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또
Kyoto
쿄토
쿄또
경도
d라이브러리
"
교토
"(으)로 총 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성이 공학에 빠질때
과학동아
l
200904
폐식용유 연료화시설 같은 환경연구시설을 직접 견학할 수 있었다. 특히 이지현 씨는
교토
시민들이 폐식용유를 자발적으로 모아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려는 노력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학회에선 소각재를 활용해 시멘트 대체소재인 무기페이스트를 개발하는 연구논문을 영어 포스터로 ... ...
게임이론을 알면 진화가 보인다
과학동아
l
200904
타인을 배려했을 때의 선택보다 못한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부시 대통령 시절 미국이
교토
협약에서 탈퇴해 이산화탄소 감축 의무를 외면한 것도 추가비용으로 인한 경쟁력 감소를 우려한 판단이지만 결과적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허리케인, 산불 등 자연재해로 엄청난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 ...
도는 게 도는 게 아닌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4
불러 일으키는 높은 수준의 뇌 활동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해 왔어요.그런데 최근, 일본
교토
리츠메이칸대학교 연구팀은 시각을 담당하는 시각피질에서 이런 착각이 일어난다는 걸 알아 냈어요. 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뇌를 촬영한 결과, 눈으로 회전하는 것처럼 보이는 원을 볼 때 대뇌에서 ... ...
도시를 통째로 옮겨라
과학동아
l
200903
주택 형태로 타운하우스를 꼽는다.게다가 2012년
교토
의정서가 만료되고 이듬해 포스트
교토
의정서가 발효되면 우리나라도 온실가스 의무감축국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각종 폐기물 배출량을 줄이는 기술 개발에 대한 국제사회의 압력도 더욱 커질 전망이다.건축물의 수명을 늘리고 ... ...
이 시대의 교양인을 위한 생생 물리학 강의
과학동아
l
200903
경인교대 사회교육과 교수오동훈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조사분석실장전용훈 일본
교토
산교대 객원연구원주일우 문지문화원 사이 기획실장최정규 경북대 경제통상학부 교수최무영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 저자이 책은 최무영 교수가 2002년부터 2005년까지 ... ...
유도다기능줄기세포, 광우병 논란 1위 선정돼
과학동아
l
200901
같은 불치병을 치료하는 시대가 눈앞으로 성큼 다가왔다”고 평했다. 2007년 일본
교토
대 야마나카 신미 교수가 세계 최초로 iPS를 만들어 사이언스가 선정한 ‘2007년 10대 과학성과’에서 2위를 차지한 바 있다.Runner-up 외계행성을 직접 보다iPS와 최고연구성과 자리를 다툰 연구로는 ‘외계행성 ... ...
일본 과학기술 발전의 기둥
과학동아
l
200812
종합대학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 일본에서 가장 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대학은
교토
대지만 이공계 분야로 국한하면 도쿄공업대가 비슷한 명성을 갖고 있다. 영국의 더타임즈가 2007년 선정한 세계대학 순위에서 90위를 차지했으며 2000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시라카와 히데키 교수도 ... ...
대칭성 깨뜨려 노벨상 움켜쥐다
과학동아
l
200811
멤버들이었다. 그들 모두가 훗날 일본 입자물리학의 거성들로 성장했다.유카와는 주로
교토
대를 중심으로 후학을 가르쳤고, 토모나가는 도쿄대에서 고시바 마사토시(2002년)와 남부 요이치로(2008년) 등의 노벨상 수상자를 길러냈고, 사카타는 나고야대에서 올해의 두 노벨상 수상자인 마스카와 ... ...
저탄소경제 본격적으로 시작되나
과학동아
l
200811
체계를 구축하기로 합의했다.2013년까지 감축의무 없이 배출권 팔 수 있어 우리나라는
교토
의정서에서 개발도상국 지위를 인정받아 2013년까지는 온실가스를 감축할 의무가 없다. 오히려 선진국과 공동 또는 자체적으로 온실가스를 줄이고, UN으로부터 감축 실적을 인정받은 뒤 탄소배출권을 ... ...
몸에서 에너지 뽑는 인간발전소
과학동아
l
200810
졸업하고 1994년 KAIST에서 기계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또 2008년 일본
교토
대 의대에서 생리학으로 의학박사학위도 받았다. 현재 강원대 기계메카트로닉스공학부에서 심장의 생체역학적 원리를 연구하는 국가지정연구실(NRL)을 운영하고 있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