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금속이 슬라임처럼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영화 에는 액체 인간이 등장합니다. 이 액체 인간을 이루는 소재로 잘 알려진 건 액체 금속입니다. 액체 금속을 연구하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소주희 연구원을 만나 ... 갖춰나가기도 하는데, 현실에서는 아직 이게 불가능합니다. 이런 점을 극복한 연구를 해보고 싶어요 ... ...
- [JOB터뷰] “좋은 일이 생길 거예요” 큰 귀 토끼 ‘베니’ 구작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반갑습니다’구작가(구경선)를 처음 대면한 기자는 두 손을 ‘따봉’ 모양으로 만들고 가슴 앞에서 몇 차례 흔들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조용한 언어, 수화로 표현한 반가움의 ... 사인본을 드립니다. 더 많은 베니를 보고 싶다면 소셜미디어 공식 계정(@benny_licensing)을 방문해 보세요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넌 다리가 몇 개니? 귀뚜라미 로봇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진짜 곤충과 달리 8개의 다리를 붙입니다. 이때 결합 부위에 ‘와셔’를 꼭 끼워야 해요. 와셔는 나사 같은 연결 부위에 끼우는 얇은 판으로, 움직임이나 진동 때문에 나사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도 하죠. 완성된 귀뚜라미 로봇은 8개의 긴 다리로 왼쪽과 오른쪽을 차례로 딛으며 앞으로 나갑니다. ... ...
- [인터뷰] 필즈상 허준이 교수 아버지 허명회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명예교수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되기 때문에 사회에 나가서 큰 경쟁력이 없을 수 있다. Q ─ 마지막으로 학생들한테 해 주고 싶은 말은 무엇인가. 내가 통계학자지만 지나치게 계산하며 살지 말라고 말하고 싶다. 어떤 일을 할 때 돈, 명예부터 생각하는 마음을 가지면 그 일의 아름다움이 눈에 잘 안 들어온다. 나도 가정형편이 안 ... ...
- [수학체험 유랑단] 영암의 테셀레이션 의상실을 찾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체험하면서 재밌게 수학을 배우고 싶다고요? 그런데 어떤 걸 만들고 어떤 재료를 사용해야 할지 막막하다고요? 그래서 기자들이 전국에 ... 한 꼭짓점에 모이는 내각의 합이 도형의 개수와 상관 없이 360°만 이루면 됩니다. 이를 활용해 나만의 티셔츠를 또 만들어 볼 수 있어요 ... ...
- [에디터 노트 ]‘실친’을 만들 수 있는 곳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보는 느낌이랄까? 뷔페에 와 있는 느낌!” 권민경 독자위원이 올해 개편한 과학동아 1월호에 대해 평한 의견입니다. 이다연 독자위원은 ... 아직 갈 길이 멉니다. 과학동아는 지금보다 훨씬 더 재밌어질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도와주신다면요. 함께해 주실 거죠 ... ...
- [특집] 인간의 지능, 인간이 만든 지능을 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알아내기 위해서다. 이상완 교수는 “(앞으로 AI와 인간의 관계에서) 악순환을 경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사람이 사진을 찍을 때 예쁜 것만 찍는다면 이 편향된 데이터를 학습한 AI도 편향되겠죠. 우리의 편견이 AI에 흡수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편향이 생긴 AI를 계속 접하다 보면 우리의 ... ...
- [뉴스&인터뷰] 화석 없이 200만 년 전 그린란드를 복원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대서양 북극 어귀에 있는 덴마크의 거대한 섬, 그린란드. 이곳에서도 북위 80°가 넘는 최북단의 피오르 어귀에는 ‘카프 쾨벤하운 층(kap københavn ... 고환경DNA는 그린란드의 과거 생태계가 인류로 하여금 지구 온난화 시대를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보여주는 ‘오래된 미래’일지도 모른다 ... ...
- [과학사 극장] 갈릴레이는 정말 피사의 사탑에서 실험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그런 거짓된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듣고자 하는 진실은 무엇일까? 진리를 찾고 지키기 위해 꺾이지 않는 마음, 그것이 우리가 갈릴레이에게서 기대하는 진실일 것이다. 박민아. 과학사 연구자. 과학사의 컨텐츠를 대중화하는 일에 관심이 많아서 책도 쓰고 학생들과 보드게임을 만들기도 합니다 ... ...
- [5년 후, 과학은] 의생명과학과 공학의 경계, 조직공학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나노 바이오 전자소자, 바이오 센서, 바이오 칩과 같은 인접 분야의 기술과 결합해 더욱 진화할 날이 곧 올 겁니다. 조직공학의 개념이 학술지에 소개된 지 30년이 지났습니다. 정교한 생명을 다루는 낯선 분야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기엔 매우 짧은 시간입니다. 실험실에서 이룬 조직공학의 성과가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