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리
주의
학설
견해
진리
진실
강령
d라이브러리
"
신조
"(으)로 총 109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메모리 칩 제조하는 나노과학
과학동아
l
200203
전자의 자기적 방향을 뜻하는 스핀(spin)과 전자기술(electronics)을 합성한
신조
어로 1996년에 등장했다”고 설명하면서 얼마나 신생 첨단 분야인지를 소개했다. 하지만 이 말로는 스핀트로닉스 분야에 대한 감을 잡기 어렵다. 그만큼 쉽지 않은 연구분야임을 암시하는 듯하다. 하드디스크 저장용량 20배 ... ...
6T - 메가톤급 산업혁명의 견인차
과학동아
l
200201
얘기되고 있었고, 1999년에는 IT와 BT만이 미래의 핵심기술로서 대접받고 있었다.6T란 말이
신조
어라고 해서 각 기술이 최근에 등장했다는 얘기는 아니다. 예를 들어 BT의 경우 바이오 테크놀로지란 용어는 이미 1980년대 초반에 등장했고, 우리나라에서도 한동안 줄이지 않고 그대로 사용했다. 그런데 199 ... ...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
과학동아
l
200201
단백질의 영문표현인‘protein’과 전체를 뜻하는 접미사‘-ome’를 합성해 만든
신조
어다. 게놈이 유전자 전체이고, 프로테옴은 단백질 전체를 뜻한다. 즉 포스트게놈연구는 바로 단백질이 표적이 된다는 것이다.그렇다면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완성이 단백질 연구와 어떤 관련이 있다는 것일까. 이는 ... ...
원숭이인간과 기계인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110
어떤 것은 다양한 모습으로 변해 그 명맥을 유지한다. 그런 문화적 유전자를 뜻하는
신조
어가 바로 밈이다. 밈은 모방을 뜻하는 그리스어 ‘mimeme’으로부터 리처드 도킨스가 새롭게 만들어낸 단어이며, 1976년 웹스터 사전에 정식 명사로 채택됐다. 문화를 이루고 있는 모든 것은 밈으로 간주될 수 ... ...
심심하고 할 일 없어 털다 -주유소 습격 사건
과학동아
l
200110
대책 없는 4인조 역시 이유 없는 폭력을 휘두른다. 야구선수 지망생 노마크, 단순무식이
신조
인 무대포, 좌절한 록가수 딴따라, 그림 그리는 사이코 페인트. 이들 넷은 어느날 편의점에서 라면을 먹다가 주유소를 습격한다. 동기는 간단하다. 심심하고 할 일도 없고 해서 그냥 턴 것이다.점점 잔인하고 ... ...
바이오벤처 전략의 교과서 유진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0104
밝히는 연구를 영양(nutrition)과 유전체학(genomics)을 합쳐 영양유전체학(nutragenomics)이란
신조
어를 만들었다. 앞으로 3-5년 간 콜제로 소비자들의 영양 패턴과 유전자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개인별 맞춤의약품 개발을 위한 정보로 활용할 계획이다.유진사이언스는 이미 산업자원부 차세대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
과학동아
l
200103
실험실을 꾸미는 일을 첫 과제로 주었다. 한번 선택한 것은 끝을 보고야 만다는 것을
신조
로 살아온 그였지만 텍사스대 연구원들이 하는 말이 그야말로 암호문으로 들리는 상태에서는 흔들리지 않을 수 없었다.하지만 자신의 선택에 책임지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그의 사전에 후회나 좌절은 ... ...
소를 사랑한 복제의 마이다스 손
과학동아
l
200004
힘들었다"고 고백하듯 내뱉고서는 이내"극복되지 않는 어려움은 없다"는 것이 자신의
신조
임을 밝힌다.황우석 교수의 연구에 대한 열정이 여기서 나오는 것일까.황무지를 개간하는 기쁨 황우석 교수와 소와의 인연은 깊다.충청도 벽촌에서 남의 소를 소작하는 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초등학교때 ... ...
전자상거래 시대 개척한 아마존
과학동아
l
200002
대에는 주당 80시간까지 일했지만 이젠 잠이 모자라서 줄였다고 한다.아마존이 만들어 낸
신조
어아마존은 어떻게 반즈 앤 노블이란 거대 서점도 해내지 못한 서적 데이터베이스를 이룩한 것일까. 베조스에 따르면 사업초기에는 서적에 관한 자료를 모으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니었다고 한다. 왜냐하면 ... ...
Ⅲ. 민속학/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01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철새이기도 해서 능히 초월적인 세계와 인간 세계를 넘나드는
신조
(神鳥)로 인식되기에 충분했다. 이렇게 동일한 상징에서 비롯된 솟대는 그후의 역사 전개에 따라서 일정한 차이를 보인다. 북아시아의 솟대는 샤머니즘의 우주관을 많이 반영하고 있다. 여러 개의 솟대를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