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기체
가스
스팀
김
습기
물기
d라이브러리
"
수증기
"(으)로 총 700건 검색되었습니다.
양띠 독자가 나섰다! 양의 비밀을 밝혀낼 거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
큰 힘을 발휘해요. 수분을 잘 흡수할 뿐만 아니라 흡수한 습기를 재빨리 증발시켜
수증기
로 날려 보내거든요. 그래서 습도가 높고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철에 양털을 입으면 피부와 옷을 보송보송하게 유지할 수 있답니다.염소나 산양의 털은 곧게 뻗어 있어요. 하지만 메리노양 같이 털을 얻기 위해 ... ...
[과학뉴스] 팝콘이 ‘타닥’ 튀어오르는 물리적 이유
과학동아
l
201503
자세히 분석하니 껍질이 갈라지기 전에 소리가 났다. 연구팀은 “낟알 안쪽의 수분이
수증기
로 변하면서 빈 공간인 ‘공동(cavity)’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공동이 터져 나오거나 진동하면서 소음이 난다”고 추정했다 ... ...
겨울에만 피는 꽃, 상고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2
매우 높아야 해. 또 영하 8℃ 정도로 기온이 낮아야 하지. 그래야 공기 중의 풍부한
수증기
가 얼어서 서리가 되고, 한번 만들어진 서리가 금방 녹거나 증발하지 않아. 마지막으로 서리가 나무를 잘 뒤덮어서 모양이 뚜렷한 상고대가 만들어지려면 바람이 초속 3m 정도로 적당히 불어 줘야 하지. 바람이 ... ...
[Life & Tech] 찜질방 계란은 왜 갈색일까
과학동아
l
201502
일은 열로 쉽게 바뀌지만 열을 일로 만들기란 어렵습니다. 화석연료를 태워 만든
수증기
로 터빈에 연결된 발전기를 돌려 만드는 전기는 효율이 30~40%에 불과합니다. 공급된 열의 3분의 2는 허공으로 사라지지요. 열역학 관점에서 보면 전기는 열보다 3배 이상 귀한 고급에너지입니다.“그러니까 난방 ... ...
[화보] 작은 겨울
수학동아
l
201501
얼음을 찍은 것이다. 액체 질소로 생체 조직을빠르게 얼리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
가 꽃 모양으로 얼었다.] 한 폭의 겨울 동양화새벽 기운을 머금은 듯 푸르스름한 나무줄기와 산자락이 고요한 겨울 풍경을 빚어냈다. 한 폭의 동양화처럼 순백의 겨울옷을 입은 산에서는 여백의 미마저 ... ...
[생활] 입소문이 만들어낸 맛, 허니버터칩
수학동아
l
201501
관련이 있다. 물 분자 사이의 거리가 얼마나 되는지에 따라 물은 얼음이 되기도 하고
수증기
가 된다. 허니버터칩 열풍도 밀도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허니버터칩의 ‘인기 밀도’를 정의해보자.11월 한 달 동안 허니버터칩은 약 80억 원 어치가 팔렸다. 한 달 동안 최대로 만들 수 있는 양(약 6 ... ...
산타도 깜짝 놀란 착한 과학 선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24
몸을 45°로 치켜들어요. 바다에서 생긴 안개 바람을 맞기 위해서지요. 안개에 있는
수증기
가 돌기에 어느 정도 모이면 돌기가 아닌 부분이 물을 밀어내 머리 쪽으로 흘러내린 물을 바로 마시는 거죠.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연구진은 기존의 안개 포집 장치보다 6% 이상 많은 물을 모을 수 있다고 ... ...
100년 전 수첩에서 유령입자까지 남극 미스터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23
바람, 비, 눈 등의 기상현상이 나타나지 않아요. 과학자들은 상승기류 등의 원인으로
수증기
가 중간권까지 올라가 얼어붙어 야광운이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요. 오로라 색깔의 비밀오로라는 90∼수백㎞의 초고층 대기에서 생겨요. 오로라가 빛을 내는 원리는 야광운과 다르답니다. 오로라는 주로 ... ...
태풍 VS 토네이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5
비를 내리게 하는 기상현상이지요. 대부분 27℃ 이상의 바다에서 만들어지고, 이동하면서
수증기
를 공급받아 점점 거대해져요. 최근에는 지구온난화로 해수 온도가 오르면서 태풍의 힘이 점점 세지고 있답니다. 열대성 저기압은 만들어지는 지역에 따라 이름이 다른데 대서양과 북태평양 동부에서 ... ...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
과학동아
l
201409
수 있다. 화성의 경우, 토양에는 물이 약 2% 포함돼 있다. 따라서 토양에 열을 가하면 바로
수증기
형태의 물을 얻을 수 있다. 산소는 궁극적으로는 식물을 이용하겠지만, 대기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얻거나, 화성 표면에 마치 비처럼 내리는 과산화수소를 화학적으로 변환해 얻을 수도 있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