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뉴스
"
천문
"(으)로 총 2,160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1.03.27
발표했다. doi: 10.1103/PhysRevD.103.023014 이번 연구에 참여한 루카 코미쏘 미국 컬럼비아대
천문
학과 연구원은 “수천~수만 년 뒤 인류는 태양 대신 블랙홀 주변에서 살아갈지도 모른다”며 “(블랙홀에서 에너지를 얻는 것은) 기술적인 어려움이 남아있을 뿐 물리학적으로는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 ...
주변 물질 삼키고 에너지 내뿜는 블랙홀 자기장 모습 첫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한국인 연구자도 4명이다. EHT 한국연구팀을 이끌고 있는 손봉원
천문
연 책임연구원은 “
천문
연이 보유하고 있는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을 활용한 관측을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 ...
현대물리학 표준모형 깨지나…과학계 새 입자 ‘렙토쿼크’ 발견 가능성에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입자인 ‘렙토쿼크(leptoquark)’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된 것이다. 양운기 서울대 물리
천문
학부 교수(CERN CMS 한국팀 대표)는 “이번 측정 결과가 맞다면 힉스 발견보다 더 큰 발견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LHC의 4개 검출기 중 하나인 LHCb 실험 데이터에서 나왔다. LHCb에서는 바닥쿼크가 ... ...
‘빅뱅 머신’ LHC, 10년 간 힉스 포함 59개 새 입자 발견…국내 중소기업 역할 톡톡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것들뿐이었다. 가령 양성자는 쿼크 3개로 구성된 입자(바리온)다. 양운기 서울대 물리
천문
학부 교수는 “테트라쿼크의 존재는 이론적으로도 논란이 있었는데 이번에 존재가 처음 확인됐다"고 말했다. 테트라쿼크 발견으로 물리학자들의 숙제는 더 늘어났다. 윤 교수는 “중력이나 전자기력은 ... ...
정체성 논란 오우무아무아 "질소 얼음으로 된 행성 파편"
연합뉴스
l
2021.03.18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인공물이라는 주장을 폈던 하버드대학
천문
학과의 에이브러햄 로브 교수는 AP통신에 "'이전에 보지 못했던 것'을 고려할 때는 인공물 가설을 테이블 위에 계속 올려놓고 같은 종류의 것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를 수집해야 한다"고 했다 ... ...
지구 두 차례 위협한 소행성 자전 속도 빨라지고 있다…충돌 위험 커질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2029년 4월 14일 지구에서 매우 가까운 3만1000km 떨어진 지점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천문
연은 이 시기에 맞춰 탐사선을 아포피스에 보내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 박사후연구원은 “아포피스의 경우 최근 지구와의 충돌 확률은 더 낮아진 것으로 알려졌다”며 “탐사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 ...
노화 불가피 ‘허블’ 대신할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지상 테스트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사실상 ‘퇴역’을 암시하는 징후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는 셈이다. 우주론과
천문
학 연구자들의 시선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을 향하고 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잇기 위해 2007년 발사될 예정이었지만 기술적인 문제로 수차례 개발이 지연되면서 당초 계획보다 1 ... ...
한국 첫 소행성 탐사 타깃 ‘아포피스’ 지구 근방서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조건이 만들어진다.
천문
연 연구진들은 아포피스 관측을 위해 전세계 30여개가 넘는
천문
대와 함께 국제 공동 관측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추적 및 특성 분석 연구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다. 아포피스의 회전 상태를 규명하고 형상 모형을 도출해 소행성 탐사 임무 수행시 탑재체 설계와 탐사선 ... ...
집 앞에 떨어진 돌조각, 알고보니 '생명 비밀' 간직한 운석
연합뉴스
l
2021.03.10
자연사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영국의 한 작은 마을에 떨어진 운석 조각들이
천문
학자들을 흥분시키고 있다. 운석이 태양계 생성기인 약 46억년 전의 화학 성질을 그대로 유지한 희귀 물질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어쩌면 생명의 기원에 관한 단서가 담겼을 수도 있다고 학자들은 기대한다 ... ...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피해 수습에만 570억원…재건 여부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환경을 복구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1963년 아레시보
천문
대와 함께 건설된 이후 57년 동안 외계 신호 포착, 노벨상 수상 업적인 쌍성 펄서 발견 등 과학에 혁혁한 공을 세웠다. 반사판의 지름이 305m로 2016년 지름이 500m인 중국의 구면전파망원경(FAST)이 등장하기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