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d라이브러리
"
한쪽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소변 가리기도 경쟁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수 있다. 하지만 그런 균형 감각을 갖추기란 쉽지 않다. 균형 감각을 갖추지 못하고 어느
한쪽
으로 기울면 어김없이 문제가 발생하고 만다.예를 들어 거대담론주의자들은 숲만 보고 나무는 못 보는 타입이다. 이들은 현실의 모든 문제를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보려고 한다. 1960년대에 ‘잘 ... ...
물리 - 편광에 대한 편견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빛은 횡파이다.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진동한다. 햇빛과 같은 자연광의 경우 빛은 무수히 많은 방향으로 진동한다. 이런 자연광과 달리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을 편광이라고 한다. ...
PART 2 각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힘의 크기가 달라지면서 더 빨리 회복할 수 있게 되죠. 하지만 순간적으로 비행기 몸체가
한쪽
으로 많이 기울어져야 하니, 위험성을 무시할 순 없겠죠. 때에 따라 알맞은 비행을 안전하게 하려면, 날개를 어떤 각도로 펴야 하는지 반드시 잘 알아야겠죠?*상승기류위쪽으로 향하는 공기의 운동을 ... ...
올해 KMO 1차, 예년보다 어려웠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형태의 문제가 등장했다. 앞으로 두 분야가 혼합된 문제가 자주 나온다면 분야를 나눠서
한쪽
에 치중하는 학생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셋째로 이번 시험에서 조합 분야에서 6점짜리 문제가 출제되지 않았다. 조합 문제가 너무 어려우면 정답률이 매우 낮아져 변별력이 오히려 떨어진다는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있습니다. 그래서 시간이 갈수록 마비 증상이 더 심해지죠.”TMS를 이용해 망가진 뇌(
한쪽
반구)를 자극한다 해도 여전히 반대쪽 뇌보다는 활성이 적기 때문에 다시 기능이 떨어진다. 그러나 tDCS를 이용하면 양 쪽 뇌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양극을 망가진 쪽에 붙여 활성화시키고 음극을 반대쪽에 ... ...
Part 1. 눈과 귀 사로잡는 오디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교수팀은 이런 경향을 실험으로 증명했다.연구진은 실험 참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쪽
에는 회사의 긍정적인 미래상이 담긴 정보를 주고, 다른 그룹에게는 회사 로고가 아주 매력적이라는, 다소 설득력이 떨어지는 정보만 제공했다. 그리고 참가자들에게 이 회사가 일할 만한 회사인지를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숨 막히는 스포츠 속 운동화의 비밀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마지막 부분의 끈만 잘 매도 신발을 편하게 신을 수 있다. 그림과 같이 마지막 부분에서
한쪽
끈 사이로 다른 쪽 끈을 넣어 빼면 신발 위쪽이 꽉 조여져 발뒤꿈치가 신발 뒤축에 밀착되는 효과가 나타난다.운동화만 잘 신어도 능력치 쑥쑥대부분의 사람들은 축구를 하든 달리기를 하든 같은 운동화를 ... ...
PART 3 힘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또는 왼쪽 아래로 비행해야 한다면, x축을 기준으로 양 날개에 작용하는 양력을 조절해
한쪽
날개를 원하는 방향으로 기울이면 경로는 그 방향으로 바뀌게 되죠. 만약 이를 좀 더센 강도로 기울인다면 비행기의 몸체는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빙글빙글 돌 수 있어요.새들의 날개는 윗면이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발굴과정에서 육안으로 살펴본 결과 20~30대 사이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한쪽
폐가 비대해진 바싹 마른 체형으로 볼 때 폐병 등 만성질환을 앓 았을 확률이 높았다.한국미라의 특징은 보관상태가 우수하다는 것이다. 2009년 나주에서 발견돼 화제가 됐던 ‘나주 미라’를 비롯해 출산 중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한 염색체에서 결손될 경우 오히려 암이 억제돼야 하지 않을까(염색체 쌍 가운데
한쪽
에만 있으므로 단백질 발현량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고민하던 보겔스타인 교수는 마침내 새로운 가설을 내놓는다. 즉 p53은 원래 암 억제인자인데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기능을 잃어버리거나 거꾸로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