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채집
모집
컬렉션
콜렉션
모금
수집물
소장품
d라이브러리
"
수집
"(으)로 총 1,10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얼마나 똑똑해질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0
만난 스마트 자전거사물인터넷은 사물의 센서가 정보를
수집
하고, 이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이용해 주고받는 기술이에요. 최근 자전거와 사물인터넷이 만나 똑똑한 스마트 자전거를 만들었답니다.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바로 도난 방지! 최근 늘어나고 있는 자전거 도난은 큰 문제예요. ... ...
[현장취재] 북한산의 생물다양성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6
결과물 제작 및 발표 시간이 이어졌어요. 대원들은 조별로 바닥에 둥글게 모여 앉아 전날
수집
한 북한산 생물들의 흔적을 발표물로 만들었지요. 전지에 도토리거위벌레가 떨어뜨린 나뭇잎과 도토리, 죽은 나무껍질과 매미 탈피각과 버섯 등을 붙이고 색연필과 색종이, 사인펜 등으로 멋지게 ... ...
[과학뉴스]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2
사는 두족류의 개체수에 대해 조사하기 시작했어요. 또한 전세계 어업 활동 등의 자료도
수집
해 분석했어요. 그 결과, 1953년 이후부터 지금까지 바다에 사는 두족류 35종의 개체수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답니다.연구팀은 사람들이 어류를 마구 잡는 바람에 문어와 오징어의 ... ...
[헷갈린 과학] 상아VS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2
(대구 함지초 2)상아와 뿔이 사라지고 있어요!상아와 뿔은 멋진 모양 때문에 사람들의
수집
품이 되기도 했어요. 사냥꾼들이 사냥의 증거품으로 여겼던 거예요. 그래서 플라스틱이 개발된 이후에도 아프리카에 살고 있던 코끼리와 코뿔소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결국 멸종위기에 처하고 말았답니다.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
과학동아
l
201612
샅샅이 뒤졌다. 백두산 정상에서 부석을 채취하고 연대 측정이 가능한 탄화목을
수집
했다. 지하 마그마의 규모를 추정하는 연구도 했다. 그 결과물로 백두산이 서기 960년대 대규모 폭발을 일으켜 분출물을 성층권인 25km 상공까지 뿜어 올렸다는 논문을 2000년에 발표했다. 이 논문은 백두산을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
과학동아
l
201612
산림청 산림복지시설사업단 시설과 연구원은 “매미꽃 같은 멸종위기식물을 우선순위로
수집
해서 종자를 보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약재로 무분별하게 쓰이는 식물도 마찬가지다. 겨우살이는 항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향후 자생지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씨드볼트는 내년 초까지 종자 ... ...
[Photo] 홍연석(Crocoite) 존재 자체가 기적인 ‘생존자’
과학동아
l
201612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이 생존자를 구조한 엔지니어 중 한 명인 아담 라이트는 광물
수집
가들에게 ‘홍연석 사나이(Crocoite man)’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다. 이 아름다운 광물을 즐길 수 있게 해 준 그들에게 감사와 경의를 표한다 ... ...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
과학동아
l
201612
만든다. 이렇게 해서 꿀이 있는 장소까지 도달할 수 있으면 최종적으로 브러시 같은 도구(
수집
기)를 이용해 꿀을 얻는다. 벌집의 형태와 위치에 맞게 이 도구들을 섞어서 이용한다.침팬지는 창도 이용할 줄 안다. 2005년 학계에 처음 보고된 아프리카 세네갈 사바나침팬지의 갈라고원숭이 사냥 행동은 ... ...
[지사탐 소식 1,2]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2
인기였어요. 지난 10년 간 우리나라에 사는 담수어를 채집하고 관찰해온 기록과 그동안
수집
한 물고기 표본들을 전시해 많은 관심을 받았답니다. 성무성 학생은 “물고기와 주변 생물들이 함께 살아가며 존중받아야 할 존재라는 걸 알리고 싶었다”고 말했어요.한편, 이성원 서산고 미술선생님의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
과학동아
l
201612
다양해 원인규명이 쉽지 않다. 화재조사관들이 끊임없이 화재현장에서 데이터를
수집
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려는 이유다. 각자의 노하우를 공유해 한국의 화재조사 수준을 높이려는 게 이 대회의 목표다.매년 11월, 전국 19개 시도에서 화재조사연구 논문을 한 편씩 출품한다. 한 곳에 모여 발표를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