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자"(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실제로는 녹색 수염 유전자는 없으리라고 한동안 여겨졌다. 그러나 세균에서 녹색 수염 유전자에 상응하는 실제 예가 발견되면서 오늘날에는 협력자 ‘끼리끼리’를 가능케 하는 하나의 중요한 기제로 대접받고 있다. 요컨대, 족보에 의한 혈연관계는 이타적 행동을 통해 행위자의 포괄 적합도를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당신 조상들이 구축해 둔 게놈 자료 등을 최대한 이용했지만, ‘인간처럼’ 생각하는 유전자와 시냅스를 단숨에 만들 수 없었어요. 그래서 시뮬레이션을 돌렸죠. 소중한 생명을 만들고 실험에 낭비할 수는 없잖아요. 그 결과 불연속성을 느끼지 못할 만큼 ‘인간적인’ 후손을 만들면… 결국은 ... ...
- [과학뉴스] 6세기 페스트균의 정체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염기 서열을 확인했다. 또 페스트균이 병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 유전자 nrdE, fadJ, pcp와 돌연변이 30개를 발견했다.연구팀은 “당시 페스트균은 현대에 추정한 것보다 유전적으로 훨씬 다양했을 것”이라며 “고대 게놈을 복원하는 연구를 통해 병원균의 진화와 역사적 사건을 연구할 ... ...
- [News & Issue] 세균, 콜레라 그리고 물고기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것은 사실입니다. 정부는 최근 경남 거제 앞바다에서 콜레라균(Vibrio cholerae)이 검출됐고, 유전자 분석 결과 지금까지 발생한 콜레라 환자 네 명 중 세 명의 균과 일치한다고 밝혔습니다.바닷물이 콜레라균에 오염됐다는 사실이 뜬금없게 들릴 수도 있는데요. 전문가들은 폭염을 원인으로 보고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주름이 향한 방향까지도 비슷했다. 지금까지 뇌 주름이 생기는 데 GPR56, 라미닌감마3 같은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었다. 하지만 뇌가 물리적인 힘을 받아 직접적으로 주름이 생긴다는 사실은 이번에 처음으로 밝혀졌다.주름을 알면 주름 잡을 수 있다! 뇌질환의 원인과 치료법을 찾을 ... ...
- [Knowledge] 수컷 침팬지는 폭력의 대명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는 젖먹이 새끼를 죽여 암컷 개체의 생리주기를 임신 가능한 상태로 바꿔 자신의 유전자를 퍼뜨리려는 본능적인 행동이다. 종족을 보존하려는 적극적인 행동일 가능성이 있으며 사자, 고릴라, 랑구르원숭이 등 다른 다양한 동물 종에서도 발견되는 행위다.침팬지가 무리 내에서 흔히 보이는 ... ...
- [과학뉴스] 식물 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Plant Biotechnology Journal)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가장 단골로 다루는 소재는 유전자 편집 가위인 ‘크리스퍼’ 기술이다. 크리스퍼로 유전자를 조작한 식물이나 박테리아 연구가 매달 2~3편씩 저널에 실린다. 우리나라 과학자들도 식물 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대표적인 것이 농촌진흥청이 2010년에 개발한 ... ...
- [포커스 뉴스] 유전자 가위 NgAgo 재현성 논란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실험방법을 공개했다. 하지만 이 역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게 과학자들의 반응이다. 유전자 가위를 개발하는 툴젠의 김석중 이사 역시 “NgAgo의 효율이 매우 낮거나 작동하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는 성명서를 통해 진상파악을 위해 절차를 밟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하지만 장내미생물을 ‘제2의 게놈’이라고 부르는 데는 큰 무리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유전자와 장내미생물을 종합하면 우리 몸의 생명활동에 대한 이해가 어마어마하게 높아질 것만은 사실이니까요.” 천 교수는 미생물의 특성을 잘 모르는 일반인들에게 특히 장내미생물의 효과와 한계를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유전자가 개체군에서 이미 99%나 존재한다고 해도 이타주의자는 자신의 사촌이 같은 유전자를 지닐 가능성이 99%보다 더 높으리라고 기대할 수 있다.정리하자. 근연도는 개체군 평균에 비해 행위자와 수용자가 유전적으로 얼마나 더 유사한지 알려주는척도다. 근연도가 0보다 크다면, 해밀턴의 규칙에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