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으)로 총 1,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네번째 작전. 소행성의 움직임을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14
- ‘KMTNet’이 그 주인공이지요. KMTNet은 남반구에 위치한 칠레, 남아프리카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세 곳의 망원경을 한꺼번에 사용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을 관찰할 수 있답니다. 특히 기존에 관측된 근지구소행성의 특성을 밝히고 주기를 계산하는 일을 맡고 있지요.한국천문연구원의 최영준 박사는 ... ...
- [헷갈린 과학] 자두 VS 살구어린이과학동아 l201614
- 열매는 노란색이나 붉은색을 띠어요. 자두 열매의 크기는 탁구공만 한 것부터 테니스공만 한 것까지 다양하지요. 자두의 과육은 연한 노란색이 많지만 속까지 붉은 자두도 있어요. 속까지 붉은 자두는 ‘피자두’라고 부르며, 피자두의 꽃은 진한 분홍색이랍니다.자두는 폴리페놀, 식이섬유, 비타민C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13
- 뜻, 전(專)은 음을 담당하지요. 수레바퀴 같이 둥근 것이 굴러가는 모양을 의미한답니다.공전이나 자전은 일정한 시간마다 일어나요. 이걸 ‘주기(週期)’라고 해요. 주기는 ‘돌 주(週)’와 ‘기약할 기(期)’로 이루어진 한자어로, 회전이나 진동하는 물체가 한 바퀴돌아서 자기 자리로 돌아올 ... ...
- [소프트웨어] 꼬마 스티브 잡스 키운다수학동아 l201612
- 원석이는 아빠랑, 저는 엄마랑 참가했어요.Q 미리 코딩을 배웠나요?원석 : 평소에 코딩을 공부한 적은 없어요. 실과시간에 반끼리 단체로 수업을 들은 게 전부였어요. 5학년 1학기에 많이 들었고요.예원 : 저도 대회 전에 코딩으로 새로운 걸 만들어본 적은 없어요. 저는 엄마랑 대회에 나갔는데, 저희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12
- 마루나 욕실 바닥에 깔려 있는 타일처럼, 어떠한 틈이나 포개짐이 없이 평면이나 공간을 도형으로 완벽하게 덮는 것을 말합니다. 화교 협회 건물과 근대 골목 곳곳에서도 테셀레이션을 찾을 수 있습니다. 열한 번째 미션으로 화교소학교에서 테셀레이션을 찾아보세요.대구 매스 투어는 ... ...
-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과학동아 l201612
- 뿐만 아니라, 잘못을 교묘하게 피해자에게 돌리는 행동으로, 사과라기보다 오히려 공격에 가깝다. 마지막은 수동태 사과다. 예컨대 “실수가 있었습니다”가 있다. “실수는 있었으나 내가 그런 것은 아니다”라는 의미가 숨어 있다.이 관점에서 담화문을 다시 보자. “그 과정에서 특정 개인이 ... ...
- [과학뉴스] 최초의 우주 호텔 설치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612
- 뛰어나고 두께가 약 50cm로 겹겹이 이루어져 있어 외부 충격에도 강하답니다.미국항공우주국은 앞으로 2년 동안 우주 호텔의 안전성, 편의성 등을 정밀하게 점검할 계획이에요. 과학자들은 앞으로 수십 년 안에 우주 호텔이 달이나 화성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답니다 ... ...
- [헷갈린 과학] 상아VS뿔어린이과학동아 l201612
- 당구공에서부터 피아노 건반까지 생활물품의 훌륭한 재료였어요. 금속보다 가볍고 가공하기 쉬웠거든요. 하지만 사람들이 상아를 많이 사용하면서 코끼리의 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것이 문제였어요. 그래서 이후 플라스틱이 상아를 대신하게 됐답니다.뿔뿔의 크기와 모양은 동물마다 제각각이에요.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11
- 대해 더 정밀하게 연구할 수 있다. 향후 몇 년 동안 LHC의 휘도(luminosity, 상호작용하는 공간 안에서 입자가 충돌하는 횟수)를 5배까지 높일 계획이며, 2035년까지 ATLAS와 CMS 검출기가 지금보다 50배 많은 정보를 생산하게 할 것이다.CERN에서는 LHC 이후 시대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을 ...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11
- 그 이유는 곤충의 호흡 방식에 있다. 곤충은 기공이라는 구멍을 통해 숨을 쉰다. 기공을 통해 들어간 산소는 몸 곳곳으로 퍼진다. 몸집이 크면 호흡하기가 더 어려워지는데, 대기 중 산소 포화도가 높으면 몸집을 좀 더 키워도 호흡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얘기하면, 산소 농도가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