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뉴스
"
바다
"(으)로 총 2,66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연히 만난 운명의 벌레가 ‘갈로아’를 만들다
2021.01.23
그렸다. 일주일이면 충분할 줄 알았는데, 무려 4주가 걸렸다. 해백합 하나를 그리더라도
바다
와 강이 만나는 부분, 해수면의 잔잔함 정도 등을 토대로 해백합이 휘어져 있는 정도와 먹이를 섭취하는 구조를 최대한 사실적으로 그려내야 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현존하지 않는 과거의 생태계를 그려야 ... ...
땅에서만 쏘란 법 있나…버진 오빗, 공중 로켓 발사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1.19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지난해 9월에도 산둥성 해상에서 창정 11호를 쏘아 올렸다.
바다
에서 로켓을 쏘아 올리는 해상 발사 방식은 발사 비용을 줄인다는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이론적으로 지구에서 로켓을 쏘아 올리기 위한 최적의 장소는 적도다. 적도에서 로켓을 쏘면 로켓이 우주로 올라갈 때 ... ...
[랩큐멘터리] 자연에서 캐낸 생체 소재가 가져온 의료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1.01.19
하고 접착력이 너무 약해도 곤란하다. 연구자들은 의외로 자연에서 이 물질을 찾았다.
바다
의 홍합이 이렇게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하는 접착제를 이미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차형준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분자생명공학연구실은 생물이 만들어내는 생체 분자를 세포와 분자 차원에서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모빌리티 기술
과학동아
l
2021.01.16
소프트 메터 (다니엘 라 크래프트 네덜란드 라이덴대 물리학과 교수팀) 제공 잔잔한
바다
위를 항해하는 배에서 금방이라도 선원들이 나와 분주하게 움직일 것 같다. 선실부터 지붕 위 굴뚝까지 정교하게 구현된 이 배의 크기는 단 3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머리카락 위에 올려놓으면 ... ...
지구상 가장 큰 대왕고래의 대화 엿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3
개체 수 파악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원상 극지연구소 빙하환경연구본부장은 “남극
바다
에 설치된 관측망을 활용해 멸종위기종 및 다른 해양동물들의 서식 연구와 함께 기후변화가 남극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등으로 연구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이달 ... ...
[과학게시판] 재료연, 온라인 기업지원 화상회의 플랫폼 무료 개방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1.13
시화조력발전소 건설 등으로 수질이 회복되는 노력을 담았다. 38권 ‘천리안, 하늘에서
바다
를 연구하다’는 세계 첫 정지궤도 해색위성 ‘천리안’을 소개한다. 발간된 책자는 서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 ...
한반도까지 내려온 북극공기 제주도까지 얼었다…제주 첫 한파경보
동아사이언스
l
2021.01.06
영향을 줬다. 해빙은 빛을 반사해 수온이 높아지지 않게 해주는데 해빙이 줄어들면
바다
가 데워지고 기압대가 형성된다. 올해는 한반도 서쪽이자 우랄산맥 북쪽의 바렌츠·카라해의 해빙이 평년보다 적은 상태가 유지되면서 우랄산맥 부근에 차가운 공기를 막는 효과가 커졌다. 이는 차가운 바람이 ... ...
세포 키워 얻은 고기, 불판에 올리는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마이어스 아쿠아 대표는 "지난해 다시마육포 생산에 18t의 다시마를 사용함으로써
바다
에서 907kg의 탄소를 격리시켰다"며 "이는 300개의 치즈 버거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탄소를 흡수한 것과 같다"고 말했다. 배양육 연구의 대부로 불리는 빌렘 반 앨런 교수가 소에게 인사를 하는 모습이다. 뉴 ... ...
[주말N수학]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
수학동아
l
2021.01.02
않는 것을 프래탈리시모의 묘미"라며 "이 곡을 들으면 밀물이 서서히 차오르는 밤
바다
의 크고 작은 소용돌이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느낌이 들 것"이라고 말했다. 플래탈리시모에서 피아노를 연주한 박진형 피아니스트는 “선율이 이어지지 않고 음이 조각조각 살아있는 느낌이 프랙털을 표현한 것이 ... ...
2020년 코로나19 말고 이런 연구도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1
443.2m)보다 높아 당시 영국 가디언 등 외신에서 많이 다뤘다. 연구팀은 이후 수중로봇을
바다
밑으로 내려보내 거대한 산호초의 모습을 영상에 담았고, 그 결과 다양한 물고기들이 산호초를 서식지 삼아 사는 것으로 확인됐다. ○ 동토층이 녹자 곰 이빨이 드러났다 러시아 동토층이 녹으면서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