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표"(으)로 총 5,31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퍼즐수학동아 l201708
- 합니다. 표준게놈은 유전체 분석의 지침이 되는 염기서열입니다. 종을 대표하는 유전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동일한 종이어도 변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한 명이 아닌 여러 명의 것을 합성해 재구성합니다.모든 염색체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혈액형은 염색체 A, B, O형의 염기서열이 ... ...
- Intro. 뇌파로 조종한다? 똑똑한 거대 로봇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위잉~, 쿵! 위잉~, 쿵”드디어 첫 출동이다! 우리는 어린이가 위험에 처한 곳이라면 어디든지 달려가는 거대로봇 듀오야! 좀 전에 도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받았어. 어린이가 무너진 건축물 사이에 갇혔대. 사람이 직접 조종하는 거대로봇은 상상 속에서나 가능한 거 아니냐고? 천만의 말씀! 벌써 ... ...
- Part 2. [걸음걸이] 두 발로 걸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한 발로 중심을 잡아라!키는 4m, 무게는 1.6t이나 되는 거대로봇이 어떻게 안정적으로 걸을 수 있을까요? 메소드-2 프로젝트에는 참여했던 서울과학기술대 김정엽 교수님을 비롯한 많은 로봇과학자들은 로봇이 두 발로 걷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한 발로도 중심을 잡을 수 있는 기술이라고 말하고 ... ...
- Part 5. [거대로봇]은 어디에 쓰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인터뷰 “ 로봇과 함께하는 멋진 미래를 상상해 보세요!”임현국(한국미래기술 대표)저는 어릴 때 다양한 로봇 만화영화를 보며 자랐어요. 로봇 태권브이와 마징가 Z, 공각기동대를 보며 로봇을 만드는 과학자를 꿈꿨지요. 하지만 지금 어린이 친구들은 이런 꿈을 꾸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 ...
- Intro. 수학은 지금 산업 문제 찾아 ‘열일’ 중수학동아 l201707
- 바쁘다 바빠! 수학이 세상 문제를 해결하느라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에너지부터 스포츠, 수자원 문제까지 수학과 무관하다고 여겼던 분야에서 수학을 필요로 하는 일이 많아졌거든요. 세상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한다는 소문에 여기저기서 ‘산업수학’을 외치고 있 ... ...
- Part 2. 세상을 數(수) 놓다수학동아 l201707
- 컵에서 연속으로 세계를 제패하는 쾌거를 거둡니다.명태가 밥상에 오르려면?우리나라를 대표했던 생선인 명태가 자취를 감췄죠?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그 중 하나는 무분별한 어획이었습니다. 고기를 잡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 어린 명태까지 마구잡이로 잡아 명태가 멸종 위기에 놓인 것이지요. ... ...
- 풋볼 팬타지움 수학여행기수학동아 l201707
- 체험, 가상 골대에 공을 차면 정확도와 속도를 측정해주는 패널티킥 체험, 각국의 국가대표 축구팀 유니폼을 입고 사진을 찍는 AR(증강현실) 체험을 거치며 신나게 축구를 즐겼다.땀 흘릴 정도로 몸이 달아오른 독자들이 다음으로 모인 곳은 홍석만 인천인항고등학교 수학 교사 앞이다. 독자들은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707
- 관한 확률을 구할 때 동전을 던지면 앞면 또는 뒷면 중 하나가 나온다고 생각하는 것이 대표적이지요. 경우의 수나 확률을 구할 때 익숙한 사고방식입니다. 그렇지만 많은 세계 해석에서는 상자 안에서 고양이가 죽을 확률도 1이고, 살 확률도 1입니다. 무척 낯설지요?많은 세계 해석에 따라 새로운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07
- 것이라는 양자컴퓨터, 어떤 방법으로도 풀 수 없는 양자암호를 이용한 정보통신기술이 대표적인 양자기술로 꼽히고 있다. 이 두 가지 중 현재 좀 더 빨리 현실화되고 있는 것은 양자암호통신 기술이다.양자암호통신은 양자역학만의 세 가지 독특한 특성 때문에 가능하다. 첫째는 양자 안에서 둘 ... ...
- Part 4. [움직임]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손으로 터치하는 방식도 있어요. 스마트폰 화면에 손가락을 대 앱을 실행시키는 게 대표적이지요.그러나 지금까지의 HMI는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방법에 속해요. 과학자들은 좀 더 편안한 HMI 방식을 연구하고 있지요. 그 결과 미래에는 음성과 눈짓은 물론 뇌파로 로봇과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