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설계도"(으)로 총 4,3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상청 신임 예보국장에 인희진…첫 여성 예보국장동아사이언스 l2024.01.01
- 인희진 기상청 신임 예보국장. 기상청 제공 기상청은 기상청 신임 예보국장에 인희진 국장을 임명했다고 밝혔다. 여성이 예보국장에 임용되는 것은 처음이다. 1일 자로 전보 임용된 인 신임 예보국장은 2006년 기상사무관으로 채용된 후 총괄예보관실, 예보기술과장, 예보정책과장, 기획재정담당 ... ...
- '그곳'의 털이 더 곱슬인 이유 찾는 과학자…"코팅 소재 개발할 것"과학동아 l2023.12.31
- perimental Dermatology 제공 2023년 6월 피부과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익스페리멘털 더머탈러지’ 표지엔 알록달록 지점토를 겹겹이 쌓은 듯한 이미지가 실렸다. 이미지의 정체는 털의 외부 덮개인 ‘큐티클’. 실제 촬영한 큐티클 이미지에 디자인 툴로 한 층씩 색을 입힌 것이었다. 그것이 과연 어떤 부 ... ...
- 4000억 투자하는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실질적 경제성 챙겨야"동아사이언스 l2023.12.29
- COP28에 참가한 한국, 미국, 프랑스 등 22개 국은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2050년까지 원자력에너지 발전량을 3배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새해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의 삭감에도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기술개발 사업 예산은 올해 31억원 대비 ... ...
- '농업 분야 슈바이처' 한상기 교수 등 4인 과학기술유공자 선정동아사이언스 l2023.12.28
- 故 김성완 교수, 故 김재관 교수, 한상기 교수, 故 송희성 교수(왼쪽 상단부터 시계 방향). 과기정통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고(故) 김성완 미국 유타대 교수 등 4명을 과학기술유공자로 신규 지정했다. 과기정통부는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에 헌신한 공로로 고 김성완 미국 유타대 교수, ... ...
- 원자력 '게임체인저' i-SMR 안전 규제·본격 육성 추진동아사이언스 l2023.12.28
- 지난 18일 SMR(소형모듈원자로) 안전 규제 방향 선포식에서 안전 규제 방향에 대해 설명하는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장. 연합뉴스 제공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 및 에너지 수급 문제 해결을 위한 '게임체인저'라 불리는 '소형모듈원자로(SMR)'의 안전 규제 기반을 마련하고 내 ... ...
- KAIST, 이산화탄소 분해 과정 '원자 수준'에서 관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2023.12.28
- KAIST 연구팀의 논문이 게재된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속표지.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구리 단원자 촉매 전극 표면에서 일어나는 이산화탄소의 전기화학적 환원반응을 원자 수준에서 실시간 관찰했다. 이산화탄소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활성 촉매 형성 과정을 관찰하는 데 성공 ... ...
- "반도체·디스플레이·2차전지, 세계 1위 수준 초격차 기술 확보할 것" 동아사이언스 l2023.12.28
- 과기정통부는 반도체·디스플레이·2차전지 등 3대 주력기술 개발에 2024년 1009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정부는 반도체·디스플레이·2차전지 등 3대 주력기술에 대해 '세계 1위 수준의 초격차 기술'을 확보하겠다고 28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지난 4월 ... ...
- 얇은 필름 쌓은 '풍선 실험실'로, 우주 감마선 정밀 포착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3.12.27
- 얇은 필름을 여러장 쌓아 중성자별이 방출하는 감마선을 정확히 포착했다. 일본고베대 제공 사진 필름을 '팬케이크'처럼 층층이 쌓아 중성자별이 내뿜는 감마선을 1000만 분의 1밀리리터(ml)의 정확도로 잡아냈다. 아오키 시게키 일본 고베대 천체물리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감마선 관측용 ' ... ...
- [주말N수학] KAIST 퍼즐 동아리가 밝힌 '데블스 플랜' 필승전략수학동아 l2023.12.24
- 넷플릭스 제공 연예인, 바둑기사, 변호사 등 다양한 직업군에서 12명이 모여 상금을 걸고 게임을 펼치는 서바이벌 예능 ‘데블스 플랜’은 최근 시즌2 제작을 확정하며 다시 주목받고 있다. 수학과 퍼즐을 좋아하는 시청자들이 유독 데블스 플랜에서 집중하는 것이 있으니 바로 스릴 넘치는 각종 ... ...
- 우주쓰레기 태우는 게 최선일까…"금속 에어로졸 영향 고려해야"과학동아 l2023.12.23
- 우주쓰레기 도비라. 과학동아, Privateer Spac 제공 우주 쓰레기 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옛 소련이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쏘아 올린 1957년부터 2023년까지 지구 궤도를 도는 위성만 어림잡아 1만1330개에 달한다. 우주쓰레기에 대한 우려가 지속될 수밖에 없다. 중요한 건 해결책이다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