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인간의 척추는 왜 이런 모양?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구조를 갖게 됐을까’라는 오래된 질문에 답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월 7일자에 게재됐다. doi: 10.1038/s41467-019-13026-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2016년 시작됐고, 마침내 올해 6월부터 남극에서 빙하코어 시추를 시작했다. 국제
학술
지 ‘네이처’와 ‘사이언스’는 올해 가장 주목해야 할 뉴스 중 하나로 이 프로젝트를 꼽기도 했다.시추는 2025년 5월까지 6년간 계속될 예정이다. 허 책임연구원은 “밑으로 내려갈수록 압력이 높아지면서 예상치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죽은 지 약 4시간이 지난 돼지의 뇌 신경세포를 되살리는 데 성공했습니다. 4월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공개된 연구팀의 설명에 따르면 돼지의 뇌세포에 특수 용액을 주입하자 뇌세포가 더 이상 파괴되지 않았고, 심지어 일부 뇌세포에서는 6시간 동안 활성 신호가 포착됐습니다. 비록 고차원적인 ...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어디서나 살고 있어 생태학자들에게 지렁이는 매우 중요한 지표 동물이다. 최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는 전 세계 ‘지렁이 지도’가 최초로 공개됐다. 연구자 140명이 전 세계 지렁이 연구자들로부터 57개국 6928곳에 이르는 땅밑 지렁이의 분포와 개체수, 그리고 종별 데이터를 수집해 정리한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알고리즘이 활용됩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 연구팀이 올해 4월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한 언어 합성 연구가 대표적입니다. 연구팀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측두엽 일부에서 얻은 뇌 신호를 언어로 바꿔 음성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doi: 10.1038/s41586-0 ... ...
양자우월성 배 라이벌 매치, 구글 VS IBM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200초 만에 이 확률을 빠르게 계산한 뒤 크로스 엔트로피 값을 구한 거야. 현재 이 결과는
학술
지 네이처 10월 23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어. 서밋을 만든 미국의 컴퓨터 회사 IBM은 구글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것 같아. IBM은 구글이 양자우월성을 달성했다는 소식을 전하자 시커모어가 푼 문제를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늘어날 것이다. 마츠모토 마사카즈 일본 오카야마대 복합학연구소 교수팀은 2017년 국제
학술
지 ‘화학물리학저널’에 얼음이 300개 이상의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doi: 10.1063/1.4994757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능한 얼음의 결정 구조를 모두 만들어냈고, ... ...
‘알라딘’의 파란 피부 지니는 청색증 환자?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체내로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이 굳이 필요없어 사라지는 형태로 진화했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생태와 진화’ 2월 26일자에 밝혔다. doi: 10.1038/s41559-019-0812-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어디서나 살고 있어 생태학자들에게 지렁이는 매우 중요한 지표 동물이다. 최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는 전 세계 ‘지렁이 지도’가 최초로 공개됐다. 연구자 140명이 전 세계 지렁이 연구자들로부터 57개국 6928곳에 이르는 땅밑 지렁이의 분포와 개체수, 그리고 종별 데이터를 수집해 정리한 ... ...
[과학뉴스] 머리 많이 쓰면 단명한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유전학과 교수팀은 뇌세포의 전기적 활동 정도가 노화와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10월 16일자에 발표했다. 그동안 신경계 활동과 질병의 상관관계를 밝힌 연구는 많았지만, 수명과의 상관관계를 밝힌 것은 드물었다.연구팀은 55~100세에 신경 장애나 인지 손상을 겪고 사망한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