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영
번창
성공]
d라이브러리
"
번성
"(으)로 총 323건 검색되었습니다.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08
새로 그려 넣은 무늬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고래와 사슴은 따뜻한 해류와 기후에
번성
하는 동물이다. 반면 맹수들은 모두 추운 지방 출신이다. 그렇다면 기후가 변하면서 생태계도 크게 달라진 걸까.울산 바위그림들과 관련 있어 보이는 것이 신생대 충적세 후기(기원전 3500~600년)의 ... ...
앗! 내알이 어디갔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8
서 쉽게 볼 수 없는 식물이 가득 차 있어. 거기에 숨자~! 울레미소나무는 공룡이
번성
했던 쥐라기시대부터 생존해 온 가장 오래된 식물입니다. ‘공룡소나무’라고도 하지요. ‘울레미’는 이 소나무가 발견된 지역의 이름이랍니다.공룡알은 어디에?아, 뭐야~! 괜히 겁먹었잖아.미…, 미안. 그 대신 ... ...
1. 그 많던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208
않았다. 현생 말과 거의 같으며 플라이오세(530만~260만 년 전) 후기에 북미 대륙에 가장
번성
한 종류였던 디노히푸스는 현생 말의 조상으로 거의 확실시된다. 플라이오세 후기를 지나자 디노히푸스는 점점 더 쇠퇴해가고 400만년 전 현생 말인 에쿠스(Equus)가 출현한다.현재는 8종만 살아남아처음에 ... ...
육지보다 귀한 바다 생물
과학동아
l
201203
1만 4740종밖에 없었다. 멸종하는 비율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바다가 넓다고 꼭 생물
번성
에 유리하지는 않다는 뜻이다.연구팀은 현재 남아 있는 바다 종들은 모두 육상 종에서 왔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바다 생물 종의 대규모 멸종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베가 교수는 “바다 생물의 다양성 ... ...
정교한 수학이 숨 쉬는 이탈리아 건축물
수학동아
l
201202
그리스 시대의 건축물을 볼 수 있는 아그리젠토에 있는 ‘신전의 계곡’이다. 그 옛날
번성
했던 도시를 상상했지만, 강은 흔적만 남고 항구도 사라져 황량하기까지 하다. 그나마 드문드문 서 있는 여러 신전이 당시 화려했던 시절을 말해 주고 있을 뿐이다. 이 곳의 신전은 기원전 6세기 말에서 5세기 ... ...
냄새 맡는 능력이 인류를 살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1
사라지고 호모 사피엔스가
번성
한 이유가 냄새를 맡는 능력 때문이래요. 독일 튀빙겐대학교의 카테리나 하르바티 교수가 참여한 국제 연구팀은 고성능 영상검색 기술로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 화석의 뇌 구조를 분석했어요.그 결과 호모 사피엔스는 네안데르탈인보다 언어와 기억, 사회적 ... ...
Intro. 지구, 70억
과학동아
l
201201
동물이 됐다. 무엇이 이런 ‘기적’을 가능하게 했을까. 더 진출할 영역은 있을까. 계속
번성
해 100억 시대에 이를 수 있을까. 지구 70억 시대를 맞아 인류가 넘어 온 시간과 공간을 정교한 인포그래픽과 함께 되새겨 보자.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Part 3. 공간 ... ...
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
과학동아
l
201201
생산에 참여하지 않은 채 공공 서비스를 제공했고, 이 덕분에 도시는 더욱
번성
했다.
번성
한 도시는 더 많은 주변 농지를 확보하고 더 많은 잉여생산물을 만들었다. 이런 선순환 과정을 통해 도시는 계속 커졌다. 호주의 고고학자 고든 차일드는 이런 변화를 ‘도시혁명’이라고 불렀다. 도시는 높은 ... ...
Part 1. 털, 동물은 입고 인간은 벗다
과학동아
l
201112
볼 수 있는 것이 지금은 멸종한 털매머드다. 신석기 시대 빙하기에 유라시아 북부에서
번성
했던 털매머드는 온몸이 길이가 1m 이상 되는 뻣뻣한 털과 그 속을 빽빽하게 채운 짧고 가는 털로 덮여 있었다. 같은 매머드에 속하더라도 따뜻한 곳에 사는 종에는 이렇게 털이 많지 않았다.나는 확실한 ... ...
금성에도 오존층 있다
과학동아
l
201111
오존층은 아주 큰 역할을 한다. 해로운 자외선으로부터 생명체를 보호해 생명체가
번성
할 수 있게 했다. 따라서 오존층의 유무는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을 판단할 실마리가 된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오존층이 지구의 20% 이상이면 생명체를 보호할 수 있다. 연구팀은 “금성의 오존층은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