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방"(으)로 총 149건 검색되었습니다.
- 봄비와 함께 찾아온 누런 용과학동아 l200103
- 임금 오제를 말한다. 오제는 동서남북과 중앙을 다스리는데, 중앙은 누런빛 임금 헌원, 동방은 푸른빛 임금 복희, 남방은 붉은빛 임금 신농, 서방은 하얀빛 임금 금천(소호의 다른 이름. 또는 치우라는 설이 있음), 그리고 북방은 검은빛 임금 전욱이 각각 다스린다고 고대인들은 믿었다. 이 임금들이 ... ...
- 조각가 도나텔로의 드루시아나의 부활 기적과학동아 l200103
- 솔로몬과 시바의 여왕이 만나는 장면을 두고 그 당시 피렌체에서 있었던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만남을 기념한 정치·종교적 사건의 기록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리스 정교회 대표가 이곳을 방문한 시기가 1439년 7월 6일인데, 청동 부조를 구운 것은 두해 앞선 1437년이니까 앞뒤가 잘 맞지 ... ...
- 서양의 오리온은 발목 삔 아가씨과학동아 l200102
- 아로새겨져 있는 셈이다.봄철 일곱 별자리들은 청룡의 모습을 따라 별자리를 정했고 동방의 하늘 임금 복희가 다스린다고 보았으며, 여름철 일곱 별자리들은 주작의 형상으로 남방의 임금 신농이 다스린다고 보았다. 가을철 일곱 별자리들은 백호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겨울철 일곱 별자리는 ... ...
- 하늘이 내린 영웅의 상징 삼태성과학동아 l200101
- 북두칠성이 원래부터 북두칠성이라는 중국말(한자)로 불렸다고 생각하기 힘들다. 우리 동방문명은 고대의 문헌기록이 빈약해 자세히 검토해보긴 힘들다. 그나마 한가지 알쏭달쏭한 힌트가 있다면, 고구려고분 중에서 장천 1호분의 천장에 그려져 있는 두개의 북두칠성 사이에 희미한 붉은 물감으로 ...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과학동아 l200101
- 2001년 1월의 밤하늘은 맨눈으로도 볼 만한 천문현상이 세번이나 펼쳐진다. 가장 주목할 만한 현상은 역시 새해를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그리고 새해 벽두에 만나는 북두칠성 ... 서쪽으로 가장 멀리 떨어질 때를‘서방최대 이각’이라고 한다. 바로 17일이 금성이 동방최대이각인 시기다 ... ...
- 세계7대 불가사의 탄생 과정과학동아 l200012
- 조각품도 포함된다. 이집트의 테베시나 델로스의 제단이 그 예다. 세번째는 그리스와 동방의 거대한 기념물과 비교적 후대에 건설된 로마시대의 기념물도 포함되는데 그 숫자는 무려 30개나 된다. 작자의 취향에 따라 세계 불가사의의 목록이 수시로 변경될 수 있다는 말이다.가장 오래된 세계의 ... ...
-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과학동아 l200006
- 보면 이각이 클때 수성이 잘 보이는 이유를 쉽게 알 수 있다.올해 6월9일은 수성이 동방 최대이각(24도)에 이르는 날이다.이날을 전후로 며칠간은 해진 후 저녁 서쪽하늘 지평선 가까이 뜨는 수성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쌍둥이자리에서 0.5등급의 밝기로 빛난다.맨눈으로도 볼 수 있지만 쌍안경이 ... ...
- 용, 아홉가지 동물의 키메라과학동아 l200001
- 우리에게 용은 정의의 수호자요, 행운의 전령사다. 고구려 벽화의 사신도에서 용은 동방의 수호자이다. 서방에는 백호, 남방에는 주작, 북방에는 현무가 각각을 맡아 지키고 있다. 그리고 이 청룡은 하늘의 별자리가 돼 우리 민족을 수호하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 별자리인 황도 주변의 28개 별자리 ...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과학동아 l199912
- 있을 확률은 금성보다 크게 떨어진다. 시인은 아마, 어느 가을철, 음력 초순, 해질 무렵에 동방최대이각 근처에 있는 금성이 서쪽하늘에서 초승달과 함께 모습을 드러내는 상황을 보고 있었을 것이다.사람들은 흔히 시와 노래에서 과학이 있을 자리는 없다고 한다. 아폴로가 달에 착륙함으로써 ...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과학동아 l199910
- 집을 나서는 이들은 샛별을 볼 수 있다. 이에 앞서 25일에는 수성도 저녁 서쪽하늘에서 동방최대이각이 되지만 일몰 때 고도가 9도에 불과해 어두워지기 전에 가라앉아 전혀 볼 수 없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