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신체
육체
인체염색체
염색체
몸채
사람몸
스페셜
"
인체
"(으)로 총 89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해당하는 유전자가 없을 뿐 아니라 습도수용체 유전자 자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인체
에는 습도계가 없다는 말인데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습도를 느끼는 것일까. 1905년 스웨덴의 생리학자 토르스텐 툰베리는 1905년 출간한 저서 ‘인간생리학 안내’에서 우리가 습도를 느끼는 건 기계감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버닛이 이런 이론을 내놓을 때 실험실의 연구원들은 몇몇 만성염증 환자의 혈청에서
인체
조직을 항원으로 하는 항체를 발견했고 버닛은 면역관용에서 면역불관용으로 관심을 돌려 자가면역질환의 개념을 확립하게 된다. 그렇다면 왜 우리 면역계는 자기 조직에 대해 관용을 버리게 되는 것일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연구자들은 줄기세포로 만든 인공장기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주목하고 있고 최근 FDA도
인체
의 장기를 모방한 칩으로 독성실험을 처음 승인했다. 다음으로 실험에 쓰인 재료나 장비의 문제다. 생물의학 분야의 연구자 대다수는 물리학이나 화학에 대한 지식이 깊지 않기 때문에 다른 실험실이나 ... ...
[사이언스 지식IN] 미세먼지와 황사는 무슨 차이 인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3.17
주의해야합니다. Q. 미세먼지가 심해지면 알레르기 반응이 심해지나요? A. 미세먼지는
인체
에서도 축축한 호흡기나 눈 등의 점막 등에 달라붙어 염증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따라서 재채기를 하거나 콧물을 흘리고, 눈이 빨개지거나 가려움증이 생기는 등 알레르기 유사 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용어가 처음 등장한 건 네덜란드의 해부학자 필립 베헤옌의 1693년 저서 ‘
인체
해부학(Corporis Humani Anatomia)’이다. 인류의 이족보행은 잘 발달된 아킬레스건 덕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걷고 달리고 뛰어오르는 게 모두 강력한 아킬레스건이 뒷받침돼 있기 때문이다. 반면 다른 유인원들은 ... ...
[네이처]스마트폰으로 상처 찍어 보내면, 인공지능 의사가 바로 처방을?
동아사이언스
l
2017.02.05
표지로 읽는 과학 - 네이처]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스마트폰으로
인체
의 한 부위를 촬영하는 장면이 장식했다. 그와 함께 사용된 문구는 ‘증상을 학습하다(Lesions learnt)’이다. (아주 적은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그랬듯) 표지만 봐서는 무엇을 의도했는지 이해하기가 힘들다. Nature 제공 ... ...
[사이언스 지식in] 굴 하나 잘못먹어도 노로바이러스에 걸리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02
음식에선 7일 정도 생존할 수 있답니다. 노로바이러스는 겨울철 생굴, 조개 등을 통해
인체
로 들어오기 쉽다. GIB 제공 Q. 이제 개학인데, 아이가 학교에서 전염돼 올 수도 있을까요? A. 감염성이 강하다 보니 사람간 전염도 쉽습니다. 2015년 4월, 미국에 보고된 노로 바이러스 감염 사례 중 62~84%는 ... ...
[사이언스 지식IN] 면역세포? 줄기세포? 첨단재생의료법은 뭐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1.07
배아는 분열을 막 시작한 상태의 수정란을 뜻한다. 배아줄기세포는 배아에 들어있으며,
인체
모든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줄기세포로서는 최선의 조건이지만 배아를 생명으로 본다면, 사용에 윤리적 문제가 따른다.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는 ‘환자맞춤형’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
2017.01.04
따르면 다양한 문제들이 생기고 이는 오늘날 만연한 질병들로 나타난다. 먼저
인체
생리에 미치는 영향을 보자. 예를 들어 비만이나 당뇨는 단순히 칼로리나 당분의 과잉섭취가 원인이 아니라는 증거가 속속 나오고 있다. 지난 2013년 학술지 ‘비만’에 발표된 다이어트 임상결과를 보면 칼로리를 ... ...
성인병의 주범? 콜레스테롤의 오해와 진실
2016.12.21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등의 호르몬과 소화액인 담즙의 재료이기도 하고, 특히
인체
에 있는 60조 개의 세포를 보호하는 주요성분이기도 하다. 콜레스테롤은 건강을 해치는 위험한 물질로 무조건 낮아야 한다고 잘못 알려졌지만 적정 수준의 콜레스테롤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