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기점
d라이브러리
"
변경됨
"(으)로 총 49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04
"전기저항이 0이 된다." 이 단순해 보이는 현상 하나가 세상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지난 100년 동안 초전도 현상을 실생활에 응용한 기술이 꾸준히 개발돼 왔다. 아직 초전도 현상을 이론적으로 완벽히 설명하지 못했는데도 새로운 초전도 소재를 만들었다는 소식은 꾸준히 들려온다. 응용이 이론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02
생물은 오랜 기간 동안 진화를 거쳐 발전해왔다. 그 때문에 무척 견고하고 안정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다. 그런데 생명현상을 잘 들여다 보면 그 안에서 의외의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삶을 지탱하고 있는 모습이 복잡계 네트워크 구조와 비슷하기 때문이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02
당신은 공군 전투기 편대장이다. 전투기 3대로 정찰을 나갔다가 아군기와 성능이 비슷한 적 전투기 5대와 맞닥뜨렸다. 이때 당신은 어떤 판단을 내려야 할까. 임전무퇴의 정신을 발휘할 생각은 버리고 ‘무조건’ 달아나야한다. 싸운다면 적기 한 대를 격추하는 동안 아군기 3대가 모두 전멸할 것이 ... ...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12
네덜란드의 그래픽 아티스트 모리츠 에셔의 작품 동그라미 극한을 보면 유한한 원 속에 상반된 패턴이 무한히 반복된다. 그 황홀한 패턴은 많은 분야의 사람들에게 수많은 영감을 줬다. 에셔는 캐나다 수학자 도널드 콕시터와 쌍곡면기하학의 신비에 관해 대화하다 아이디어를 얻어 이 그림을 만들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11
71만 2000여 명이 접수한 2011학년도 수능시험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올해 대학입시는 준비과정과 교육환경에 대한 많은 이슈와 논란이 있었다. 먼저 수시모집 인원이 70% 가까이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정시모집 인원이 줄었다. 정시모집만 생각했을 때는 해가 갈수록 대학가기가 어려워지고 있는 것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10
지난 5월 출간된 하버드대 마이클 샌델 교수의 저서 ‘정의란 무엇인가’가 수개월째 베스트셀러를 달리고 있다. 결코 읽기 쉽지 않은 인문서적이 무라카미 하루키의 신작 ‘1Q84’마저 누를지는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다. 최근 사회에서도 정의의 가치가 급부상하고 있다. 총리후보와 신임 장관후보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
과학동아
l
201010
기원전 18년. 한강 유역에 터를 잡은 백제는 도읍을 웅진(지금의 공주, 475∼538년), 사비(지금의 부여, 538∼660년)로 옮기며 문화를 꽃피웠다. 백제인의 예술적 역량이 함축된 백제금동대향로가 만들어진 사비시대는 세련된 공예가 발달한 백제 문화의 절정기였다.고대문화의 극치를 달리던 백제의 문 ... ...
PART 1 수학이 사라진 아침
수학동아
l
201010
“수학이 없다면 얼마나 좋을까? 누가 세상에서 수학을 없애 주면 좋겠어.”“내가 없애 줄까? 난 수학나라 요정이야. 대신 나중에 후회하기 없기다.”“수학이 없어진다면 ‘올레~!’지 뭐. 하하….”“좋아. 내 마법이 내일부터 네 몸에서 수학방해파를 만들어 줄 거야. 이제 푹 자도록 해.”수학 ... ...
2초 만에 시속 100km F1 머신 시동건다
과학동아
l
201010
한국 최초로 열리는 포뮬러원(F1) 코리아 그랑프리가 한 달 여 앞으로 다가왔다. F1 코리아 그랑프리는 10월 22일부터 24일까지 전남 영암에서 열린다. 이 대회를 위해 특별히 건설하고 있는 F1 전용도로(서킷)는 현재 95%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3400억 원이 들어간 최첨단 도로는 청량한 바다를 배경으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09
2010년 8월 15일 광복절. 3년 8개월의 복원 공사 끝에 새 광화문이 대중에 공개됐다.광화문처럼 기구한 운명을 겪은 문화재도 흔치 않다. 조선 태조 4년(1395) 처음 지어졌지만 임진왜란 당시 훼손돼 260년을 폐허로 지냈다. 고종 1년(1864)에 중건돼 지금의 모습을 갖췄지만 일제강점기 시절인 1927년, 조선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