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2,505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201703
증명하기가 까다롭다”며 “M 값이 큰 물질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없는데다, 어쩌면 모든
물체
의 M 값이 동일하기 때문에 발견되지 않을 수도 있는 등 너무 많은 경우의 수가 있다”고 말했다.세계적으로 멤리스터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처음에 제안됐던 멤리스터는 찾지 못한 ... ...
[과학뉴스] 코뿔소는 똥으로 SNS를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3
대변 더미가 SNS처럼 이용된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코뿔소는 코앞에 있는
물체
도 구별하지 못할 만큼 시력이 나빠요. 대신 후각이나 청각이 매우 발달했지요. 그래서 남아프리카 쿠아줄루-나탈대학교와 독일 다름슈타트공과대학교 국제 공동연구팀은 코뿔소가 냄새로 의사소통할 ... ...
bridge. 세상을 보는 창, 방정식
수학동아
l
201703
확실히 알 수 있는 게 없다. 뉴턴의 운동방정식이 적용되는 범위에서는
물체
의 위치를 알면 운동량(질량과 속도의 곱)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미시세계에서는 하나를 알면 나머지 하나는 알 수가 없다. 하나를 정확히 측정할수록 나머지 하나는 불확실해진다. 바로 양자역학을 지배하는 ‘불확정성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가상현실’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3
끼워서 보면 가상공간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어요.사람의 양쪽 눈은 약간 다른 시점에서
물체
를 보기 때문에 뇌로 전달되는 이미지가 조금씩 달라요. 뇌는 들어온 두 이미지의 차이를 인식해 입체감과 거리 감각을 만들어내지요. VR 헤드셋도 이 원리를 이용해요. 앱에서 내가 만든 가상공간을 열면 ... ...
[Issue] 독극물 괴소문의 진실
과학동아
l
201703
CCTV 영상을 보면 한 여성이 김 씨의 뒤로 다가간 뒤, 그의 얼굴을 천으로 추정되는
물체
로 2~3초간 가립니다. 이 때문에 살해에 이용된 물질이 신경성 독가스가 아니냐는 추측이 많습니다. 실제로 많은 언론 매체에서 주목하는 VX가스C11H26NO2PS), 사린(C4H10FO2P) 등은 1m3 공간에 수 mg만 있어도 1분 내 사망에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대활약!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3
같은 진동수를 갖는 소리를
물체
에 들려 주면
물체
는 더 크게 진동하기 시작한답니다.
물체
의 진동과 소리의 진동이 합쳐져 더 큰 진동이 만들어졌기 때문이에요. 이 현상을 ‘공명’이라고 불러요. 흔들리는 그네를 밀어 주면 그네가 더 크게 흔들리는 것과 같은 원리랍니다.와인잔을 손가락으로 ... ...
선을 넘은 사랑, 혜성을 만들고 죽이다
수학동아
l
201703
내가 힘껏 뛰어올라도 결국엔 떨어지는 이유는 지구가 당기기 때문이다. 이 힘은
물체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크고 멀수록 작다. 그래서 지구가 내 몸을 잡아당기는 힘을 따져보면, 몸의 중심인 배보다 발에서 더 강하다. 발에 작용하는 중력과 배에 작용하는 중력의 차이가 곧 조석력이다. 배와 ... ...
[과학뉴스] 에너지 없이 지붕 식히는 필름?
과학동아
l
201703
뜨거워진
물체
를 추가 에너지 투입 없이 식힐 수 있는 신소재가 개발됐다.미국 콜로라도대 기계공학과 연구팀은 전기장 안에서 극성을 띠는 절연체인 유전체(dielectricmaterial)로 만든 미세한 유리구슬을 고분자 필름안에 무작위로 삽입했다. 그 결과 태양에서 오는 빛과 열을 일반 물질보다 더 ... ...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703
발견했다.4억6700만 년 전. 바닷속을 유유히 떠다니는 삼엽충 무리 곁으로 먼지 같은
물체
가 물살을 따라 이리저리 흔들리며 서서히 가라앉았다. 삼엽충에겐 먹이가 아니니 관심 없는 먼지일 뿐이었겠지만, 이 물질은 보통 먼지가 아니었다. 우주에서 온 운석 알갱이였다.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에서 ... ...
[Future] ‘마음의 창’을 열다
과학동아
l
201703
개발했다. 두께가 약 1.5mm에 불과한 이 렌즈를 착용하면 윙크 한 번에 멀리 떨어진
물체
를 당겨서 볼 수 있다. 이 렌즈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특수 안경을 함께 착용해야 한다. 안경테에는 윙크를 일반 눈 깜빡임과 구별하기 위한 센서가 장착돼 있다. 이 센서가 윙크를 검출하면 안경이 빛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