리쪽에서 만들어진 신경능세포가 몸통쪽으로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