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방사성물질
"(으)로 총 360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행성이 되다 만 운명
과학동아
l
201211
지난 9월 5일 미국의 탐사선 던(Dawn)은 소행성 베스타 곁을 떠났다. 2007년 발사된 지 4년 만에 베스타에 도착해 1년여 동안 관측을 마친 뒤였다. 그동안 던은 태양계 초기 행성이 될 뻔하다 만 베스타의 운명을 확인하고 새로운 사실도 알아냈다. 던은 베스타에서 무엇을 본 것일까.1807년에 발견된 베스 ... ...
후쿠시마 원전 핵연료봉 첫 회수
과학동아
l
201208
지난 7월 18일 일본 도쿄전력이 2011년 3월 방사성 물질 대량 유출 사고를 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핵연료봉을 처음으로 회수했다.작업이 진행된 곳은 원자로 4호기다. 수소폭발로 건물이 심하게 파괴된 상태라 공기 중에 불가피하게 노출된 상태로 회수 작업을 진행했다.회수된 연료봉은 전용 ... ...
더블 쓰나미가 일본 덮쳤다
과학동아
l
201204
지난해 3월 11일 오후 2시 46분 일본 혼슈 센다이 시에서 동쪽으로 179km 떨어진 해역에서 리히터 규모 9.0의 강진이 발생했다. 380km나 떨어져 있던 도쿄 시내의 건물마저 흔들릴 만큼 강한 규모였다. 동일본 대지진이 방출한 에너지는 3.9×1022J(줄·에너지 단위)로 파괴력은 히로시마 원자폭탄의 6만 배에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
과학동아
l
201202
토륨 원전에 대한 의견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분분하다. 찬성하는 연구자들은 기존 우라늄 원전이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루 빨리 상업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호의적이지 않은 연구자들은 원료를 바꾸는 것이 완벽한 대안은 아니며 새로운 시스템의 우라늄 원전을 통해 기존 원전의 문제 ... ...
[2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02
keyword 1 포보스-그룬트 잉훠-1호 수장된 화성 탐사선1월 16일(현지시각 15일) 러시아의 화성탐사선 ‘포보스-그룬트(Phobos-Grunt)’가 태평양에 추락했다. 추락지점은 아르헨티나 서쪽 해안에서 1250km 떨어진 곳으로 인명피해는 없었다. 중국 최초의 화성탐사선 ‘잉훠(螢火)-1호’도 포보스-그룬트와 함 ... ...
동물은 우주왕복선을 타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5
1.5㎜의 작은 몸을 가진 곰벌레다. 하지만 영하 273℃와 151℃의 환경은 물론
방사성물질
이 지구의 1000배에 달하는 환경에서도 살아남는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것으로 알려졌다.유럽항공우주국도 지난 2007년 타디그레이드를 국제우주정거장에 데려가 10일간 진공상태에 뒀다. 처음에는 몸이 건조해지고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11
[하야부사는 2005년 11월 이토카와에 착륙해 물질을 채취했다. 이토카와는 중력이 매우 낮아 착륙이라기보다는 도킹에 가깝다.]소행성 이토카와의 탐사가 이렇게 큰 관심을 불러일으킨 이유가 무엇일까. 자국 우주탐사선의 극적인 기사회생 이야기에 일본이 열광한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태양계에 ... ...
후쿠시마 방사능 공포 ‘진행 중'
과학동아
l
201111
일본의 방사능 공포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10월 12일, 후쿠시마에서 250km 이상 떨어진 요코하마 시내 건물 지붕에서 195Bq(베크렐. 방사능의 물리적 세기 단위)의 스트론튬-90이 발견됐다. 스트론튬은 뼈에 암을 일으킬 수 있는 방사성 물질이다. 13일에는 역시 250km 정도 떨어진 치바 현 후나바시 지역 ... ...
확산, 기체 분자 스스로 떠나는 여행
과학동아
l
201111
무더운 여름 화장실 근처에 있는 교실은 문을 열기가 두렵다. 문을 여는 순간 코를 찌르는 암모니아 냄새와 구린내가 한꺼번에 후각세포를 자극하기 때문이다. 이 구린내의 대표적인 물질은 스카톨(skatole, C9H9N)과 인돌(indole, C8H6N)이다. 스카톨은 필수 아미노산의 일종인 트립토판이 분해돼 생기는 ... ...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
과학동아
l
201110
양자론은 20세기의 최고 영약이다. 19세기 후반부터 과학자들을 골치 아프게 했던 방사성 현상, 반물질, 빛과 소립자들의 특성 등 다양한현상을 속 시원하게 풀어줬기 때문이다. 그러나 양자론은 현대물리학의 또 다른 줄기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비해 인기가 없다. 손에 잡히지도 않고 눈에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