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국
동맹국
연맹
동맹
합동
합병
유니언
d라이브러리
"
연방
"(으)로 총 364건 검색되었습니다.
추락하는 비행기에서 살아남으려면?
과학동아
l
201308
않았다면 원인은 기체 결함일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7월 11일 데보라 허스먼 미국
연방
교통안전위원회(NTSB) 위원장은 “비행기록장치를 조사한 결과 자동속도조절장치는 정상적으로 작동했다”라고 발표했다. 조종사의 과실 쪽에 무게를 두는 발언이었다. 허스먼은 “자동속도조절 장치를 켜 놓은 ... ...
Part 2. 사고 원인을 둘러싼 4가지 쟁점
과학동아
l
201308
않았다면 원인은 기체 결함일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7월 11일 데보라 허스먼 미국
연방
교통안전위원회(NTSB) 위원장은 “비행기록장치를 조사한 결과 자동속도조절장치는 정상적으로 작동했다”라고 발표했다. 조종사의 과실 쪽에 무게를 두는 발언이었다. 허스먼은 “자동속도조절 장치를 켜 놓은 ... ...
레이더로 변신한 마이크
과학동아
l
201307
능력이다. 하지만 수학과 과학의 힘을 이용하면 가능하다.마틴 베테를리 스위스 로잔
연방
공대 컴퓨터및통신과학과 교수팀은 인공적으로 발생시킨 소리를 소수의 마이크로 수집한 뒤, 이를 수학 알고리듬으로 분석해 3차원 실내 구조를 알아내는 방법을 개발해 6월 17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 ...
“인간 유전자는 특허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307
손을 들어준 것이다.그리고 2년이 지난 2013년 6월 13일. 미
연방
대법원은 만장일치로
연방
순회법원의 판결을 다시 한 번 더 뒤집었다(3심 최종심). 클러런스 토머스 대법관은 “DNA는 자연의 산물로 인체에서 분리했다는 이유만으로 특허 대상이 될 수 없다”며 “미리어드 지네틱스가 이 유전자를 ... ...
직장의 신, 결코 야근 하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05
생산성을 빨리 회복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마크 로즈킨드와
연방
항공국의 실험에서 알 수 있다. 야간비행 임무를 수행하며 평균 26분동안 낮잠을 잔 조종사들은 각성 테스트의 평균 반응시간이 16% 빨라진 반면, 낮잠을 자지 않고 각성 테스트를 받은 조종사들은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
과학동아
l
201303
도달해 3000여 채의 건물 유리창을 박살내고 벽을 허물었다.폭발한 유성의 파편은 우랄
연방
대 과학자들이 체바클 호수 인근에서 발견했다. 체바클 호수는 이날 사건 이후 얼어붙은 표면 위로 8m 크기의 구멍이 생겨 유성체의 추락지로 지목되고 있는 곳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운석 조각 수는 53개로 ... ...
위대한 역사의 비밀 수학을 사랑한 王
수학동아
l
201212
키우기 위해 을 공부한 에이브러험 링컨헬로우! 남북전쟁에서 승리해 미국
연방
을 보호하고, 노예를 해방시켜 미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대통령으로 뽑힌 링컨입니다. 업적만 들으면 엘리트 코스로 탄탄대로를 걸었을 것 같지만, 멋진 대통령이 되기까지 제게도 큰 고민이 있었습니다. 바로 ... ...
Part 4. 우리 함께 살 수 있어요
과학동아
l
201211
벌채 금지와 함께
연방
정부가 가장 먼저 취한 조치는 이 지역 올빼미 개체수 확인이었다.
연방
정부는 특정 무선신호를 송출해 일주일에 한두 번 새의 위치를 알려주는 송신기를 올빼미의 몸에 부착했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안테나가 달린 자동차를 타고 돌아다니며 올빼미 위치를 확인, 올빼미 ... ...
생각으로 조정하는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0
노인들에게 맛있는 간식이나 신문을 가져다 줄 수 있겠죠!지난 4월 24일, 스위스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과학자들이 생각만 으로 로봇을 움직이는 데 성공했어요. 이 과학자들은 이미 몇 년 전에 생각으로 운전하는 휠체어를 개발했어요. 이번에 공개한 로봇은 59.5km나 떨어져 있는 곳에서 조종하는 데 ... ...
비소 박테리아는 없었다!
과학동아
l
201208
브리티시컬럼비아대 로즈매리 레드필드 교수팀의 논문이고 다른 하나는 스위스 취리히
연방
공대 줄리아 보홀트 교수팀의 논문이다. 논문은 비소 박테리아가 인 대신 비소를 써서 증식하는 현상을 관찰하지 못했고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같은 정밀한 장비로 DNA를 분석한 결과 분자 골격에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