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회
선진
d라이브러리
"
선진사회
"(으)로 총 601건 검색되었습니다.
막힌 도로를 뚫어 주는 신기한 수학
수학동아
l
201002
드디어 즐거운 설 연휴가 돌아왔어. 할머니댁에 가서 떡국도 먹고 어른들께 세뱃돈을 받을 생각을 하니 벌써부터 신이 나. 그런데 한 가지 걱정이라면 주차장 같은 도로 위에서 몇 시간이나 보내야 한다는 거야. 좁은 차 속에서 지루하게 온 몸을 비비 꼴 생각을 하니 벌써부터 답답해져. 뻥뻥 뚫리 ... ...
과학관이 살아 있다는 걸 보여주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001
“할리우드 영화 ‘박물관이 살아 있다’를 아시죠. 전시물이 살아 움직인다는 설정을 바탕으로 박물관을 흥미롭게 다룬 영화잖아요. 이와 비슷하게 과학관을 소재로 삼은 영화를 만들 계획입니다. 가칭 ‘과학관이 살아 있다’라는 영화 말입니다.”국립과천과학관 이상희 관장은 항상 아이디어 ... ...
발명왕 ‘떡잎’부터 알아보고 키우는 창의발명캠프
과학동아
l
201001
‘내가 만든 자동차가 더 빠를 거야.’청소년들이 기대에 찬 눈을 반짝이며 코스를 바라보고 있다. 자동차 경주에 참여한 청소년 2명은 자기가 만든 자동차를 출발점에 놓았다. 출발! 옆 친구가 만든 것보다 빨리 달리는 자신의 자동차를 보며 뿌듯해 하고, 경주에서는 비록 졌지만 도착지까지 잘 달 ... ...
자선냄비는 곱셈의 마음
수학동아
l
200912
이제 올해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매년 이맘때가 되면 사랑을 나누는 구세군의 자선냄비 모금활동이 시작됩니다. 나누는 행위는 숫자가 적을 때보다 많을 때 그 가치가 더욱 빛을 발하고 효과도 크답니다. 지금부터 자선냄비에 담긴 재미난 수학 이야기를 함께 찾아보도록 해요.이 솥을 끓게 합시 ... ...
뇌가 아이스크림 덩어리 쌓이듯 진화했다고?
과학동아
l
200912
| 우연한 마음 |데이비드 린든 지음 | 김한영 옮김 |시스테마 | 269쪽 |1만 7000원“‘이것’은 몸무게의 2% 정도에 지나지 않으면서 총에너지의 20%를 소모하는 에너지 먹보다.”“산모가 아기를 낳을 때 커다란 머리를 밖으로 밀어내려고 고생하는 이유는 기초부터 체계적으로 설계되지 않은 탓에 ‘이 ... ...
“북한과의 과학기술 교류, 모험연구 장려 앞장선다”
과학동아
l
200912
‘21세기 정보산업의 시대’, ‘과학기술 최첨단 수준으로’, ‘인재가 많아야 나라가 흥한다’. 언뜻 우리나라에서 만든 표어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것은 북한에서 수많은 인원이 펼친 카드섹션의 내용이다. 북한에서도 정보산업, 과학기술, 인재를 강조한다는 점이 새삼 놀랍다.“평양 릉라도 5월 ... ...
사회기반시설 '평생 주치의'는 정보기술
과학동아
l
200910
지난 9월 6일 북한의 임진강 무단 방류로 야영객 6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일이 일어났다. 물론 1차적인 책임은 북한당국에 있지만 홍수경보시스템만 제대로 작동했어도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었기에 더 안타깝다. 당시 군당국은 새벽에 물이 급격히 불어나는 상황을 알았음에도 민간당국에 연락하 ... ...
디지털 원전의 시간을 돌려라
과학동아
l
200908
“다음에 오시면 이 테이블 위에 로마의 판테온을 홀로그램으로 띄워 놓을게요. 지금 로마에 있는 그대로를 원하세요? 아님 복원되기 전 과거의 모습을 원하세요?”기자는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와 만나 이야기하는 동안 아리송한 그의 직업(?) 때문에 몇 번이나 고개를 갸우뚱 해야 했다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우려와 전망
과학동아
l
200907
우리나라의 대학입시제도는 해방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를 거쳤다. 하지만 그 본질은 언제나 점수 위주의 경쟁시스템이었다. 초·중·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이 대학입시제도에 예속돼 있는 상황에서 대학입시제도가 갖는 의미와 영향력은 실로 막강하다. 최근 교육계의 화두는 단연 입학 ... ...
의학과 전자공학의 ‘행복한 만남’
과학동아
l
200907
1970년대 후반만 하더라도 미국 사회에서 신경보철(Neural Prosthesis)이라는 단어는 사전에 등재되지도 않을 만큼 낯선 분야였다. 1978년 서울대에서 전자공학 학사를 마치고 생체전자공학을 공부하기 위해 유학길에 올랐던 서울대 전기공학부 김성준 교수도 신경보철에 대해 모르긴 마찬가지였다.6백만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