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울
seoul
뉴스
"
한양
"(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꿈의 신소재’ 온실가스 잡는다…그래핀 필터 첫 개발
채널A
l
2013.10.06
자신의 주장을 접고 연구진의 성과를 인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박호범 /
한양
대 에너지공학과 교수] 그래핀 분리막은 기존 고분자 분리막에 비해서 CO2를 1000배 이상 빨리 통과시킬 수 있구요. CO2와 질소 같은 경우 20배 이상 더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습니다. 연구진은 2~3년 안에 ... ...
그래핀 기술 세계 최초 상용화, 우리나라가 먼저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04
‘꿈의 신소재’ 그래핀의 상용화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한양
대 에너지공학부 박호범 교수는 그래핀을 이용한 차세대 이산화탄소 분리막 기술을 개발하고 2, 3년 내에 상용화할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분리막은 정수기 속 필터처럼 특정 물질만 통과시키는 막을 ... ...
[신나는 공부]정시모집 늘어나니 수능에 ‘올인’? 교내 비교과 활동 챙겨야
동아일보
l
2013.10.01
필요가 있다. 단, 무분별한 대회 참가는 큰 도움이 되지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 이정은
한양
대 입학사정관은 “‘학생부 기록 내실화’ 방침에 따라 교내 대회에 참가한 총인원수도 학교생활기록부에 표기되므로 평가과정에서 학교에서 무분별하게 상을 준 대회를 찾아내기가 더욱 쉬워질 ... ...
온도 낮추면 전기 안통한다고? 아니올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16
전기가 통하지 않고 절연체가 되는 것을 '금속-절연체 상전이 현상'이라고 한다.
한양
대 물리학과 조준형 교수와 이준호, 김현중 연구원은 이 상전이 현상을 설명하던 기존의 이론을 뒤집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 연구진에 따르면 게르마늄에 나노(1nm는 10억 분의 1m) 두께로 ... ...
전 세계인을 경악케 한 1mg
동아사이언스
l
2013.09.16
있어 가난한 테러리스트나 사교 집단들이 사용하기 편한 무기라고 판단하고 있다.
한양
대 화학과 최정훈 교수는 “군인들에겐 방독면이나 아트로핀 주사가 보급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 대비가 가능하지만 일반인 중 평소 이것들을 가지고 다니는 사람이 누가 있겠냐”며 “사린가스에 ... ...
日 신형 고체연료 로켓 ‘엡실론’ 발사성공
동아일보
l
2013.09.16
일본이 처음 발사한 고체연료 로켓’이라고 보도했다. 일본 우주개발 전문가인 김경민
한양
대 교수는 “엡실론은 언제든 무기로 전용될 수 있다”며 “일본 국산 기술로 개발한 데다 발사비용을 낮추고 대량생산도 쉬워 군사적 의미가 작지 않다”고 말했다. 도쿄=박형준 특파원 lovesong@donga.com ... ...
“난 억울해” 동태가 기가 막혀
동아일보
l
2013.09.12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방사능 괴담에 지나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고 지적한다. 이재기
한양
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최근 일본산 수산물에서 미량의 방사능이 검출됐지만 이 역시 인체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라며 “정부가 여론에 떠밀려 수입 기준 등을 흔들면서 국민에게 ... ...
[신나는 공부]대입정책 개편에 따른 고입전략
동아일보
l
2013.09.10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기 어려워 모집인원을 줄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배영찬
한양
대 입학처장은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무력화되면 논술전형 지원자 수가 대폭 늘어 논술시험 응시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찾기 어렵다”면서 “수많은 논술 답안지를 채점하기도 쉽지 않으므로 대학 ... ...
80년 동안 제사도 봉양도 못 받은 王
동아사이언스
l
2013.09.03
이 공간 안에서만 생활하도록 행동범위를 제한한 것이다. 현재 청령포에는 단종이
한양
을 바라보며 시름에 잠겼다고 전하는 높이 80미터 되는 낭떠러지 노산대, 망향탑 돌무더기 등 슬픈 역사가 남아 있는 유물들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자라고 있는 소나무 가운데 가장 키가 큰 소나무로 ... ...
조선왕조에서 가장 슬픈 이야기를 가진 소년 王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대 단종(1441~1457)의 능이다. 조선 왕릉은 현재 북한에 있는 2기를 제외하고 대부분 도성인
한양
을 중심으로 반경 4~40km에 조영됐다. 그러나 조선 제6대 단종의 장릉(莊陵)은 유일하게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산133-1번지에 있다. 이곳은 산으로 겹겹이 둘러싸인 오지로 면적은 107여 만 평이나 된다.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