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을 맞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지난 10년 동안 총 2만 224명의 시민 참여자가 13만 6916건에 달하는 탐사 기록을 작성했을 정도다. 지구사랑탐사대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라는 취지에 걸맞게 연구자와 시민 탐사대원의 협업으로 이루어진다. 연구자는 사전 강연이나 현장 탐사를 통해 탐사대원들에게 탐사할 생물에 관해 자세히 ... ...
- [힉스 10년] 빅뱅보다 먼저 일어난 급팽창, 힉스가 원인일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전역에 균질하다. 이는 우주배경복사가 만들어질 당시 서로 빛으로도 도달할 수 없을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던 지역들이 똑같은 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마치 한 번도 소통한 적 없는 지구 반대편의 사람이 우연히 똑같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건물을 지은 것과 비슷한 상황이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맷돌 도난사건의 범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지구 전체가 종이 울리듯 미묘하게 진동하는 현상인 ‘자유 진동’이 곳곳에서 관측될 정도였죠.최초의 지진 감지계는 132년, 중국 천문학자 장흥의 손에서 처음 만들어졌는데, 어떻게 연구팀은 수천년 전 규모 9.5의 지진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을까요? 연구팀은 칠레 북부의 아타카마 ... ...
- [특집] 수학자가 사랑하는 체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10살에는 체스대회에 참가해 모든 경기에서 승리했고, 12살에 체스클럽 정식 회원이 됐을 정도로 체스 실력이 뛰어났지요. 그는 성인이 된 뒤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하면서도 체스 연구를 계속했어요. 수학을 활용하면 논리적이고 정확한 방식으로 체스를 둘 수 있다고 생각했지요.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3화. 영국의 스타 수학자, 마커스 드 사토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예술의 다리 Q. 교수님은 언제, 어떻게 수학자가 되기로 마음을 먹으셨나요? 만 13살 정도 됐을 때였어요. 저는 학교에서 수학을 그렇게 잘하지도 좋아하지도 않는 평범한 학생이었는데 어느 날 학교 수학 선생님이 저를 부르시더니 ‘드 사토이, 너는 진정한 수학이 뭔지 배워 봐야 할 것 ... ...
- [킹앤포] 급한 과제도 함께하면 문제없지!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서로 뒤바뀌는 치열한 접전이 펼쳐졌어요. 특히 1등 팀과 2등 팀은 푼 문제 수가 똑같을 정도로 실력의 우열을 가리기가 힘들었는데, 최종 제출 시간이 아슬아슬하게 더 빨랐던 :P 팀이 1등을 차지하며 최우수상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저는 이제 10월에 열리는 ‘한국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를 ... ...
- 몸집 작은 상어와의 먹이경쟁에 밀려 멸종? 메갈로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이빨을 비교해 메갈로돈의 크기를 추측하고 있다. 이제껏 메갈로돈의 크기는 10~16m 정도로 알려져 있었다. 메갈로돈은 더 크고, 빠르고, 많이 먹었다최근 연구에 따르면 메갈로돈은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더 거대했을 수도 있다. 2022년 8월 스위스 취리히대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1860년대에 발견된 ... ...
- [어덕행덕] 필름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 카메라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통과 유리통이 일렬로 늘어서 있었습니다. 이곳이 사진관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죠. 곳곳에 보이는 액자 속 자동차 사진만이 그가 자동차 광고 기획자인 것을 생각나게 했습니다.“‘라이카로 찍으면 다르다’라는 광고 글에 꽂혀서 구매했던 거 같아요. 근데 너무 어려운 카메라로 ... ...
- [슬기로운 세특 생활] 연세대 의과대학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사람이 쾌적함을 느끼는 지수인 열파지수를 도입하여 온도와 습도에 따른 쾌적함의 정도를 비교, 분석함. ●여러 학년에 걸쳐서 활동이 이어지도록! 1학년 때 했던 ‘교실 좌석배치에 따른 열효율에 관한 연구’에서 아쉬웠던 점이 있었습니다. 연구를 중간에 마무리하기도 했고, 논문을 쓰느라 ... ...
- [에디터 노트] 실패한 밸런스와 경고등과학동아 l2022년 11호
- 가능할까?’ 기사에 대해 특히 관심을 보였습니다. 아직 어두컴컴한 방에 촛불 하나 켠 정도지만, 데이터를 하나씩 쌓을 때마다 독자들이 원하는 기사에 대해 어렴풋이 알 것도 같다는 생각이 싹틉니다. 이번호에서는 그 ‘색깔’을 찾기 위해 애를 많이 썼습니다. 예미랩, 노벨상 등 기초과학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