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문화과학"(으)로 총 1,5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자율적으로 배우는 SW수학동아 l201611
- 고등학생이라 서로 바쁘다며 인터뷰를 미루지 않을까 걱정하며 방문한 둔촌고. 걱정과 달리 모두가 적극적이고 자신감이 넘쳤다. 학생들은 서로 자신의 작품을 소개하기 바빴다. 이유가 있었다. 학생들의 작품은 하나같이 창의적이고 실용적이며 디자인까지 완벽하게 멋졌다. 스스로 멋진 작품을 ...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수학동아 l201610
- “기회가 없는 학생에게도 SW 교육이 전달되도록 다리가 되고 싶어요. 앞으로도 계속 지역 사회와 연계해 봉사 활동을 해나갈 생각입니다.”경기 안산해양중학교 조광근 교사는 나눔을 실천하는 교육을 강조했다. 조 교사가 운영하는 로봇봉사동아리 회원은 2, 3학년 학생 13명이다. 이들은 3개 조로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10
-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edical Research Council·MRC)가 1947년에 세운 분자생물학연구소는 영어 약자로 ‘LMB’라고 불린다. 처음에는 캐번디시연구소 안에 설치한 연구 그룹이었지만, 곧 다양한 성과를 내며 독자적인 연구소로 성장했다. 기자가 LMB에 주목한 이유는, 2000~2015년 사이 노벨상 수상자 6명의 핵 ... ...
- [새 책] "당신들도 그곳에서 행복하길 바랍니다"과학동아 l201610
- 종종 그럴 때가 있다. 타인을 향한 말과 몸짓이 되려 자신을 감싸고 위무하는. 전 인류에겐 ‘골든 레코드’가 어쩌면 그런 존재가 아닐까. 우주탐사선 보이저 1호와 2호에는 골든 레코드라고 불리는 지름 약 30cm의 금빛 LP레코드 판이 붙어 있다. 외계문명에게 보내는 메시지다. 지구를 대표할 음악 2 ... ...
- INTERVIEW. "좋은 질문을 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10
- 편집자 주7월 13일, 두 명의 이스라엘 출신 노벨상 수상자가 한국에 왔다. 아다 요나트 박사(바이츠만연구소, 2009년 화학상)와 아론 치에하노베르(테크니온공대, 2004년 화학상) 교수다. 이들이 노벨상 업적을 낼 수 있었던 비결을 듣기 위해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50주년 기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10
- 울음을 터뜨리며 태어나기 때문일까. 사람은 웃고 화내고 울고 기뻐하면서 표정으로 감정을 표현한다. 남의 표정을 보고 감정을 읽을 수도 있고, 알게 모르게 의사소통을 하기도 한다. 때로는 수 마디 말보다 단 하나의 표정이 훨씬 더 많은 것을 전한다.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연구팀은 실험참가자 ... ...
- [Career] 봉사 활동? “직접 만든 애플리케이션으로 해요”과학동아 l201609
- ‘봉사활동으로 혼자 생활하시는 할아버지, 할머니의 이불을 빨아 드리고 있는데,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까?’조예원 학생(한영외국어고 2)은 봉사활동을 하다 의문을 떠올렸다. 질문은 소박했지만, 해결 과정은 결코 소박하지 않았다. 예원 학생은 평소 손에서 놓지 않고 사용하던 스 ... ...
- [info]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과학동아 l201609
- 알파고, 중력파 등 올 한 해를 뜨겁게 달궜던 과학 이슈들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꿀까. 지난 8월 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사이언스바캉스’가 이 질문에 답했다.사이언스바캉스는 국내 최고의 과학자와 공학자가 참여하는 여름 휴가철 대중 과학강연 축제다. 과학동아가 창간 30주년을 ... ...
- [공모전] 우리 문제는 우리가 해결한다! 행복한 과학기술 공모전수학동아 l201609
- 지난 3월 31일부터 5월 9일까지 세상을 행복하게 만들 과학기술 272편이 행복한 과학기술 공모전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됐어요. 참가자들이 제출한 계획서에는 아동, 장애인, 노인, 다문화, 환경, 교통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아이디어는 물론, 아이디어를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방 ... ...
- PART 1. 파랑은 없다?수학동아 l201608
- 오래된 문서를 보면 당시 사람들이 무엇에 관심이 있었고, 또 어떤 것을 연구했는지 알 수 있다. 언어학자들은 오래된 문서에서 색깔을 나타내는 단어에 주목했다. 역사적으로 가장 먼저 나타난 색깔은 검정과 하양이다. 각각 다른 색깔을 인지하고 이름을 붙이기에 앞서 깜깜한 밤과 환한 낮을 구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