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물관"(으)로 총 8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섭섭박사] 그림이 살아 움직인다~! 거울 애니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1613
- 한국만화박물관에 출동했어요! 와 만화를 사랑하는 독자 20명이 섭섭박사님과 재밌는 실험을 하기 위해 모였거든요. 친구들은 우선 도슨트 선생님을 따라 엄마, 아빠가 보던 만화책에서 요즘 인기 있는 웹툰까지 다양한 만화캐릭터를 둘러봤어요. 그리고 교육실에 모여 ... ...
- [Photo] 홍연석(Crocoite) 존재 자체가 기적인 ‘생존자’과학동아 l201612
- 광산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 이후 이곳에서 산출된 아름다운 홍연석 표본들은 세계 유명 박물관의 인기 전시품으로 등장했다. 현재 홍연석은 태즈메이니아 주의 공식 광물 엠블럼으로 지정돼 있을 정도로 이 지역의 대표 광물이다. 여러 벤처 광산 중에서도 가장 성공한 곳은 애들레이드 홍연석 ... ...
- [가상인터뷰] 세상에서 가장 긴 곤충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12
- 사람이 저를 유심히 보더니 갑자기 깜짝 놀라서 넘어지더라고요. 그 사람은 서중국 곤충박물관 자오 리 박사였어요. 그래서 저의 이름은 ‘프리재니스트리아 차이넨스 자오(Phryganistria chinensis Zhao)’가 됐답니다.일리 : 우리나라에도 너처럼 커다란 대벌레가 살고 있을까?대벌레 : 한국에도 대벌레가 ... ...
- [출동~! 섭섭박사] 호박화석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11
- 않고 속이 들여다보이는 특징이 있어서 송진 대신 호박화석의 재료가 될 수 있답니다.박물관에 가서 화석을 보면 나이가 자세하게 적혀 있어요. 그런데 화석의 나이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바로 화석에 들어 있는 납이나 탄소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 덕분이랍니다.같은 원소라도 원자의 질량이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11
- 환기구를 만드는 등 카파도키아의 지하도시에는 12세기까지 공사가 끊이지 않았다.호텔, 박물관, 대학, 공원까지 모두 지하로카파도키아 이후에도 인류는 다양한 형태의 지하공간을 개발해 왔다. 하지만 주로 교통이나 군사, 저장 등 특수한 목적을 가진 공간이 많았다. 사람들이 일상적인 활동을 ... ...
- [새 책] "당신들도 그곳에서 행복하길 바랍니다"과학동아 l201610
- 만나게 되는, 호주 사막에서 조난 당한 이야기를 읽으면 긴박감에 손에 땀을 쥐게 된다. 박물관에서 우연히 지질학자이자 우주생물학자인 마틴 반 크라넨동크 박사의 책을 만나고 보름 뒤 기적처럼 그와 함께 필바라로 떠난 대목을 읽으면 온몸이 짜릿하게 떨려 온다.때론 목숨까지 위험한 일에 ... ...
- PART 1.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현실수학동아 l201609
- 무궁무진하다. 건물을 짓기 전에 설계도면에 따라 미리 지어보는 데 이용하기도 하고, 박물관에서 소실된 유물을 다시 보면서 유물의 질감을 느껴볼 수 있다. 운전면허 연습장에 가지 않고도 운전 연습을 해볼 수 있으며, 운동선수들은 햇볕이 뜨겁게 내리쬐는 더운 여름날에 실내에서 연습할 수 ... ...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수학동아 l201609
- 일부잖아요. 그런 스마트폰를 이용해 수학 체험을 할 수 있다면 더 좋겠죠?미국의 수학박물관 모매스팀과 구글 기술자가 힘을 합쳐 ‘PolyGOn(폴리곤)’이라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었어요. 전시관 곳곳에 삼각형과 사각형 같은 다각형이 포켓몬처럼 숨어 있어요. 관람객들은 폴리곤앱을 이용해 다양한 ... ...
- [Photo] 공작석(Malachite) 문명을 진화시킨 초록색 보석광물과학동아 l201609
- 특히 비스비 공작석은 더 이상 산출되지 않기 때문에 어쩌다 수집 시장에 나타나는 경우 박물관과 수집가들이 대거 몰려든다. 이른바 ‘명품’인 셈이다. 이처럼 광물도 산지라는 브랜드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크게 난다. 명품 가방과 일반 고급 제품이 실상 재료의 차이는 별로 없지만, 장인의 손길에 ...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과학동아 l201608
- 위치한 핀타섬에서만 살았다. 이 거대한 거북은 약 140년 전인 1877년, 영국 런던자연사박물관의 양서파충류학자 앨버트 귄터가 처음 학계에 보고했다. 하지만 핀타섬육지거북의 존재는 이미 17세기 때부터 서양 뱃사람들 사이에서 잘 알려져 있었다. 바다를 떠도는 배에서 유용한 식량이었기 때문이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