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망
서거
변기
d라이브러리
"
붕어
"(으)로 총 77건 검색되었습니다.
2001년 5월1일의 일기
과학동아
l
199105
기포가 오르는 걸 보면
붕어
가 입질한다고 좋아서 소리치곤 했다. 그러면 어린 딸 순이는
붕어
를 들여다보겠다고 물위로 목을 쭉 늘이곤 했다. 그러나 그 때 강은 이미 썩고 있었다.연주는 역한 냄새를 풍기고 있는 간장빛 강을 들여다보았다. 한강의 오염이 문제가 된건 이미 오래전부터의 ... ...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04
유생사 등이 퇴화한 유패가 돼 강바닥에 떨어지게 된다.물고기(주로 피라미 송사리
붕어
줄납자루)를 사육하면서 패류의 유생을 붙여보면, 물고기가 유생의 기생때문에 죽는 예는 드무나, 유생이 떨어진 자리에 상처가 생겨 2차감염으로 물고기가 생명을 잃는 일은 가끔 있다. 그리고 유생에 한 번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01
2급수 이하로 되었다는 증거다.낚시터만 해도 그렇다. 이전에는 피라미가 극성을 부려
붕어
낚시가 어려운 곳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산간의 아주 맑은 물이 있는 저수지를 제외하면 거의 피라미의 극성을 볼 수 없게 되었다. 그리고 잡히는 고기의 종류도 지극히 단순하다.이렇게 되자 ... ...
바퀴벌레의 행동양식
과학동아
l
199007
①주기성 활동을 한다.②무주기성 활동을 한다.③전혀 활동을 하지 않는다.2 어항 속의
붕어
를 물 밖으로 꺼내면 팔딱팔딱거리다 죽어버린다. 그런데 말뚝망둥이는 망그로브 가지에 기어올라 있거나, 물가에서 꽤 떨어진 돌위나 번들거리는 개펄에 누워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들은 어떻게 물을 ... ...
파이오니어-내 어깨에 지워진 짐
과학동아
l
199006
유전공학을 해서 뭘 할거냐고 내게 묻는 사람들에게 "고래를 어항 속에서 키울 수 있도록
붕어
만하게 만들어서 왕창 팔아먹겠다"고 호기를 부리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아주 사소하게 보이는 실험 하나에도 엄청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할 뿐아니라 실패를 거듭할 수도 있다는 사실에 더 ... ...
만주지역의 발해유적
과학동아
l
198912
발해군의 무예를 닦던 연병장이라는데 지금은 80ha정도의 양어장이 되어 있다. 잉어 초어
붕어
메기를 기르고 있으며 수면에서는 젊은이들이 보트놀이를 즐기기도 한다.발해왕국 도읍유적이 있는 곳은 현재의 흑룡강성 영안현 발해진 향수촌(黑竜江省寧安県渤海鎭响水村).이 성은 동서 4천6백50m ... ...
세계 최강 합금개발, 과연 쓸모는?
과학동아
l
198906
배제해 나가다보면 뜻밖의 '월척'을 낚을 수 있다. 그것중의 하나가 바로 KM 1557.월척이
붕어
인지 잉어인지는 강도측정시험과 부식시험을 해봐야 알 수 있다. 합금의 강도는 크립(creep)실험을 통해 알 수 있다. 즉 4㎏의 추가 달린 합금선을 1천℃의 온도에 노출시키면 언젠가는 끊어진다는 것을 ... ...
확률론과 결정론을 합친다 수학의 새 지평「프랙탈이론」
과학동아
l
198904
즉 미래를 결정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뜻이다.또 하나는 큰 연못 안에 있는 잉어와
붕어
의 비율은 얼마나 되는가를 계산하는 것과 같은 내용이다. 이런 문제는 연못 안의 물고기를 전부 잡아서 셀 수도 없으므로 확률적으로 추측할 수밖에 없다. 이것이 '확률론적 수학'이다.그 두가지 수학 이론을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12
따라서 맑아진 한강의 서울 수역에서는 이제 잠수성이며 어식성인 특히 과반수 이상
붕어
를 주식으로 하는 비오리와 잡식성이지만 물속에서 주로 식물성(풀과 풀뿌리 등)과 약간(약 20% 미만)의 동물성(수중곤충 및 기타)먹이를 취식하는 흰죽지(오리)가 몰려들 수 밖에 없게 되었다. 비오리는 개발 ... ...
30여년만의 본격조사 휴전선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08
어류는 71종. 농약사용이 거의 없어 어딜 가나 피라미 갈겨니 돌고기 모래무지 새미
붕어
배가사리 참종개 새코미끄리 퉁가리 메기 등이 떼지어 살고 있었다. 그러나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해서 지역의 담수어류상은 큰 차이가 나 전체71종중 영동지방에만 있는 것이 14종이나 됐고 양쪽에 모두 있는 ... ...
이전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